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영의 고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기영의 고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 제기

2. 황폐화된 고향

3. 공동체 회복을 통한 새로운 고향 만들기

4. 이상향으로서의 고향

5.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존재하는 평온한 지역은 아니다. 일제에 의해 도입된 사회구조적인 제도인 지주와 소작인이라는 식민지 현실상황에서 지주와 소작인이 정면대결하면 패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소작쟁의의 결말이 안승학의 치부를 협박하여 승리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소작인들이 상호부조하여 공동체로 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이상향으로서의 고향을 지향했다고 볼 수 있다. 식민지 현실 상황의 모순은 항상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일제의 폭력성으로 인해 고향은 황폐화할 수밖에 없다. 그런 식민지 현실의 황폐화된 고향에서 극복불가능해 보이지만 하나의 대안으로 이상향으로서의 고향을 추구했다고 볼 수 있다.
5. 결 론
『고향』은 김희준이라는 지식인이 동경에서 귀향하여 근대산업을 대면하면서 귀향에 대한 목적을 계몽과 각성에 두고 5년 동안 더욱 황폐해지고 몰락한 고향을 재건하고자 했다. 그의 고향 원터 마을의 농민들은 일제에 의해 도입된 자본주의 모순으로 빚어진 가난을 해결하기보다는 자신의 운명으로 체념하고 있었다. 김희준의 매개로 농민들은 사회구조적인 모순을 깨닫고 주체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가지게 되고 농민공동체를 통해 결국은 소작쟁의에 이르러 승리하게 된다. 그리하여 김희준과 함께 자신들이 잃어버리고 황폐화된 고향을 공동체를 통해 새로운 고향을 만들고자 했다.
읍내에 있는 제사공장의 노동자인 인순, 갑숙과 방개도 근대산업화로 인한 사회구조적인 모순을 깨닫고 파업을 한다. 그들의 고향은 지리적으로 존재하는 평온한 지역은 아니다. 일제에 의해 도입된 사회구조적인 제도인 지주와 소작인이라는 식민지 현실상황에서 지주와 소작인이 정면대결하면 패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소작쟁의의 결말이 안승학의 치부를 협박하여 승리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소작인들이 상호부조하여 공동체로 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이상향으로서의 고향을 지향했다고 볼 수 있다. 식민지 현실 상황의 모순은 항상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일제의 폭력성으로 인해 고향은 황폐화할 수밖에 없다. 그런 식민지 현실의 황폐화된 고향에서 극복불가능해 보이지만 하나의 대안으로 이상향으로서의 고향을 추구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기본자료
이기영, 『고향』, 풀빛, 1989.
유진오, 「가을」,「창랑정기」,『한국소설문학대계 16』, 동아출판사, 1995.
이기영, 「대지의 아들」,『신문연재 소설전집 3: 1930년대-1940년대』, 깊은샘, 1987.
이무영, 「제일과 제일장」,『한국단편문학전집 1』, 진문출판사, 1980.
김남천, 「사랑의 수족관」,『신문연재 소설전집 3: 1930년대-1940년대』, 깊은샘, 1987.
이효석, 「인간산문」,『이효석 전집 1』, 영호출판사, 1981.
박화성,「고향 없는 사람들」,『한국단편문학전집 1』, 진문출판사, 1980.
박태원,「천변풍경」,『고교생이 알아야 할 소설 5』, 신원문화사, 1996.
2. 단행본
강이수, 「공장체계와 노동규율」,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문화과학사, 2000.
김연수,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이기영『고향』」, 『20세기 한국 소설연구』, 국학자료원, 2002.
권유, 『민촌 이기영의 작가세계』, 국학자료원, 2002.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화과정연구』, 일지사, 1996.
박명진, 「30년대 유성기 음반 희곡의 근대성」,『1930년대 문학과 근대체험』,이회, 1999.
백성우, 『현실 변혁의 소설 담론- 이기영 소설연구』, 국학자료원, 1997.
신용하, 「두레와 농민문화」, 『현대자본주의와 공동체이론』, 한길사, 1987.
심혜련,「놀이공간으로서 대도시와 새로운 예술 체험」,『공간과 도시의 의미들』, 소명출판, 2004.
전광식, 『고향』, 문학과 지성사, 1999.
한형구, 「『고향』의 문학사적 의미망」, 『월북문인 연구』, 1989.
한승옥, 『한국현대 장편소설연구』, 민음사, 1989.
히루 후지타, 『도시의 논리』, 이정형 역, 도서출판국제, 1997.
Yi-Fu Tuan, 『공간과 장소』, 구동회심승희 역, 대윤, 1999.
게오르그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김덕영윤미애 역, 새물결, 2005.
David Harvey, 『포스트 모더니티의 조건』, 구동회박영민 역, 한울, 1994.
3.논문
김흥식, 「이기영 소설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1.
김희자, 「이기영 소설 연구」, 건국대 박사논문, 1990.
김성수, 「이기영 소설연구: 식민지시대 소설의 리얼리즘 성격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박사 논문, 1992.
권일경, 「이기영 장편소설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89.
김문정, 『1930년대 소설에 나타난 소비문화』, 동국대 석사논문, 2001.
김영근, 「일제하 일상 생활의 변화와 그 성격에 관한 연구- 경성의 도시공간을 중심으로」, 연세대 박사논문, 1999.
박영욱, 「이기영『고향』에 나타난 인물유형과 갈등 연구」, 인하대 석사논문, 1992.
원덕기,「이기영『고향』의 인물 유형 연구」, 동국대 석사 논문, 1998.
서은주, 「이기영 소설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1991.
이혜경, 「이기영 소설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91.
이대규, 「한국 근대 귀향소설연구」, 전북대 박사논문, 1994.
이상경, 「이기영 소설의 변모과정 연구」, 서울대 박사 논문, 1992.
정은숙, 「이기영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식 연구」, 인하대 석사논문, 2001.
정동철, 「이기영『고향』의 인물연구」, 한국교원대 석사논문, 1993.
홍길선, 「이기영의 『고향』에 나타난 갈등연구」, 수원대 석사논문, 1997.
4. 잡지
김동환, 「고향론」, 《민족문학사 연구》, 1991.
류보선, 「현실적 운동에의 지향과 물신화된 세계의 극복-『고향』론」,《민족문학사 연구》3, 민족문학사 연구소, 1993.
조영복, 「김기림 수필에 나타난 일상성」, 《외국문학》, 1995 여름호.
한기형, 「『고향』의 인물전형 차조에 대한 연구 (1)」, 《반교어문연구》2, 1990.
한기형, 「이기영 문학의 사상적 근거」, 《반교어문연구》3, 1991.
최혜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나는 산책자 연구」, 《관악어문연구》제13집, 1988.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9.29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2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