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경영][복지경영 내용][복지경영 평가제도][복지경영 품질경영][복지경영 TQM][복지경영의 과제][사회복지]복지경영의 내용, 복지경영의 평가제도, 복지경영의 품질경영(TQM), 향후 복지경영의 과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복지경영][복지경영 내용][복지경영 평가제도][복지경영 품질경영][복지경영 TQM][복지경영의 과제][사회복지]복지경영의 내용, 복지경영의 평가제도, 복지경영의 품질경영(TQM), 향후 복지경영의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복지경영의 내용
1. 직접 서비스 위주의 실천모형
2. 사례관리 위주의 실천모형
3. 보편적 서비스, 사회통합 위주의 실천모형

Ⅲ. 복지경영의 평가제도
1. 개요
2. 평가기준
3. 평가결과
1) 총평
2) 부분별 평가결과

Ⅳ. 복지경영의 품질경영(TQM)

Ⅴ. 향후 복지경영의 과제
1. 사회복지의 비젼을 세우자
2. 사회복지의 새로운 개념
3. 사회복지사들을 온 세상 모든 삶의 영역으로 보내자
4. 비 전공자들의 복지참여를 지원하고 협력하자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더 큰 애정으로 희생적으로 일하시는 분들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전공이니 전문이니 하면서 배타적이지 않았는지, 비전공자들의 마음에 상처를 주고 참여를 막으며 떠나가게 했던 적은 없는지 반성해보자.
타 전공자 혹은 비전공자들과의 공존, 협력을 위해서는
첫째, 우리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더욱 선명하게 하여 사회복지 전공자로서 우리의 역할, 우리의 몫을 충실히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더욱 헌신되고 철저히 준비된 사회사업가, 실력있는 사회사업가, 도덕적이고 청빈한 사회사업가가 되어야 한다. 이렇게 할 때 비로소 일반 대중을 사회복지에 끌어 들일 수 있는 구심력을 갖게 된다.
둘째, 우리만이 복지의 전문가인양 교만하거나 배타적이어서는 안된다. 우리는 더욱 겸손해야 하고 타 영역, 타 전공자를 존중하고 인정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그분들을 아는 지식, 그분들과 협력할 수 있는 지식이 있어야 한다. 이렇게 할 때 비로소 타 전공자들을 통해 사회복지를 대중속으로 퍼뜨리고 확장시켜가는 원심력을 갖게 된다.
“시민들의 사회복지 이해와 참여를 위해선 사회복지 대중화를 ! ”
http://welfare.or.kr/library/2000/복지대중화.htm
은평천사원의 사회사업가로서 도서출판 인간과 복지를 운영하시는 이명묵 선생님께서는 제1회 사회복지의 날 기념 세미나의 주제강연에서 다음과 같이 사회복지 대중화에 대해 역설하였다.
이명묵 선생님께서는 먼저 국민을 상대로 복지교육을 할 것을 촉구하였다.
“복지교육은 현대 사회의 시민생활 속으로 복지이념을 확산시켜 시민들이 복지이념을 생활화 하도록 하는 교육시스템입니다. 즉 사회복지 이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복지행동의 대중화를 꾀하는 것으로, 교육의 장은 복지현장, 학교, 직장, 사회단체, 지역사회 등이며 활동의 장은 복지현장을 비롯하여 우리 사회 전체가 될 것입니다. ”
또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대중과 교류하고 기여하는 타산지석 몇 가지와 사회복지가 대중에 기여할 수 있는 예들을 소개하시면서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다.
“과거와 같이 이 사회의 그늘진 곳을 찾아다니며 전문적 자비를 베푸는 사회복지가 계속 된다면, 후세는 우리를 악어새로 평가할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우리가 사회복지 개념을 확대하고 영역을 사회 전체로 하여 사회와 국민의 생활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시원시원하게 풀어나갈 때, 그러면 시민들은 사회복지를 이해하고 지지하고 참여할 것입니다.”
Ⅵ. 결론
복지국가의 위기의 증상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은 1970년대 중반 이후에 복지국가들의 악화된 경제적 상황이다. 서구의 복지국가들은 1950~60년대 대부분 경제 성장을 이룩하였고, 실업률 또한 낮아 전반적으로 경제적 상황이 호황기를 이루었는데 1970년대 중반 이후 경제상황이 나빠지기 시작한 것이다. 이렇게 나빠진 경제상황은 복지국가의 위기에 두 가지 측면에서 기여한다. 하나는 복지국가의 지나친 확대가 바로 이러한 경제 상황을 악화시켰다는 측면이다. 즉, 복지국가의 지나친 확대가 산업생산 부문을 위축시키고 노동공급을 감소시키고 저축과 투자의 감소를 유발시켜 전체 경제상황을 나쁘게 만들었다 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복지국가 확대는 경제상황을 더욱 악화시켜 자본주의 경제를 붕 괴시킨다는 두려움의 표현이다.
다른 하나는, 비록 복지국가의 확대가 직접적으로 경제상황을 유발하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나쁜 경제상황에서는 복지국가의 확대를 하려고 해도 할 수가 없는 측면에서의 위기혹은 한계이다. 즉. 경제상황이 나빠지면 실업률이 높아지고, 이들에 대한 사회복지 욕구가 증가되어서 사회복지에 사용해야 할 지출액이 크게 늘어나야 하는데, 납세자의 숫자감소에 따라 세입액이 감소되므로 사회복지에 지출할 재원이 모자라게 된다, 이러한 수입과 지출의 차이가 벌어지는 데서 오는 위기인 것이다.
복지국가의 위기의 내용을 구성하는 또 다른 하나는 정부의 과대부담현상이다. 대부분의 나라들은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정부의 역할이 확대되기 시작했고, 1950년대 중반이후에는 일부 국가의 경우 정부지출이 GNP의 50%를 넘는다. 이러한 과대한 정부지출에서 사회복지 지출이 가장 큰 몫을 차지하기 때문에, 정부의 과대부담의 문제는 복지국가의 문제로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다. 정부의 과대부담은 두 가지 면에서 위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나는 국가 부문의 지나친 확대로 여러 가지 비효율성을 발생시킨다는 측면이다. 정부의 사회복지 지출은 많은데도 불구하고 그것의 효과는 상대적으로 적다는 문제이다. 즉, 국가부문의 확대는 관료제의 확대를 가져와 수혜자들의 사회복지에 대한 수요에 신속하고 융통성있게 대응하기 어렵게 만들고, 또한 경쟁체제가 아니기 때문에 불필요한 부분에 지나치게 많이 지출하거나 혹은 필요한 부분에 적게 지출을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 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복지국가의 비효율성 측면에서의 위기보다 더 심각한 것은 정부의 과대부담으로 결국 정부가 정치적으로 파산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다. 정부의 정치적 파산(political bankruptsy)은 정부가 공공지출을 늘리고 주어진 경제능력 이상으로 국민들의 실질소득을 늘림으로 전반적으로 경제에 부담을 준다. 그 후 두 번째 단계에서는 과대한 공공지출로 인한 경제적 부담으로 경제 상황이 나빠져 실질소득이 감소되거나, 늘어난 공공지출을 위한 세금의 증가 등으로 국민들의 가처분소득은 줄어들 수 있고, 국민들은 정부에 대한 높은 기대가 실망으로 변하게 된다. 마지막 단계로는 국민들의 정부에 대한 신뢰감 상실이 되고 이것이 계속되면 결과적으로 정부는 통치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고경환, 김보영 외 1명 - 복지경영의 이론적 논의와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김정아 - 사회복지와 경영 마케팅 전략,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06
노인성 - 복지경영연구, 경기복지재단, 2012
박용득 - 복지경영, 사회복지를 새롭게 디자인 한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7
서상목 - 서비스 제공자 삶의 질 향상은 복지경영 실천의 기본 원칙,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0
한성수 - 복지경영의 신조류,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2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30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