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아시아 사회적 자본][아시아 신흥공업국][IMF]아시아 사회적 자본, 아시아 신흥공업국, 아시아 바이오산업, 아시아 게임시장, 아시아 경제모델, 아시아 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 IMF금융위기)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시아][아시아 사회적 자본][아시아 신흥공업국][IMF]아시아 사회적 자본, 아시아 신흥공업국, 아시아 바이오산업, 아시아 게임시장, 아시아 경제모델, 아시아 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 IMF금융위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아시아 사회적 자본

Ⅱ. 아시아 신흥공업국

Ⅲ. 아시아 바이오산업
1. 싱가포르
2. 인도네시아
3. 말레이시아
4. 말레이시아의 바이오산업

Ⅳ. 아시아 게임시장
1. 미궁 속에서의 조심스러운 기대
2. 국가 전체적인 불경기, 대만
3. 뜨거운 PC방의 열풍, 홍콩
4. 틈새를 노려라, 동남아시아

Ⅴ. 아시아 경제모델
1. 배경
2. '아시아적 가치‘의 정의
3. 상호 관련성
1) 무관론
2) 유관론
4. ‘아시아적 경제성장 모형’에 대한 평가
1) 비판론
2) 옹호론

Ⅵ. 아시아 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 IMF금융위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버드大 삭스(Sacks) 교수도 아시아 금융위기는 세계경제 구조조정과정에서 겪는 진통일 뿐이지 아시아의 성장모델은 유효하다고 지적하면서 현재 아시아제국들의 국내총생산(GDP) 수준(전 세계의 40%)이 21세기 초에는 5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월 스트리트 저널(WSJ : Wall Street Jounal)은 1998년 2월 8일자 기사에서 투명한 경제체제를 보유한 선진국(노르웨이, 스웨덴 등)들의 금융위기 경험을 예로 들면서 높은 저축율과 교육열, 잘 발달된 산업시설 등을 무기로 한 아시아식 경제모델이 아직까지는 성공적 발전모델이 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인터네셔널 헤럴드 트리뷴(IHT : International Herald Tribune)는 1998년 2월 17일자 기사에서 이번 아시아 금융위기가 정부 및 기업간의 투자 실패와 방만한 단기차입 등에 기인한 것이며, 따라서 효율적인 투자 결정, 정부역할의 축소 및 금융시장의 개방을 조기 이행한다면 아시아 경제의 회복은 가능하다면서 아시아식 경제발전 모델의 붕괴주장은 시기상조라고 주장하고 있다.
아시아제국은 APEC의 보고르 선언(1994년 11월)과 오사카 행동지침(1995년 11월)에 나타나 있듯이 새로운 세계경제규범(UR/WTO)을 자국에 정착시키려는 숨가쁜 대내외적 도전에 직면하던 중, 타일랜드 바트貨의 가치폭락(1997년 7월)을 시발로 아시아지역에 금융위기를 당한 것이다.
著者는 동아시아 금융위기의 원인을 ‘아시아적 가치’에 돌리기 전에, 역사문화적 요인이 경제적 성과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가를 비롯하여, 동아시아 금융위기를 야기한 수많은 요인 중에서 역사문화적 요인, 특히 ‘아시아적 가치’라고 불리는 아시아 공통의 가치관이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인가 등이 규명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 경영 형태나 노사관계, 소비자의 생활 양식 등 구체적인 요소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지연혈연학력 중심의 고용 관행 및 소비 행태 등이 자본주의가 성숙되지 못한 결과인가, 아니면 자본주의의 또 다른 모습인가를 분석해야 할 것이다.
동아시아 금융위기의 원인으로서 ‘아시아적 가치’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그간 급속한 경제성장을 구가하면서도 일본식 성장모델(각종 규제 존속, 시장 개방 지연 등)을 답습해 온 아시아 제국들에 대해 시장개방을 촉구하려는 의도와, 서구식 자본주의의 세계화 추세 속에서 바로 서구식 자본주의 가치관을 아시아 경제에 이식하고자 하는 의도가 숨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물론, 지나치게 자국의 역사문화적 독자성을 내세우는 경우 세계경제의 추세에 부응하지 못함으로써 도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동아시아의 금융위기는 실물부문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라 금융부문에서 유래되었다는 점이다. 동아시아의 경제위기는 금융위기일 뿐이다. 아직, 동아시아의 실물부문은 건재할 뿐만 아니라 유망하다. 그렇기 때문에 서구 자본가들이 동아시아의 금융위기 운운하면서도, 또한 ‘아시아적 가치’를 거론하면서도 줄을 이어 동아시아의 실물부문(항공분야, 항만분야, 자동차분야, 정보통신분야, 반도체 분야 등)에 투자하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 서방 선진국들은 아시아 금융위기국(타일랜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중국 등)에 직접투자를 더욱 하고 있는 것이다.
Ⅵ. 아시아 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 IMF금융위기)
제2차 세계대전 후 금본위제가 붕괴되고, 무역제한 조치가 확산되면서 각국의 환율불안과 인플레 현상이 심화되었다. 이에 따라 전 세계가 극심한 현상에 빠지고 국제통화 질서가 심각한 위기에 봉착하면서 국제 통화기구의 설립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44년 7월 브레튼우즈에서 영국과 미국이 중심이 되어 <국제통화기금설립 협정문>을 채택하고 이듬해 12월 27일 35개국이 이를 비준, 발족하여 46년 5월부터 업무를 개시하였다.
IMF의 목적은 가맹국간의 협의를 통해 국제 통화협력을 촉진하는 한편 국제 무역의 확대균형과 모든 가맹국의 공용 및 실질소득의 확대와 생산자원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이를 위해 외국환의 안정과 각종 제한의 철폐, 환위기에 처한 가맹국에 기금의 재원을 단기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제수지 불균형을 시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IMF는 돈을 융자해 주면서 경제정책수립과 운영에 폭넓게 관여하는 조건을 내걸어 비판을 받기도 한다.
IMF회원국들은, 주주가 주식회사의 자본금을 내듯 저마다 IMF 자본금을 내고 자국이 출자한 만큼(출자지분 = ‘쿼터’라고 부른다)의결권을 행사한다. 국민소득과 무역, 외환보유고 등을 감안한 경제력을 따라서 돈이 많은 나라가 그만큼 많이 출자하게 된다. 1997년 12월 현재 회원 186개국 중 미국, 독일, 일본, 프랑스, 영국 등 상위 5개국의 출자지분이 IMF 자본금의 40%를 차지하고 나머지 개도국들은 상대적으로 자본이 적다. 미국은 18.5% 정도의 가장 큰 지분을 갖고 있다. IMF의사결정은 의사결정의 중요도에 따라 총지분의 과반수이상 찬성, 총 지분의 70%이상 찬성, 총지분의 85%찬성 등으로 결의요건을 세분화하고 있다. 따라서 지분변경, 협정변경 등의 결의요건이 85%를 넘는 주요 핵심사항들은 지분이 18.5%인 미국의 동의 없이는 사실상 이뤄질 수 없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러고 보니 IMF도 주요한 의사결정을 하기 전에 미국과 사전협의를 하는게 관행이고 미국은 IMF의 의사결정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IMF 본부가 미국 워싱턴에 있는 것도 우연이 아니다.
참고문헌
고인영 / 바이오클러스터 지원체계 현황분석 및 효율적 발전방안, 한림대학교, 2007
소천 / 아시아 외환위기가 정보이전효과에 미친 영향 분석, 부산대학교, 2010
안승국 / 아시아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과 민주주의, 한국아시아학회, 2007
이희재 / 국제경제환경의 변동과 신흥공업국 : 아시아 신흥공업국을 중심으로, 한국무역학회, 1988
정일용 / 동아시아 경제모델과 아시아적 가치, 한국경제발전학회, 1998
채영숙 / 한·중·일 게임 시장과 교육 현황,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 가격7,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2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