민속놀이(전통놀이)의 정의, 민속놀이(전통놀이)의 분류, 민속놀이(전통놀이)의 기원, 민속놀이(전통놀이)의 의의, 민속놀이(전통놀이)와 경기도민속놀이, 민속놀이(전통놀이)와 강원도민속놀이, 민속놀이(전통놀이)와 북한민속놀이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속놀이(전통놀이)의 정의, 민속놀이(전통놀이)의 분류, 민속놀이(전통놀이)의 기원, 민속놀이(전통놀이)의 의의, 민속놀이(전통놀이)와 경기도민속놀이, 민속놀이(전통놀이)와 강원도민속놀이, 민속놀이(전통놀이)와 북한민속놀이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민속놀이(전통놀이)의 정의

Ⅲ. 민속놀이(전통놀이)의 분류
1. 가마놀이
2. 깨끔질 싸움
3. 고누(고니)
1) 곤질 고누
2) 물래고누
3) 샘고누(우물고누)
4) 6밭고누
5) 호박고누

Ⅳ. 민속놀이(전통놀이)의 기원

Ⅴ. 민속놀이(전통놀이)의 의의

Ⅵ. 민속놀이(전통놀이)와 경기도민속놀이
1. 양주 별산대 놀이
2. 여주 쌍룡거 줄다리기

Ⅶ. 민속놀이(전통놀이)와 강원도민속놀이
1. 외바퀴 수레싸움
2. 원주 상원놀이
3. 인제 뗏목놀이
4. 태백 갈풀썰이
5. 홍천 팔봉산 당굿

Ⅷ. 민속놀이(전통놀이)와 북한민속놀이
1. 북한 민속놀이의 분류
1) 가무놀이
2) 경기놀이
3) 겨루기
4) 아동놀이
2. 북한의 대표적인 민속놀이
1) 탈놀이
2) 돈돌라리와 달래춤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 용(거줄)을 메고 줄다리기 현장으로 길놀이를 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현장에는 인근의 각 부락 단위로 농기를 앞세운 농악대가 들어오며 회나무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마주선 쌍룡은 수장이 용머리에 올라가 줄다리기를 지휘하는 용놀림이 시작된다.
각 마을의 풍물잡이와 무동의 춤 등 각종 기예가 빚어지고 농악대의 가락에 맞추어 암줄과 숫줄의 줄다리기가 벌어지며 암줄이 이기면 풍년이 들고 재앙이 없어진다 하여 언제나 줄다리기는 암줄이 이기는 것으로 끝낸다.
춤과 웃음으로 즐기던 줄다리기가 끝나면 사람들은 용을 메고 강으로 가서 쌍룡을 얼음 위에 놓고 태평 성대와 홍수 풀이로 고사를 지내고 사람들의 액을 보내는 액송 의식을 치른다. 용줄은 얼음을 녹이면서 남한강 하류로 떠내려가고 이에 따라 액이 풀어진다고 믿는다.
Ⅶ. 민속놀이(전통놀이)와 강원도민속놀이
1. 외바퀴 수레싸움
매년 정월 대보름에 봉의산을 중심으로 편을 나누어 외바퀴 수레를 앞세우고 싸움을 벌여 승부를 겨루었던 놀이다. 승부가 결정되고 나면 양편의 부락민이 한데 어울려 풍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풍년과 마을의 안녕을 축원하면서 하루를 즐겼다. 고려 태조 왕건이 공산성에서 후백제와 싸우다가 포위되었을 때, 공신 신숭겸이 태조의 어차를 타고 대적하여 태조를 구하고 전사한 정신과 충의를 기리기 위해 어차방식의 수레싸움이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다.
추수가 끝난 뒤부터 마을 노인들이 모여 수레싸움에 대한 논의를 하고, 섣달그믐이 되면 마을을 청결히 하고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금하였다. 수레싸움을 하면서 한해의 농사일을 점치고 두레의 협동 정신을 꾀하였을 뿐만 아니라 마을을 수호하는 상무 정신을 발휘하였다.
2. 원주 상원놀이
원주 상원놀이는 신라 소지왕 10년 정월 보름날 왕이 천천정에서 있었던 까마귀의 은혜에 보답하는 풍습으로서 약밥을 만들고 오곡밥을 지어 먹으며 개를 굶기는 데에서 유래되었다. 정월 14일과 15일 양일간에 걸쳐 치러진 이 놀이는 한 해의 흉년을 상대편에게 떠넘기기 위한 패싸움과 장치기, 횃불싸움 등과 액운을 예방하기 위한 연 날리기와 호리병박 버리기, 부럼깨물고 더위팔기, 한 해의 건강과 복을 기원하기 위한 아낙네들의 새벽물 길기 등으로 치러졌다. 상원이라는 명칭은 정월 보름을 일컫는 말로서, 예로부터 한 해의 길운과 면액을 정월에 주로 기원한 것에 연루되어 있다.
3. 인제 뗏목놀이
인제읍 합강리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뗏목의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마을이다. 이 놀이는 나무를 벌채해 놓았다가 강물이 늘어나면 뗏목을 만들어서 수로를 이용하여 서울 등지로 운반하면서 삶을 이어왔던 옛 조상들의 지혜를 표현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놀이의 구성은 제 1과장에서 벌목 작업을 재현하고, 제 2과장에서는 4명이 한 조가 된 목도들이 나무를 하산하는 작업을 재현하며, 제 3과장에서는 뗏목을 만들어 서울 광나루에 도착하는 과정을 재현하면서 한바탕 놀이를 펼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4. 태백 갈풀썰이
갈풀썰이는 태백 지방에서 전해지고 있는 마당 놀이의 일종이다. 갈풀은 참나무나 도토리 나무 계통의 2~3년 된 나무를 일컫는 말이다. 산중에 화전민이 정착하면서 척박한 토양을 기름지게 하기 위해 갈풀로 퇴비를 쓴데서 비롯되었다.
놀이는 마을 사람들이 모여 고사를 지낸 뒤 풀꾼들이 해온 풀을 풀아시가 불러주는 사설에 맞추어 풀을 썰면, 풀가리꾼이 썰어 놓은 풀을 날라 풀가리(퇴비더미)를 만드는 것으로 진행된다. 풀가리가 끝나면 작두꾼들이 서로의 힘을 자랑하며 씨름판을 벌이고 마을 사람들은 응원을 하며 한마당 놀이를 펼친다. 마을 주민들은 이러한 놀이를 통해 마을 전체의 화합과 협동을 도모하고 한해 농사를 준비한다.
5. 홍천 팔봉산 당굿
팔봉산 당굿 놀이는 매년 음력 3월 15일과 9월 9일에 마을 주민들이 홍천 팔봉산의 제 1봉 정상에 있는 당집에 모여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는 당굿을 말한다. 당집에는 팔봉과 후토신령, 그리고 칠성칠군의 신이 모셔져 있는데, 지금은 칠성신과 산신, 그리고 3부인 신(이씨신, 김씨신, 홍씨신)을 모시는 행사로 사계절의 절기를 점치고 액운을 예방하며 각자의 소원을 비는 것으로 전승되고 있다. 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의하면, 팔봉산사에서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낸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조 1590년대부터 당굿이 시작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Ⅷ. 민속놀이(전통놀이)와 북한민속놀이
1. 북한 민속놀이의 분류
1) 가무놀이
농악, 탈놀이, 옹헤야, 돈돌라리와 달래춤,쾌지나칭칭나네, 강강수월래, 놋다리, 화전놀이, 마당놀이, 방천놀이, 시절윷놀이, 봉죽놀이, 길쌈놀이, 다리밟기, 꼭두각시놀이, 등놀이, 불꽃놀이 등(이상 17종)
2) 경기놀이
그네뛰기, 널뛰기, 씨름, 활쏘기, 줄다리기, 돌팔매놀이, 쥐불놀이, 차전, 제기차기, 횃불싸움, 장치기, 공치기, 격구, 마상재, 소싸움 등(이상 15종)
3) 겨루기
윷놀이, 쌍윷, 장기, 바둑, 정종두놀이, 고누, 수투, 람승도놀이, 고을모둠, 칠교놀이, 산가지놀이 등(이상 11종)
4) 아동놀이
단심줄놀이, 연띄우기, 팽이돌리기, 썰매타기, 바람개비놀이, 수북따기, 진놀이, 숨바꼭질, 까막잡기와 사람찾기, 망차기와 돌아차기, 자치기, 대말타기, 줄넘기, 공기놀이, 실뜨기싸움과 꽃싸움, 다리셈놀이, 수박차기, 각시놀음 등(이상 18종)
2. 북한의 대표적인 민속놀이
1) 탈놀이
착취자들에 반대하여 일어난 인민들의 감정을 반영한 놀이. 계급적 이해와 사상감정을 반영한 패기있고 투쟁적인 기백이 넘치는 놀이
2) 돈돌라리와 달래춤
원을 지어서 달래캐는 춤과 함께 ‘통틀날’ 뜻을 지닌 민요를 부름. 애국주의적 사상과 반외세를 지향하는 놀이
참고문헌
김선풍, 민속놀이와 민중의식, 집문당, 1996
신정희, 민속놀이 활성화를 위한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3
서찬석, 우리 민속놀이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채우리, 2011
이순배, 레크리에이션과 민속놀이, 교문사, 2010
이강로,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장동운, 민속놀이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2006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9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