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가족치료사로서 현장에서 근무하게 된다면 치료해보고 싶은 특정한 가족형태나, 특정한 가족문제를 제시하고 적용해보고 싶은 가족치료 모델에 대해 제시하고 그 이유를 기술 - 기러기 가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신이 가족치료사로서 현장에서 근무하게 된다면 치료해보고 싶은 특정한 가족형태나, 특정한 가족문제를 제시하고 적용해보고 싶은 가족치료 모델에 대해 제시하고 그 이유를 기술 - 기러기 가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치료해보고 싶은 특정한 가족형태(기러기 가족)

 2. 특정한 가족문제를 제시(기러기 가족의 문제)

 3. 구조적 가족치료모델에 대해

 4. 기러기 가족의 문제에 대해 구조적 가족치료 모델을 적용하는 이유

 5. 기러기 가족의 문제에 대한 구조적 가족치료 모델 적용
  1) 구조적 가족치료모델을 통해본 기러기가족의 가족체계 문제
  2) 기러기가족의 가족구조
  3) 구조적 가족치료에서 이야기하는 하위체계를 통해 본 기러기가족 문제
  4) 기러기가족의 가족구조 변화

 6.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족의 이면에 숨겨진 가족관계의 맥락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맥락적 접근이 기러기가족 현재의 가족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그리고 기러기가족의 결정 과정에 숨겨진 다양한 이유들이 그들 기러기가족에게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러기가족 생활 시작을 기점으로 가족관계의 변화를 살펴보면, 부부하위체계의 두드러진 약화가 나타난다. 특히 정서적 지지자로서 전혀 기능하지 못하고 부모하위체계로서만 기능하는 체계의 상실 내지는 소멸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정도의 심각한 가족하위체계를 나타낸다. 또한 오직 경제적 지원자로서만 존재하는 남편과 역할을 상실한 채 존재하는 아내의 모습이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기러기가족 부부의 현주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이것은 추후 이러한 부부관계가 기러기가족의 가족 합류시에는 부부관계를 재정립하는데 적응적 시간이 더욱 요구되게 하는 원인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을 짐작하게 한다. 또한 기러기가족의 부모자녀관계을 살펴보았을 때는 기러기가족은 점차 부자녀관계가 소원해지면서 모자녀관계가 밀착되어지는 관계를 보였다.
셋째, 기러기가족은 초기에는 기러기가족 생활에 대처양식을 찾지 못해 부적응하다가 곧 가족이 적응적 대안을 찾아 변화에 저항하는 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가족 내에서 상징적인 존재로서 기능하는 아버지의 이상화 현상이 있다. 또한 기러기엄마 개인체계의 독립성이 증대되면서 한부모가족의 부모와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하위체계가 점차 약화하면서 부부가 서로의 삶에 관심이 사라져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러기가족에게서는 부모가 동일하게 기능하는 부모하위체계가 아닌, 기러기엄마 중심의 부모하위체계로 기능하는 것과 특히 모자녀간 밀착된 관계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내가 가족치료사로서 현장에서 근무하게 된다면 치료해보고 싶은 특정한 가족형태(기러기 가족)나, 특정한 가족문제(기러기 가족의 문제)를 제시하고 적용해보고 싶은 가족치료 모델(구조적 가족치료모델)에 대해 제시하고 그 이유를 기술해 보았다. 현재 한국의 기러기아빠에 대한 통계는 없지만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2000년에서 2005년까지 유학을 위해 출국한 초중고 학생수가 6만 7000명에 달한다. 이를 감안할 때 자녀의 해외교육을 위해 자식과 아내를 해외로 보낸 ‘기러기아빠’도 약 3만에서 5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또한 직장에 따라서는 10% 이상이 기러기 아빠인 곳도 있다. 이와 같은 최근 한국사회에서 ‘기러기가족’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를 기존 연구를 통하여 세 가지 관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러기가족’을 선택하게 되는 사회적 배경과 조건들이 점차 능동적인 자세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는 분석에서 부터 찾아볼 수 있다. 과거에는 직업상의 이유로 부모와 자녀가 떨어져 살 수 밖에 없는 수동적인 성향을 보였으나 최근에는 부모가 자녀를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유학 동반을 선택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최양숙(2006)은 이와 같은 현상은 한국의 학벌사회와 교육열, 일류대를 졸업하여도 직장을 구하지 못하는 근시안적인 교육제도의 문제로 인하여 자녀의 조기유학을 보다 능동적으로 선택한다고 보고한다.
둘째, ‘기러기가족’의 형태가 계층을 막론하고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세계화에 맞는 인재 양성이라는 거시적인 목적 외에도,추후 직업 경쟁을 위해서 조기 유학이 필수 교육과정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기유학은 이제 더 이상 일부 부유 계층에만 한정된 현상이 아닌, 경제적으로도 빠듯하고 중산층을 겨우 유지하는 계층에게 까지 확산되고 있다.
셋째, 자녀 유학이 자녀의 교육환경 개선 뿐 아니라,‘일거양득’의 형태로 부가되는 조건으로 선택하게 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김양희, 장온정(2004)의 연구에 따르면, ‘기러기아빠’가 외국에서 근무했거나 기러기 엄마의 공부를 위하여 선택되는 경우, 부부간의 직업적개인적 성취를 위해서, 또는 부부간의 불화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선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참고문헌
김용태(2000). 가족치료이론. 서울:학지사.
한국가족문화원(2005). 21세기 한국가족문제와 대안. 도서출판 경문사.
김선미(2009). 기러기엄마로 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강유진(2005). 기러기가족의 초국적 적응전략 및 가족 경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조삼섭(2006). 조기유학 성공과 실패 사례조사 및 학부모 계도를 위한 홍보방안연구. 교육인적자원부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0.09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50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