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기초 -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관, 사회복지를 위한 실천적 준거틀, 사회복지 치료방법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기초 -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관, 사회복지를 위한 실천적 준거틀, 사회복지 치료방법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관
1) 사회복지실천기술(social work skill)의 개념
2) 사회복지실천 용어의 정의
3)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위치

2. 사회복지를 위한 실천적 준거틀
1) 실천 준거틀의 조건
2) 실천 준거틀 선택을 위한 지침
3) 선택된 실천 준거틀과 관점
4) 실천이론과 모델들

3. 사회복지 치료방법
1) 개별적 방법
2) 단기치료
3) 장기적 치료
4) 간접적 치료(indirect services)
5) 직접적 치료(direct services)
6) 협동법
7) 병행법
8) 공동법
9) 순차적 치료
10) 위기개입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 중에 치료의 목적에 이탈되었나를 알기 위해 때때로 평가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장기적 치료에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 긍정적 측면을 보면, 첫째, 장기치료만으로 클라이언트를 도울 수 있을 때, 둘째, 클라이언트의 사회기능이 향상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 셋째, 개인이나 가족이 원하고, 그것이 분명하게 표현되었을 때, 넷째, 장기치료가 필요함을 뒷받침하는 진찰적인 해석이 중요할 때 치료에 긍정적이며, 부정적인 측면은 첫째, 목적달성을 위해서 위기개입이 더 적절한 방법일 때, 둘째, 대처기능이 약할 때 부정적이다.
4) 간접적 치료(indirect services)
간접치료 기법은 클라이언트의 사회 관계적 측면을 다시 찾거나 증대시키기 위환 노력이다. 여기에는 클라이언트를 정서적 문제분만 아니라 생활상의 문제를 지닌 총체적인 인간으로 취급하려는데 있다. 이것은 클라이언트나 지역사회 자원을 작용하여 서비스로 구별하기 위함이다.
5) 직접적 치료(direct services)
직접적 치료는 본인 당사자를 치료하는 것이다. 이 치료는 정서적 균형을 유지케 하고, 건설적인 결정을 내리게 하며, 성장과 변화를 이행하게 한다. 치료기법은 지지법, 지시법, 통찰 등을 사용한다. 직접적 치료에는 구체적 서비스와 환경조정이 있으며, 구체적 서비스에는 경제부조, 주택, 법률부조, 의료, 캠프활동 등이 있고 환경조정에는 ‘중요한 타인(significant other's)을 대상으로 한다.
6) 협동법
클라이언트를 여러 사회복지사가 치료하는 방법으로 사회복지사 사이의 의사소통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방법은 부모와 자식을 각각 개별적으로 취급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 협동치료의 성공여부는 사회복지사 각자가 치료자로서 능력과 성숙한 자아의식을 가질 때, 상대방 사회복지사를 존중할 때 효과가 있다. 이 방법은 사회복지사의 협동에 많은 시간을 빼앗기고,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에 값비싼 방법이라 생각되며, 전이와 역전이를 취급하는데 문제가 있다.
이 협동법은 사회복지사 사이가 긍정적일 때, 클라이언트에게 학습을 증대시키고, 스스로 발전하는데 가장 빠른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 방법의 치료효과는 이 방법의 유효성과 함정을 인식하고, 사회복지사가 평가함에 크게 좌우한다.
협동법에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 긍정적 측면을 보면, 첫째, 한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일부를 치료해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을 때, 둘째, 성(性)이 다르거나 치료모텔이 다른 사회복지사가 이 방법을 추천할 때, 셋째, 충분한 이유를 갖고서 클라이언트가 같은 사회복지사에게 치료를 거부할 때 긍정적이며, 부정적인 측면은 첫째, 클라이언트 사이에 균형을 유지하는데 치료자의 개업이 필요할 때, 둘째, 협동치료를 같이 할 만한 마땅한 동료가 없을 때는 부정적이다.
7) 병행법
병행법은 2명이나 그 이상의 가족원이나 클라이언트를 한 사회복지사가 따로 일정기간 치료한다. 이 방법에서는 전이와 역전이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방법의 효과 여부는 참여하는 구성원을 따로 취급하는데서 오는 효과를 정확하게 인식하느냐 하는 데에 달려있다.
병행법에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 긍정적 측면을 보면, 첫째, 내적 정신문제를 취급하여야 할 때, 둘째, 가족관계에 영향을 줄 만한 각자의 비밀, 개인감정을 다른 성원에게 털어놓을 수 없을 사정이 있을 때, 셋째, 어떤 성원이 완고한 방어기재를 사용했을 때 그것이 무너지면 그 개인이나 전체 체제가 심각한 위험을 야기할 때 긍정적이며, 부정적 측면은 첫째, 문제가 가정을 중심으로 존재하여 가정의 균형을 회복시키기 위해 공동치료나 가족치료가 바람직 할 때, 둘째, 클라이언트가 이 치료에 진전이 없을 때, 셋째, 2사람의 클라이언트가 서로 심각한 대립관계에 있으므로 이 방법이 불가능할 때는 부정적이다.
8) 공동법
공동법은 치료과정을 통해서 두 성인을 공동으로 면접하는 과정이다. 이 방법의 목적은 본인이나 상대에 의한 개념을 달리해서 느낌, 표현, 행동을 수정하도록 하는 것이며, ‘지금-여기’에서의 상호작용상의 문제에 초점을 둔다. 그리고 한 사람의 문제를 같이 처리하고, 상대로부터 치료자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공동법을 택한다.
공동법에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 긍정적 측면을 보면, 첫째, 가족원이 새로운 과업을 찾아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 둘째, 결혼 상대가 새로운 역할을 찾으려 할 때, 셋째, 강한 쪽의 부부가 약한 쪽의 부부를 도와야 할 때, 넷째, 부부사이가 나쁠 때 긍정적으로 사용하며, 부정적 측면은 첫째, 한 사람이 정신적, 내적 문제를 우선 치료받아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둘째, 결혼관계가 너무 병적이라서 상대 욕구에 관여하려고 하져 않을 때는 부정적이다.
9) 순차적 치료
한 치료 후 다른 치료 기간에 뒤따른 것 즉, 위기개입 후 집단치료를 하고, 다음에 상담을 하는 것과 같다. 위기개업 후 장기치료가 뒤따를 수도 있다.
10) 위기개입
단기치료의 일종이며, 위기는 일상적 사회기능이 전도됨으로서 현 문제에 봉착되어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없게 된 상태이다. 특히 전도된 이유는 ① 외세가 바뀌거나, ② 역할이 바뀌거나, ③ 의미 있는 관계를 상실했기 때문에 공경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위기개입을 하는 방법의 기준은 첫째, 최근의 발상으로 오래 된 사실이 최근에 와서 도움을 요청할 입장에 놓이게 되었을 때, 둘째, 문제의 긴급성에 따라 ① 클라이언트의 자아 약화, ② 클라이언트의 동기 약화, ③ 환경문제의 파생, ④ 성취되어야 할 목적의 변화(exchange of achievement goal), ⑤ 위기적 사건의 발생, ⑥ 사회복지사가 단기치료의 효과를 볼 자신이 있을 때, 이 방법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구혜영 저,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신정 2013
윤선오, 김현진 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양서원 2013
최선화 저, 풀어쓴 사회복지실천기술, 공동체 2012
설전화 저,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양서원 2013
엄명용, 김성천 외 저,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2011
조미숙, 유용식 외 저, 최신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동문사 2012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10.04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3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