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치시기 정한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명치시기 정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머리말

2.정한론의 등장배경

3.정한론의 기원

4.정한론의 전개 과정
1) 서계문제
2) 정한논쟁
3) 강화도 조약

5.정한론의 영향

6.맺음말

본문내용

자리는 없어진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이와쿠라는 사이고와 첨예한 대립을 시작하였던 것이다. 결국 근본적으로는 조선의 침략을 통해 국위선양을 하여 신정부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일본 내치를 위한 수단으로서 정한론이 대두되었지만, 이와쿠라와 사이고 사이에서 정권 쟁탈전으로 인하여 정한론의 논의 과정에서 명치 초기 일본은 당쟁에 휩싸이게 되었다.
정한론은 일본 침략주의의 실천적 방략을 제시하였고 더 나아가 일본 제국주의 사상적 토대를 구축하였다. 정한의 성공적 실행은 그들의 침략주의 사상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주었다. 유신 세력들은 이후 항시 국내의 문제를 국외로 눈을 돌려 해결하려하였다. 1920년 대 후반에 일어난 경제대공황은 일본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이에 일본은 만주를 점령하고 노구교 사건 1937년 7월 7일 야밤에 병사 한 명이 행방이 묘연한 것을 빌미삼아 중국을 전격적으로 침략한 사건
을 일으켜 중국을 침략하였다. 이러한 그들의 침략주의 사상은 1945년 2차 세계대전 패망 때까지 계속되었다.
6.맺음말
일본은 명치 유신이후 국내의 불안을 해결하기 위해서 정한론을 계획하였고, 그 첫 단계로 강화도 조약을 강압적으로 한국과 맺었다. 그 후 청일전쟁러일전쟁을 거치면서 조선에 대한 주도권을 청나라와 러시아로부터 얻게 되고, 1910년 한일병탄을 겪으며 조선은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일본은 국내외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근대화에 성공하여 서구 열강과 세계사 적으로 동등한 위치까지 오르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征韓論은 1885년 후쿠자와의 脫亞論, 1893년 다루이 도키치가 제시한 大東合邦論으로 더욱 발전하였다. 정한론은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적 야욕을 정당화시키기 위한 사상적 토대로 출발하여 이 시기에는 민간인 사이에 정한론은 넓게 퍼져가고 조선인에 대한 멸시적 인식 틀이 고착화 되었다.
오늘날 어느 정도 없어지기는 하였으나, 한국에 대해서 일본은 자신들이 우월하다는 인식을 버리지 못하고 있으며 자신들의 과오를 오히려 자신들이 조선을 근대화 시켰다는 논리로 정당화하고 있고, 나아가 재일교포에 대한 차별이 변함없이 남아있다. 1923년에 일어난 관동대지진 당시에 많은 한국인이 학살당하였다. 이 학살의 원인에 정한론과 같은 조선 멸시관이 일익을 담당했을 거라 생각한다. 이러한 우월의식은 고대로부터 출발하여 정한론으로써 분출되고 민간인에 이르기까지 전염된 것이다. 정한론적인 인식을 버리지 않는다면 한국과 일본과의 사이는‘가깝고도 먼 나라’라고 말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을까 싶다.
참고문헌
신용하,『한국 근대 사회 變動史講義』, 지식산업사, 2000
한계옥 지음·조약욱 옮김,『망언을 뿌리를 찾아서-征韓論의 계보』,자유포럼
스즈키 마사유키 지음. 류교열 옮김.『근대 일본의 천황제』,이산,1998
이현희, 『정한론의 배경과 그 영향』, 한국학술정보, 2006
장용걸, 『정한론과 조선 인식』, 보고사, 2004
가토 요코 지음 박영준 옮김, 『근대일본의 전쟁논리-정한론에서 태평양전쟁까지』, 태학사, 2003
  • 가격2,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0.10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51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