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지도] 전래동요의 정의, 전래동요의 의의, 전래동요의 유아교육적 가치, 한국 전래동요의 특성, 유아들이 좋아하는 전래동요의 특징, 전래동요의 재창작 과정, 외국 전래동요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지도] 전래동요의 정의, 전래동요의 의의, 전래동요의 유아교육적 가치, 한국 전래동요의 특성, 유아들이 좋아하는 전래동요의 특징, 전래동요의 재창작 과정, 외국 전래동요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전래동요의 정의

2. 전래동요의 의의

3. 전래동요의 유아교육적 가치

4. 한국 전래동요의 특성
① 운율
② 구성(構成)
③ 유형

5. 유아들이 좋아하는 전래동요의 특징
① 유형
② 언어적 특성
③ 선호하는 이유
④ 병렬 구조
⑤ 운율

6. 전래동요의 재창작 과정

7. 외국 전래동요
① 일본
② 미국
③ 프랑스
④ 독일

8. 핵심정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고 어려운 말이 적게 포함된 것을 선호한다.
③ 선호하는 이유
유아들이 좋아하는 노래의 선호 이유를 분류해 보면 '말이 재미있어서', '리듬이 재미있어서', '놀이(혹은 동작)이 재미있어서'로 나눌수 있다. '놀이(혹은 동작)이 재미있어서'의 이유는 동작놀이 노래에서만 비율이 높았다.
④ 병렬 구조
유아들은 반복적 요소를 바탕으로 한 병렬 구조로 된 부분을 선호하였다.
a. 행태의 병렬 : 음운, 어휘, 통사, 연의 병렬
b. 의미의 병렬 : 전개적 반복적 대립적 병렬
⑤ 운 율
전래동요는 대부분 2음보율 혹은 2음보 연첩인 4음보율로 된 것이 많다. 유아들은 동적이고 경쾌한 속성을 갖는 2음보율의 동요를 선호한다.
(2) 전래동요의 재창작 과정
최근 한국 어린이의 민족 주체성과 정체성 확립을 위한 전통교육을 일환으로 전래동요가 재발굴되기 시작했으며,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음악 교과서에도 전래동요가 실리고 있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현대 유아들에게 50~60년 전의 전래동요를 원형 그대로 제공하는 것이 문화적으로 혹은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한 논란이 있다. 왜냐하면 구비문학의 특성 중 하나는 기본적인 틀은 보존되지만 내용이나 수식어는 계속 변화하며 각 시대감각에 맞게 재창작된다는 것이다. 전래동요도 예외가 아니어서 구성이나 운율의 일정한 형식은 그 틀을 유지하면서 내용이나 수싯ㄱ어는 각 시내 유아들의 생활감각에 적합하게 변화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한국 전래동요는 시대에 따른 자연적인 변화나 재창조 작업 없이 60여 년의 오랜 단절 후에 현대의 어린이들에게 제공되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국 전래동요가 단절된 이유를 살펴보면, 일제의 조선어 말살정책으로 전래동요를 가장 애호했다고 볼 수 있는 학동기 아동이라는 많은 가창자를 잃게 되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일제 감정하에서 작가와 음악가들은 일제의 탄압이 비적 적었던 동요의 작사와 작곡에 매진한 결과 1930년대에 이른바 '창작 동요의 황금기'를 거치면서 훌륭한 창작동요들이 전래동요의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 광복 후 학교교육에서도 일제치하에서 마음대로 부르지 못한 주옥같은 창작동요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그리하여 전래동요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이러한 특수한 상황을 겪은 한국 전래동요도 시대에 따라 계속 변화하는 구비문학의 특성을 가지므로, 60여 년 전의 한국 전래동요를 자신들에게 노출된 전래동요를 어린이들의 감각에 맞게 재창작하는 작업을 막아서는 안될 것이며 필연적인 과정으로 받아들어야 할 것이다. 어떤 전래동요는 60여년 전의 것이라 해도 현대 어린이들에게 적절하면 어린이들은 변화시키지 않고 즐길 것이며, 어떤 전래동요는 구성과 형식은 유지하면서 어린이들에게 적합하고, 현대의 시대감각에 맞게 내용과 수식어를 바꿀 수 있을 것이다.
(3) 외국 전래동요
전래동요는 이미 15세기부터 불려지며 전해오고 있다. 조상들이 지역을 옮길 때 전래동요도 함께 옮겨졌기 때문에 세계 공통적으로 유사점이 발견된다는 설이 있다.
또 한편으로 인간이 가질 수 있는 희노애락을 포함한 여러 감정의 공통성으로 인하여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유사한 전래동요가 생겨나 전해지고 있다는 설이 있다. 이는 전래문학의 복기원설에 그 근거를 둔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 독일과 프랑스와 같은 지역적으로 가까운 나라에 비슷한 노래와 이야기가 존재하는 것은 한 곳에서 생겨나 퍼져나가기도 하고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① 일 본
일본의 전래동요의 특성은 소박하고 단순한 곡조가 붙어있고 노래에 맞추어 어린이의 놀이가 병행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공치기, 팥주머니, 줄넘기, 술래잡기, 손유희, 손가락 유희, 말꼬리 잇기 등도 다양하게 전승되고 있다. 또하나의 특성은 계절, 동 식물, 세시풍속 등 어린이의 성장환경의 모든 대상을 동요의 내용으로 삼고 있는 점이다. 따라서 전래동요를 민속학적인 시각에서 연구하는 사람도 있다.
② 미국
미국의 전래동요는 마더구즈(Mother Goose)나 동요(Nursery Rhyme)로 알려져 있다. 마더구즈는 전통적으로 매부리코에 긴 턱, 나는 수기러기를 탄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러한 얼굴은 일반적으로 마녀의 얼굴로 보인다. 마더구즈가 이렇게 묘사됨에도 불구하고 사랑받는 이유에 대해서는 쉽게 이해할 수 없으나, 아마도 긴 턱과 매부리코가 상냥한 사람처럼 보이거나, 아니면 날카로운 턱과 긴 코가 마녀처럼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인지로 모른다.
마더구즈에 대한 최초의 인쇄물은 1697년 프랑스 사람인 샤를르빼로(Charless Perrault)의 동화집 [엄마거위의 이야기 : Contes de Ma Mere Oye]으로 알려져 있다. 이 최초의 인쇄물은 동화집이었으며, 영어로 전해 내려오는 전래동요는 아니었다.
③ 독일
독일의 전래동요는 민요가 그 바탕을 이룬다. 헤르더(Johann Gottfried Herder)에 의해 1778~1779년 수집 출판된 [민요(Volkslie der)], 1808년 아르힘 폰 아느님(Arhim von Arnim)과 클레멘스 브렌타노(Clemens Brentano)의 민요 모음집 [분더훈 소년(Des Knaben Wunderhorn)], 1884~1845년에 인쇄된 루드비히 울란트(Ludwig Uhland)의 [Alte hoch-und niederdeutsche Volkslieder] 세 모음집이 독일 전래동요 수집의 대표적인 것이다. 여기에 부가하여 18세기의 시인이자 문하교수였던 붸스트팔렌(Faller sleben) 지방의 아우구스트 하인리히 호프만(August Heinrich Hoffmann)은 어린이를 위하여 수많은 민속 선율에 기사를 지었다.
참고문헌
이하원, 박희숙 외 저, 언어지도, 창지사 2012
서이영, 권윤정 외 저, 영유아 언어지도, 학지사 2011
강성화, 김경회 저, 영유아를 위한 언어지도, 동문사 2013
이영자, 박혜경 외 저, 언어지도, 양서원 2012
이영자 저, 유아 언어발달과 지도, 양서원 2013
이익섭 저, 한국언어지도, 태학사 2008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3.10.14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56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