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의 한국 문학사적 특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30년대의 한국 문학사적 특성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시대적 배경

Ⅱ. 30년대 문학의 특징

Ⅲ. 30년대의 시

Ⅲ. 30년대의 소설

Ⅳ. 30년대의 평론과 극

본문내용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력의 문제와 세대간의 갈등을 그리고 있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가족 소설로는 염상섭의 「삼대」가 있다 염상섭의 작품들은 각 세대간의 정신적인 갈등과 가족의 운명을 통해 당대 현실에서의 인간의 모습을 잘 그려내고 있다. 특히 「삼대」는 식민지를 살아가는 할아버지, 아들, 손자의 3대에 걸친 시대의식을 보여줌으로써 식민지 시대의 인간의 삶을 총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김남천의 「대하」는 비록 미완의 작품이지만 봉건사회의 붕괴과정을 그리고 있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채만식의 「태편천하」도대표적인 가족사 소설의 하나로 꼽을 수 있다.
(2) 소설의 장편화
이 시기에는 장편소설의 창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현실 탐구와 사회적 진형의 창조가 이루어 졌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염상섭의 「삼대」, 심훈의 「상록수」, 채만식의 「탁류」와「태평천하」, 강경애의 「인간문제」, 현진건의 「무영탑」등이 있다.
(3)여류작가의 대거 등장
이 시기 우리 소설사에서의 또 다른 특징이라면 여류 작가와 여성 문학의 약진이다. 이는 남성 중심의 문학사에서 여성 문학의 위치를 비로소 정립했다는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대표작으로는 가난과 자연 재난의 문제를 파고 든 박화성의 「추석 전야」, 「홍수 전후」, 「한귀(旱鬼)」,「고향 없는 사람들」과 현실 속에 내재해 있는 생활의 빈곤 현상을 그린 강경애의 「어머니와 딸」, 「모자」, 「어둠」, 「지하촌」, 「인간 문제」가 있다. 또 백신애는 「적빈」, 「꺼래이」, 「매소부」, 「여인 명령」등의 작품에서 여성적인 감성이나 사고의 영역에서 여성 리얼리즘을 확보하였고, 최정희는 3부작인 「지맥」,「천맥」,「인맥」 그리고 「인간사」 등의 작품을 통해 섬세하게 형상화된 여성 의식을 보여주었다.
Ⅳ. 30년대의 평론과 극
(1) 퇴조기 카프계열의 비평
<물논쟁>으로 대표되는 임화와 김남천의 일원론과 이원론 논쟁이 보여주듯이 30년대 카프계열의 비평은 세계관과 창작방법론의 분리현상이 일어난다. 카프의 해체와 함께 프로문학론은 관념적 재단적 논리에 대한 자기반성과 범 순수 문학파의 거센 반발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주의 문학과는 상당히 동떨어진 데에까지 눈을 돌리게 된다.
(2) 순수문학 계열의 비평
이데올로기 비평의 퇴조와 함께 문단의 관심과 주도권을 모은 순수문학론, 또는 예술주의 비평을 주도한 세력은 해외문학파, 시문학파, 구인회로 대표적 비평가로는 박룡철, 김환태, 김문집, 김기림, 최재서 등을 들 수 있다. 비록 서구적 이론의 적용에 그친 한계는 벗어나지 못했지만 현대 비평문학과 창작문학의 발전적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3) 주지주의 비평
김기림, 최재서, 이양하 등으로 대표되는 주지주의 계열 비평계는 프로문학의 약화로 인한 문단의 공백과 적극적인 이념문학을 할 수 없는 시대적 상황, 그리고 전문적인 외국문학 전공자들의 대거 등장으로 인해 나타난다. 그들은 비록 당대 현실과 괴리되어 있지만 서구 모더니즘, 특히 영미 주지주의 문학론을 도입해 문학적 인식의 폭을 확대했다.
(4) 극예술 연구회의 활동
1931년 서항석, 유치진, 홍해성, 윤백남, 김진섭, 조희순, 최정우 등이 함께 설립
극예술에 대한 일반의 이해의 확대, 극예술의 올바른 방향 정립, 진정한 의미의 한국의 신극 수립 등을 목적으로 내세우고 희곡창작은 물론 전문 극단으로서 본격적으로 공연 활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1939년 5월 제 24회 공연을 마지막으로 해산. 서양의 근대적인 연극운동을 실천하고자 하였고 창장극 공연에 관심을 기울여 새로운 극작가를 발굴하였다.
(5) 사실주의 극의 확립과 연극의 대중성
30년대는 희곡의 작품 성향은 리얼리즘극 형식과 신파적 대중극으로 대별되고, 주제에 있어서도 신파의 멜로드라마와 사회학적 현실묘사 등 두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신파극은 당시대의 유교적 전통이 무너지고 식민지시대에 일본의 무자비한 전체주의 체제 아래에서 대중들은 깊은 좌절과 체념, 불안 속에서 도피처로서 성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신파극을 저질 상업극으로 몰아치면서 서구적 리얼리즘 희곡을 추구한 인텔리극작가들은 식민통치하의 민족적 질곡을 폭로하고 비판하는 작품을 쓰게 된다. 무엇보다 30년대 희곡의 주류는 초기적인 사실주의 실험과 정착이다. 상업극작가와 리얼리즘 극작가, 프롤레타리아 극작가 등 다양한 계열의 극작가들이 등장하게 된 것과 극장의 활성화로 30년대에 근대희곡의 기초가 다져진다.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8.29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59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