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회과의 성립과 발전과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반사회과의 성립과 발전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반사회과의 성립

2. 미국 사회과 교육의 탄생과 발달 과정.

3. 우리나라의 사회과교육

4. 마치며

본문내용

근, 상황 해석적 접근
사회 기능 중심, 사회 과학 중심, 인간 중심
라) 민주 시민의 공동체 의식 함양
마) 현대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사고 능력 배양
바) 시대 의식에 관한 요소 반영 - 사회적 요청 반영
사) 전통 문화 계승과 민족 문화 창조
중학교는 사회 현상의 통합적 인식과 사회 문제 및 합리적 해결력을 목표에서 강조하고 있다. 내용면에서는 사회생활에의 적용성, 유용성이 높은 것을 사례 중심으로 통합하여 지식 내용을 축소하였고, 사회적 기능가치 내용을 보강하였으며, 지구적 관점에서 사회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중시하였다. 방법 면에서는 통합적 교수-학습 방법과 사고력 함양을 위해 탐구학습, 개념 학습, 토의 학습, 문답학습, 시뮬레이션, 실험, 조사학습, 과제학습 등을 제시하고 있다.
고등학교는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탐구방법의 체계적 이해, 사회문제의 합리적 해결을 위한 지식 활용 기능 등 주로 기능 목표를 강조하고 있는데, 그 주요 내용은 사회 인식에 활용될 자료 처리 능력, 문제 해결을 위한 합리적 사고 능력, 사회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능력이다. 내용면에서 「공통사회」는 사회 문제 중심의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고, 전이력이 높은 차원의 지식 학습 능력을 함양하고자 하였다. 「정치」는 구체적인 정치 사례와 시민의 정치 참여, 한국 정치, 정책의 과제 강조, 「경제」는 경제적 삶에 대한 접근, 한국 경제 사회적 요청, 「사회문화」는 현대 사회의 변화와 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7) 제 7차 교육과정기(2000~)
제 7차 교육과정은 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신교육체제의 수립이라는 목적 아래 학생의 건전한 인성 발달을 도모하고, 다양한 능력과 적성을 존중하며, 독창적이고 유용한 지적 가치를 생산할 창의적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학생들이 교과목을 선택하여 능률적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이다.
우리나라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제 7차 교육과정은 추구하는 인간상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전인적 성장의 기반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
기초 능력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
민주 시민 의식을 기초로 공동체의 절번에 공헌하는 사람
교육과정에는 이러한 인간상을 육성하기 위한 방침으로 ‘사회 변화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기본 능력 배양,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체제 도입, 교육 내용의 양과 수준의 적정화, 학생의 능력과 적성 및 진로를 고려한 교육 내용과 방법의 다양화,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있어서 현장의 자율성 확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평가 체제를 통한 교육의 질 관리 강화’ 등 다양한 대안이 설정되어 있다.
7차 교육과정의 특징의 하나인 국민공통 기본 교육과정과 선택 중심 교육 과정의 도입은 초등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를 국민공통 교육과정으로 하였다. 사회 과목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10학년까지 공통과목으로 이수하고, 선택과목은 11학년, 12학년에서 일반선택과목과 심화선택과목으로, 인간사회와 환경은 사회의 일반선택과목으로,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지리, 한국근현대사, 세계사, 법과사회,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은 심화선택 과목으로 도입하게 되었다.
4. 마치며
우리나라의 사회과는 도입 초기 미국의 사회과를 모방하는 수준이었으나, 이후 한국 사회의 변화 및 발전상을 반영하여 사회과의 내용과 체제는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2,3차 교육과정 시기인 1960-70년대는 우리나라가 근대화, 산업화의 실현을 위해 강력한 중앙집권적 권력 구조를 추구함에 따라 사회과교육은 개인적 요구보다는 국가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민주화개방화의 사회 변화를 경험하게 되면서 민주시민교육의 질적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이에 4,5,6,차 교육과정은 이와 같은 요구를 사회과 교육에 수용하면서 사회과의 본질적인 목적인 시민성 함양과 통합적 성격을 지행하고 한국 사회에 적합한 사회과 교육을 정립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한편 7차 교육과정은 구성주의 이론과 열린 교육에 힘입어 정보화세계화 시대의 민주 시민적 자질 함양이라는 목표 아래 초중고교의 내용조직은 계통성과 통합의 조화를 추구하고 있다.
2000년부터 부분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사회과에 정보화의 진전과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른 각종 현상에 대한 이해와 정보윤리의식도 강화하고 있다. 또한 7차 교육과정에서는 10년간의 국민공통 기본 교육과정을 제시하면서 사회과의 통합성을 보다 강조하여, 지리, 역사 및 제 사회과학의 개념과 원리, 사회제도와 기능, 사회 문제와 가치 그리고 연구 방법과 절차에 관한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선정, 조직함으로써, 사회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탐구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지식, 기능, 가치, 태도에서의 요소들은 학문적 개념이나 생활의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하고, 각 학년 및 단원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서도 학문 및 생활 영역이나 지식, 기능, 가치, 태도가 통합되도록 구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교육부1997).
< 참 고 문 헌 >
김현석. 『일반사회교과교육론』. 형설출판사. 2004
안 천. 『신사고 사회과교육론』. 교육과학사. 2006
전숙자. 『고등사고력 함양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새로운 이해』. 교육과학사. 2006
『사회과 교육의 통합적 구성과 교수. 교육과학사』. 2002
차경수. 『현대의 사회과 교육. 학문사』. 2002
『21세기 사회과 교육과정과 지도법』. 학문사. 2000
최용규.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교육과학사. 2005
한면희. 『사회과교육. 교육과학사』. 2001
www.kice.re.kr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9.25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17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