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불교 의미][불교 성립과 창시][불교 전래와 발달][불교 목적과 내용]불교의 의미, 불교의 성립과 창시, 불교의 전래와 발달, 불교의 목적과 내용, 불교의 교리체계, 불교의 일체무상, 불교의 경전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불교 의미][불교 성립과 창시][불교 전래와 발달][불교 목적과 내용]불교의 의미, 불교의 성립과 창시, 불교의 전래와 발달, 불교의 목적과 내용, 불교의 교리체계, 불교의 일체무상, 불교의 경전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불교의 의미

Ⅲ. 불교의 성립과 창시
1. 불교 성립
1) 배경
2) 왕권 강화
3) 우파니샤드 철학 성립
2. 불교 창시

Ⅳ. 불교의 전래와 발달

Ⅴ. 불교의 목적과 내용

Ⅵ. 불교의 교리체계

Ⅶ. 불교의 일체무상

Ⅷ. 불교의 경전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성전의 전부를 개괄한 것을 삼장이라고 한다. 석존이 말한 것을 불교도들이 결집하여 이것을 세 가지 종류로 분류한 것인 까닭에 삼장이라 하고, 이것이 인도에 있어서의 불교성전을 개괄한 명칭으로 보급되어 있다. 삼장은 경장/율장/논장의 세부분으로 이루어진다.
Ⅸ. 결론
초기불교의 교리에서 심사상을 찾기 위해서는 가장 대표적인 초기불교의 교리라고 할 수 있는 연기설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십이연기에서 그 연원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십이연기설의 내용과 그 과정은 바로 인간의 심리작용의 연기작용을 밝힌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심리작용의 가장 첫머리에 자리잡고 있는 것이 바로 無明이다. 그런데 이 무명이라고 하는 것은 바로 우리 마음에서 일어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체제법연기의 원인을 心, 즉 마음으로 보는 심사상은 바로 마음이 모든 세상을 만든다라고 하는 心爲法本說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초기불교에서는 심(citta : 考), 의(manas : 思慮), 식(vijnana : 了別) 등의 세 가지를 특별한 구별이 없이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心이 과연 깨끗한 것이냐, 아니면 원래 더러운 요소를 가지고 있느냐라는 心性本淨觀, 心性本染觀 두 가지의 견해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견해는 전자는 후일에 일승성불, 불성, 여래장 등의 사상으로 후자는 소승불교 유식계의 心所說로 변화를 하게 된다.
비교적 실천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던 초기불교의 심사상은 부파불교에서는 세분화 전문화되어 복잡하여 졌다.
부파불교를 대표하는 설일체유부의 입장은 三世實有 法體恒有의 實在論的인 경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하에서 心사상은 由心緣起로 표현이 되고 다른 모습으로는 業感緣起說로 표현이 된다.
나라고 하는 것은 시간이 지나면 없어지지만 법이라고 하는 것은 항존하여 삼세를 통하여서 존재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 항존하는 실체개념으로서 마음이 사용되어 졌다.
이러한 변화는 초기불교의 실천적이고 소박한 형태의 心사상이 인식론적인 단계로 변화를 일으켰다는 말이 된다.
이러한 변화 가운데 커다란 두 가지 흐름은 해탈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관심을 둔 대중부계의 心性本淨說과 輪廻의 主體를 추구해 나간 상좌유부계의 사상으로 크게 나누이게 된다.
결국 이러한 사상의 흐름은 대승사상에 가서 如來藏 사상과 阿賴耶識 사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인도의 대승불교라 하면 중관 유식 화엄 천태 정토 밀교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이들 사상은 유심사상을 기초로 하여 성립되고 있으나 그 대표로는 중관과 여래장 유식을 기본으로 한다.
중관사상에서의 심사상은 다음과 같이 표현이 된다.
중관사상의 심사상은 기본적으로 반야의 공관적인 입장에서 실상론을 전개 하고 있는데 지도론29를 보면 삼계의 모든 나타난 바는 다 마음이 만든 바로서 부처도 이 心을 떠나서는 구할 수 없는 것이며, 모든 무명번뇌도 이 心의 無相을 모르고 망집하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라 했고 결국은 제법의 실상도 결국은 이 무상한 心에 의해서 증입된다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心의 본성은 결국은 空한 것이어서 심상을 취할 수가 없고 동시에 불생불멸의 청정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여래장 사상에서의 心사상은 다음과 같이 표현이 된다.
여래장 사상에서는 중생의 마음 가운데 성불의 씨앗이 잠재 되어있다는 것으로 이것이 발현되면 인간이 성불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초기불교의 心性本淨說이 一切衆生 悉有佛性 사상과 합쳐져서 나타난 사상으로 볼 수 있다. 여래장사상에서의 심사상은 한마디로 心性本淨 實有佛性이라고 할 수 있다.
유식사상에서의 心사상은 다음과 같이 표현이 된다.
유식사상은 마음의 현상면을 기초로 하여 발전된 心사상인데 이는 부파불교의 특히 유부의 중심과제인 생사윤회의 주체와 업의 소장처를 궁구하여 나온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유식사상에서는 그동안 구별없이 사용하여 오던 心意識을 6식 7식 8식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8식으로 아뢰야식을 설정하여 유일의 근본식으로 윤회의 주체이자 업의 소장처 그리고 온갖 것의 변현처로 삼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동화(1984), 불교학개론, 보련각
◇ 김현준(2010), 불교근본교리, 효림
◇ 스티브 하겐 저, 이복희 역(2008), 간단명료한 불교, 우리출판사
◇ 양훼이난 저, 원필성 역(2010), 불교사상사, 정우서적
◇ 중촌원 저, 양정규 역(1989), 불교의 본질, 경서원
◇ 편집부(2010), 불교 다이어리, 지혜의나무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8.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2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