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티우먼 (귀여운 여인/Pretty Woman)> : 자유기업과 결혼플롯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리티우먼 (귀여운 여인/Pretty Woman)> : 자유기업과 결혼플롯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프리티우먼> : 자유기업과 결혼플롯


0. 들어가기에 앞서
1. 이성애적 관행의 변화
2. 워킹걸의 출현
3. <프리티우먼>에서의 프리티 : 섹스어필과 패션감각
4. 결혼플롯
5. 창녀의 명예회복
6. 신데렐라의 발
7. 전신물신화와 여성소비자
8. 비비안의 승리과정
9. 결 론

본문내용

신은 앞서도 말했듯 욕망의 시각화와 관련되는 문제다. 시각화는 물질화를 필요로 하는 개념이다. 눈에 보여야 하니까. 그런데 욕망이 물질화되기 위해서는 소비를 필요로 한다는 점과, 의상 자체가 몸으로부터 해방되어 물신이 된다는 논문 안의 주장을 결합하면 “소비를 통해 누구나 프리티우먼처럼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암묵적으로 전달하는 셈이다. 논문은 “물신적인 순간의 힘, 그 매력은 물론 남자의 외설적 시선을 위해 구성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같은 순간은 자아도취적 순간이라는 여성소비자 문화의 수사학을 통해서도 재해석 될 수 있는 것이다”라고 주장한다. 이 말은 결국 같은 맥락에서 <프리티우먼>같은 영화를 통해 소비가 여성들에게 제공하는 환상과 쾌락을 강조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논문에서는 끝맺음 전에 흥미로운 문제 하나를 더 제기하는데, 그것은 “영화가 관객에게 제공한 변화들은 언제나 이미 발생했던 것”이라는 거다. Mulvey의 이론에 따라 논문의 저자는 비비안의 육체가 관음적 대상에서 물화된 대상으로 변모한다고 했지만, 이미 영화 도입부에 물화된 비비안의 모습을 전시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동영상 클립 : 오프닝(크레딧이 나오는 동안)>
또한 이 장면에서의 주인공은 줄리아 로버츠가 아니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여자는 대역이다. 공공연히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육체의 물신성을 환상적이고 표현적으로 작용시킨다는 해석을 함으로써, 논문에서는 관음에서 물신으로의 전환이 이미 존재했던 것이라 주장하는 것이다.
에드워드가 비비안과 하룻밤을 지내기로 결심한 순간에 등장하는 비비안의 하체도 대역의 것이다. 대역사용은 결국 “물신적인 제도가 이미지의 불가능성을 관객에게 제공함으로써 여성의 결핍 혹은 부적절성을 재각인 시키는 방식을 부여한다”고 한다. 앞서도 말했듯, 성차와 거세공포를 달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가 영성을 맹목적 숭배물로 대체시키는 물신주의화이다. 이 논문에서는 공공연히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그것이 환상적임을 보여주며 여주인공의 육체를 (또는 다리를) 맹목적 숭배물로 만들어버림으로써 남성관객의 무의식에 위치하는 거세공포를 잊게 만든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여성의 신체를 클로즈업하는 방식은 물신에 대한 욕망을 표현한다. 여성의 신체에 성적 의미를 부여하는 그와 같은 기법들은 어머니에게 남근이 없음을 발견한 어린시절의 공포나 여성 자체에 대한 공포를 상징적 대체물을 통해 상쇄하려는 욕망이며 여기서 여성은 에로틱한 역할을 하는 수동적 대상이 된다.
결국 비비안의 변화의 기저에는 그녀가 물신적인 육체를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있다. 줄리아 로버츠가 대역을 사용함은 환상적 지위만이 아니라 환상의 자의식적 지위까지 상징화하는, 쉽게 말해서 환상과 불가능성을 동시에 알려주는, 또 다른 육체에 의해 이미지가 만들어져야 했음을 증명한다.
이는 비비안의 변화를 정당화하고 당연하게 만드는 전제와도 같은 것이다. 완벽한 몸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후의 소비자로의 변화가 당연한 것처럼 우리는 믿는 것이다.
9. 결 론
결국 <프리티우먼>은 성적평등이라는 정치학과 결혼 플롯의 관행을 조화시킨 영화라고 한다. ‘성적평등이라는 정치학’은 여성의 적극성, 성적 지식이 중요시된 현상을 표현하는 것 같고, 결혼플롯의 관행은 여성성의 수단이 바뀌었을 뿐, 비비안이 받아들이는 가치는 바뀌지 않았고, 또한 가난한 여자가 부자를 만나 구원받는 내러티브 또한 바뀌지 않았다는 것으로 해석하려 한다. 그리고는 논문은 물적 조건과 그것이 만들어 내는 문화를 주목할 때만 페미니스트 비판이 정치적 역량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한 번 더 강조하며 끝을 맺고 있다.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10.20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65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