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치료][놀이치료 재료][놀이치료 과정][놀이치료와 치료자][놀이치료와 정신분석 관계]놀이치료의 약력, 놀이치료의 가치, 놀이치료의 재료, 놀이치료의 과정, 놀이치료와 치료자, 놀이치료와 정신분석 관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놀이치료][놀이치료 재료][놀이치료 과정][놀이치료와 치료자][놀이치료와 정신분석 관계]놀이치료의 약력, 놀이치료의 가치, 놀이치료의 재료, 놀이치료의 과정, 놀이치료와 치료자, 놀이치료와 정신분석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놀이치료의 약력
1. 1928년
2. 1930년대 후반
3. 1930년대
4. Virginia Axline(1957)
5. Ginnott(1959, 1961)
6. Guerney(1964)
7. Brody(1978)
8. O'Connor(1991)
9. 1982년

Ⅲ. 놀이치료의 가치

Ⅳ. 놀이치료의 재료
1. 장난감의 선택기준
2. 구체적인 장난감의 예

Ⅴ. 놀이치료의 과정
1. 정의
2. 대상 아동

Ⅵ. 놀이치료와 치료자
1. Allen(1933)
2. Taft(1942)
3. Moustakas(1959)

Ⅶ. 놀이치료와 정신분석의 관계
1. 놀이치료와 정신분석과의 관계
2. 정신분석적 치료에서의 놀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 그러므로 아동이 치료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효과적인 상호작용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3. Moustakas(1959)
아동이 개별화되는 것을 돕고, 치료사와의 안전한 관계를 안전한 집으로 사용하여 대인관계 상황을 탐색하는 것을 돕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즉 아동의 분화(individuation)에 초점을 두며, 또한 아동의 내면적인 세계를 확장시켜야 한다고 강조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치료자와의 관계가 안정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치료자는 아동 자신이 하나의 인격체로 치료자에게 대우받고 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관계놀이치료에서는 아동으로 하여금 과거 경험을 설명하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여겨 치료자는 아동의 과거 경험이 아닌 현재의 느낌이나 행동에 초점을 둔다. 아울러 이것은 치료기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llen과 Taft는 아동이란 건설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힘을 내면에 갖고 있는 존재이므로 아동에게 놀이를 할지, 하지 않을지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주어야 하며, 또한 어떤 놀이 활동을 할지도 아동 스스로 선택하게 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런 선택의 자유를 주는 이론적인 근거는 아동은 자신과의 싸움에서 자신과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점차 갖게 될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또한 아동 자신의 성장과정에 대한 책임은 아동 자신이 스스로 갖고 있다고 가정하는 이론이므로 치료자가 계획한 것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아동 자신이 어려움을 느끼는 것에 초점을 두기 때문이다.
아동에게 완전한 자유를 허락하는 관계놀이치료는 아동이 원하기 전까지는 치료자가 놀이에 직접 개입하지 않으나 놀이과정에서 드러나는 모든 경험들은 자연스러운 토의과정을 통해 충분히 다루어진다.
Ⅶ. 놀이치료와 정신분석의 관계
1. 놀이치료와 정신분석과의 관계
놀이치료는 원래 정신분석에서 아동을 치료할 때부터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치료사가 아동과 원만한 치료적 관계를 맺는 방법으로 놀이가 활용되는 정도였으나, 차츰 놀이가 갖고 있는 강력하고 효과적인 치료적 힘을 발견하게 되면서부터 놀이치료이론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2. 정신분석적 치료에서의 놀이
정신분석적 이론에서는 쾌락원칙(pleasure principle), 반복강박(repetition compulsion), 능동화(from passivity to activity), 동화과정(assimilation process), 제반응(abreaction), 극복의 본능(instinct of mastery), 현실로부터의 탈피(leave from reality), 환상 등으로 놀이를 바라본다. 아동이 하는 놀이는 아이의 내면세계에 대한 단서가 된다고 간주한다. 그래서 놀이의 내용을 강조하고 분석가는 아동의 무의식적인 요소와 전이(transference)에 초점을 둔다. 아동의 놀이에 대한 해석을 통해 치료를 하게 된다.
참고문헌
ⅰ. 김경원(2008), 놀이치료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 관계 변인, 대진대학교
ⅱ. 유미숙(1997), 놀이치료의 이론과 실제, 상조사
ⅲ. 히로나카 마사요시 저, 이정숙 외 1명 역(2006), 놀이치료와 아동의 심리세계, 시그마프레스
ⅳ. Athena A. Drewes, Lois J. Carey 외 1명 저, 민성원 역(2010), 학교놀이치료, 시그마프레스
ⅴ. DEBORAH KILLOUGH MCGUIRE 저, 김광웅 외 2명 역(2008), 놀이치료에서의 부모상담, 시그마프레스
ⅵ. GARRY L 저, 유미숙 역(2009), 아동문제별 놀이치료, 학지사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27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