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한국인 문학과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 이창래의『Native Speaker』,미라 스타우트의『천 그루의 밤나무』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미한국인 문학과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 이창래의『Native Speaker』,미라 스타우트의『천 그루의 밤나무』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아버지를 통한 정체성의 ‘변용’ ; 이창래『Native Speaker』
2. ‘어머니’(여성)로서의 고향 표상
결론

본문내용

만다.
결론
지금까지 이창래의『Native Speaker』, 미라 스타우트의『천 그루의 밤나무』의 두 작품을 중심으로 미주 지역 한인 작가 2세대의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을 분석해 보았다.『Native Speaker』에서는 주인공 헨리가 아버지와의 동일시를 통해서 무경험적 공간인 모국=고향을 자기 학습, 이를 표상화하는 과정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체성의 변용은 결국 무(無)일 뿐인 절대적 자기 발견, 자기 소속의 공간은 존재할 수 없음을 깨닫고 ‘경계인’으로서의 자신의 위치를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단계, 그 자체로서 존재하는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을 발견하도록 이끈다.
이러한 양상은『천 그루의 밤나무』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전자는 그러한 인식이 작품 내면에 깔려있는 반면에, 후자는 어머니의 이야기가 전면에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다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주인공 ‘나’는 어머니의 기억을 자신의 기억으로 인식하고 그러한 과거의 그리움, 아픔, 애환의 근원을 찾아 직접 여행을 떠난다. 그러나 환상을 통해 자신이 욕망하던 것은 결국 공허한 것임을 깨닫고 어머니로부터 분리된 자기 자신의 혼종적 정체성을 인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어머니’가 무한한 동경의 공간으로서 고향 표상으로 작용하는 것을 요나 콤플렉스(자궁으로의 회귀 본능)와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결국 이민 2세대들이 느끼게 되는 ‘소속없음’, ‘국가없음’ 등의 상실감은 자신들을 어느 한 곳에 위치시키려고 하는, 즉 순수한 정체성의 공간에 자신들을 귀속시키려고 하는 과정 중에 생겨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무(無)의 공간은 경험조차 부재한 ‘고향’이 되고, 1세대로부터 변용된 운명적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욕망과 좌절과 상실은 주체의 테두리 내에서 끊임없이 반복하고 재생산함을 거듭하는 긴 여정이 되는 것이다.
참고 문헌
구은숙,「「네이티브 스피커」에 나타난 인생 스파이로서의 작가」,『현대영미소설』제7권 1호, 2000
권명아,「여성 수난사 이야기와 파시즘의 젠더 정치학」,『문학 속의 파시즘』, 김철 신형기 외, 삼인, 2001
김춘식,『근대성과 민족문학의 경계』, 역락, 2003
김복순,「여성 광기의 귀결, 모성혐오증」,『페미니즘은 휴머니즘이다』, 한국문학연구회, 한길사, 2000
권혁경임진희,「아시아계 미국문학 연구」,『현대영미소설』제5권 2호, 1998
미라 스타우트 지음, 최인자 옮김,『천 그루의 밤나무 上,下』, 문학세계사, 1998
박진영,「이산적 정체성과 한국계 미국작가의 문학」,『창작과 비평』, 2004년 봄호
서종택,「향수와 페이소스의 세계」,『작가연구』3, 새미, 1997
심진경,「오정희 초기소설에 나타난 모성성 연구」,『한국문학과 모성성』, 서강여성문학연구회 편, 태학사, 1998
우제원,「Ralph Ellison의 Invisible Man과 이창래의 Native Speaker의 인물 정체성 비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왕철,「「네이티브 스피커」에서의 엿보기의 의미」,『현대영미소설』제3집, 1996
월터 K. 류,「세계화를 넘어서 : 통문화적 상호텍스트성의 전초병으로서의 한국계 미국 문학」.『외국문학』1995년 가을호
이소연,「재미한인문학개관Ⅱ」,『한민족 문화권의 문학』, 김종회 편, 국학자료원, 2003
이우현,「이민자의 정체성 위기와 그 극복 - 이창래의 「네이티브 스피커」를 중심으로」,『한민족 문화권의 문학』, 김종회 편, 국학자료원, 2003
Chang-rae Lee,『Native Speaker』, riverhead books, 1995
이창래 지음, 정영목 옮김,『영원한 이방인』, 나무와 숲, 2005
「어떤 언어를 쓸까 과도하게 집착한다 ; 재미작가 이창래씨 인터뷰」, 《시사저널》, 1999년 9월 30일
임진희,「아시아계 미국문학에 나타난 언어의 재정의를 통한 탈식민적 정체성의 추구」.『영어영문학』제45권 3호, 1999
정진선,「언어와 문화적 무의식: 이창래의 Native Speaker」,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치누아 아체베,『제3세계 문학과 식민주의 비평』, 인간사랑, 1999
프란츠 파농, 이석호 옮김,『검은 피부, 하얀 가면』, 인간사랑, 1998
하인즈 인수 펜클,「아시아계 미국 문학과 한국 문학 : 세계문화의 시각에서 본 공동의 문제점과 도전」,『외국문학』, 1995년 가을호
홍준기,「자끄 라깡, 프로이트로의 복귀」,『라깡의 재탄생』, 창작과 비평사, 2002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9.25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17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