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발달] 현재까지 자신의 생애주기에 따른 주요과업과 문제에 대해 서술하고(자신의 발달과정에서의 경험을 제시) 인간행동이해를 위한 이론에 적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발달] 현재까지 자신의 생애주기에 따른 주요과업과 문제에 대해 서술하고(자신의 발달과정에서의 경험을 제시) 인간행동이해를 위한 이론에 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유아기
1) 나의 영유아기
2) 영유아기까지의 인지발달 단계의 특성

2. 아동기
1) 나의 아동기
2) 아동기의 특성

3. 청소년기
1) 나의 청소년기
2) 청소년기의 특성

4. 성인기
1) 나의 성인기
2) 성인기의 특성

5. 중년기
1) 나의 중년기
2) 중년기의 특성

6. 에릭슨의 발달단계 이론 - 인간행동 이해를 위한 이론에 적응
1) 1단계: 기본적 신뢰감 대 기본적 불신감
2) 2단계: 자율성 대 수치심(1세~3세)
3) 3단계: 주도성 대 죄책감(3세~6세)
4) 4단계: 근면성 대 열등감(7세~12세)
5) 5단계: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
6) 6단계: 친밀감대 고립감(성인기)
7) 7단계: 생산성 대 침체성(중년기)
8) 8단계: 통합성 대 절망감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인 정체감이 형성되기도 한다.
6) 6단계: 친밀감대 고립감(성인기)
에릭슨은 성인기 단계를 고려한 최초의 프로이드 학파 학자이며 발달연구자들 중의 한 사람이다. 청년기 이후의 단계들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 대한 사랑과 보살핌을 넓혀가고 심화시켜가는 과정을 나타낸다. 성인기에 이르면 상대방에게서 공유된 정체감을 찾으려 하기 때문에 타인과의 친밀감을 형성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물론 청년기에도 사랑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청년들은 자신이 누구인지, 다른 사람들 눈에 어떻게 보이는지,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될 것인지 등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사랑을 하면서도 자기몰두적 이다. 청년들은 상대방을 통해 자기를 정의하려고 하기 때문에 자신을 해명하는 문제에 골몰해 있기 때문에 타인과의 관계에서 진정한 친밀감에 도달하기가 쉽지 않다. 정체감을 확립하지 못한 사람은 자기자신에 대해 자신이 없기 때문에 타인과의 관계에서 친밀감을 형성하지 못하고 고립하여 자기자신에게만 몰두하게 된다.
7) 7단계: 생산성 대 침체성(중년기)
두 사람이 친밀감을 형성하게 되면 그들의 관심은 두 사람의 관계를 넘어서 확대되어야 한다. 그들은 다음 세대를 이끌고 가르치고 키워나가는 데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 생산성은 자녀를 낳고 기르는 것뿐만 아니라 넓게는 다른 사람들이나 그들의 다음 세대를 위해 일하거나 그들에게 보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주는 데 기여하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생산성이 결핍되면 성격이 침체되고 불모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종종 유사친밀 상태로 퇴행하거나 타인에 대한 관심보다는 자신의 욕구에 더 치중하는 경향이 있어서 스스로에게 빠져들어 타인에 대한 관대함을 잃기 쉽다.
8) 8단계: 통합성 대 절망감
때때로 노인은 오랜 경륜의 지혜를 갖춘 존재로 생각되기도 했지만 이제는 예날 이야기가 되고 말았다. 노인들은 체력과 건강을 잃고 은퇴로 인해 직업과 수입원을 잃고 시간이 지나면서 친구나 배우자를 잃기도 한다. 급변하는 현대 사회는 오랜 경륜의 가치를 많이 약화시켰다. 성공적인 노년은 이러한 신체적, 사회적 후퇴에 어떻게 적응하느냐에 달려 있다. 그런데 여기서 에릭슨이 강조하는 적응은 외적인 것이 아니라 성숙과 지혜에 대한 잠재력을 갖기 위한 내적인 투쟁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경우 노년기에 들어서면 자신의 생애를 되돌아보며 자신의 인생이 가치있는 것이었는지를 생각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이미 살아온 생애가 후회스럽고 되물리기에는 너무 늦어버려서 보다 나은 삶을 선택할 수 없다는 궁극적인 절망감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절망감이 사소한 일들에 대한 혐오로 나타나기도 한다. 노인들은 다른 사람의 실수나 잘못을 참지 못하는데 이것은 스스로에 대한 경멸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노인은 이러한 절망감 속에서도 통합감을 찾으려 한다. 자아 통합감이란 지나온 인생에 대해 그럴 수밖에 없었음을 받아들이고 인생의 의미를 찾게 되어 인생에 대한 참다운 지혜를 획득하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 그 때 그렇게 해서는 안되는 거였는데 나는 실수를 했다, 그러나 나는 그 때 그럴 수밖에 없었고 그것이 내게는 최선이었다’는 태도를 갖는 것이다. 사람들은 노인의 외적인 쇠퇴에 초점을 두어 노인에게 연민을 가지기 쉬운데 에릭슨은 노인들의 내적인 투쟁에 초점을 두었다. 노인들은 죽음을 면전에 두고 인생의 의미를 되묻고 있으며 인생을 의미있게 해주는 것이 무엇인지에 답하려고 애쓰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조복희. (2002). 아동발달. 서울: 교육과학사.
이순형, 서봉연. (1998). 발달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송인섭 외. (2000). 교육심리학. 서울: 양서원.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10.29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88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