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A+] 한부모가족, 이혼가족, 별거가족, 재혼가족 정의,종류,현황,특성 및 관련 과제 고찰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복지A+] 한부모가족, 이혼가족, 별거가족, 재혼가족 정의,종류,현황,특성 및 관련 과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부모가족
1. 한부모가족의 정의
2. 한부모가족의 유형
3. 한부모가족의 현황
4. 한부모가족의 문제
5.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 현황
6. 한부모가족 대책 방안

Ⅱ. 이혼가족
1. 이혼가정의 정의와 종류
2. 이혼가족에 대한 이론적 관점
3. 이혼 현황과 특징
4. 이혼가족의 문제
5. 이혼가족 대책 방안

Ⅲ. 별거가족
1. 별거가족의 정의 및 의미
2. 별거가족의 실태 조사

Ⅳ. 재혼가족
1. 재혼가족의 정의
2. 재혼가족의 종류
3. 재혼가족의 현황
4. 재혼 가족의 특성
5. 재혼가족에 대한 과제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별거 명령’(40.0%), 4순위로는 ‘별거 중 재산분할 청구’(60.0%)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Ⅳ. 재혼가족
1. 재혼가족의 정의
재혼가족이란 한번 이상 결혼하여 가정을 이룬 남성이나 여성이 배우자의 사별 또는 이혼을 통하여 재구성된 가족이다. 재혼가족에 대한 용어나 개념은 의붓가족, 계부모가족, 재결합가족, 혼합가족 등의 용어로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2. 재혼가족의 종류
재혼가족을 두 가지로 구분해보자면, 배우자 한쪽이나 양쪽이 재혼 이상의 결혼으로 하나의 가구를 유지하는 남편과 아내로 구성된 재혼가족과 부모의 한쪽이 친부모이며 친부모가 재혼하기 전 배우자 사이에서 출생한 18세 이하의 자녀가 있는 계부모가족으로 구분되는데
이 구분 역시 자녀가 있는지 없는 지와 동거 여부에 따라 아홉 가지로 나누어진다.
1) 무자녀 재혼가족 - 둘 다 자녀가 없으며 초혼 가족과 유사하고 계부모가족에서 제외된다.
2) 비동거 계부가족 - 재혼한 여성이 자녀가 있으나 함께 살지는 않는 가족 형태.
3) 비동거 계모가족 - 재혼한 남성이 자녀가 있으나 함께 살지는 않는 가족형태.
4) 동거 계부가족 - 재혼한 여성이 자녀가 있고 함께 사는 형태의 가족
5) 동거 계모가족 - 재혼한 남성이 자녀가 있고 함께 사는 형태의 가족
6) 비동거 계부모가족 - 부부 둘 다 재혼 이전에 자녀가 있으나 함께 살고 있지 않음
7) 동거 계부모가족 - 부부 둘 다 재혼 이전에 자녀가 있고 함께 살고 있는 형태
8) 혼합 계부형 계부모가족 - 부부 둘 다 재혼 이전에 자녀가 있으나 여성의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 형태
9) 혼합 계모형 계부모가족 - 부부 둘 다 재혼 이전에 자녀가 있으나, 남성의 자녀와 함께 사는 형태재혼가족 현황
3. 재혼가족의 현황
2001년 혼인-이혼통계 결과
2000년 전국에서 하루 평균 877쌍이 결혼하고 이혼신고는 하루 평균 370쌍이 한다. 이같이 높은 이혼율의 증가는 재혼 가족의 증가를 동반하고 있다. 2000년 전체 혼인건수 32만 4000건 중 부부 한 쪽 또는 양 쪽이 재혼인 경우는 남자가 14.7% 여자가 16.4%, 특히 여성의 경우 90년 7.1%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한 데서 알 수 있듯이 여성재혼이 급증하는 추세다. 재혼의 형태별로 보면 남자 초혼-여자 재혼인 경우가 90년 2.3%에서 5.6%까지 증가하였다. 또 남녀 모두 재혼인 경우에는 10.9%로 혼인한 10쌍 가운데 1쌍이 재혼인 것으로 드러났다. 재혼남녀의 평균연령은 남자 42.1세 여자 37.6세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2001년 이혼부부 10쌍 중 7쌍이 20세 미만의 자녀를 두고 있다. 미성년 자녀가 2명인 경우가 34.6%로 가장 많았으며 1명, 3명 이상 순이었다.
4. 재혼 가족의 특성
1) 재혼 가족은 일반적으로 몇 가지 가족 변이기를 경험한 후에 형성된다. 각각의 변이기는 재혼 가족의 구성원들에게 복합적인 변화를 가져오는데 가족 구성원간의 관계, 역할 기대, 자아정체성 등에서의 변화가 그 예이다. 이러한 변화는 기회, 희망, 관계, 그리고 경험에서의 상실을 수반한다.
2) 재혼 가족은 처음부터 완전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재혼가족이 원활하게 기능하기 위해선 구성원들 간의 분명한 의사소통이 있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복잡성의 관점에서 그 성원들의 문제해결과 의사소통 기술이 더 많이 요구된다.
3) '즉각적인 사랑의 신화'에서 계부모들은 계자녀들에 대해 즉시 애정과 사랑을 느끼리라고 기대한다. 이 기대 때문에 계자녀들에게 즉각적으로 사랑을 느끼지 못하는 계부모는 죄의식을 갖게 되고 자신의 양면적 감정을 부정하게 된다. 또한 계자녀에게는 자신과의 유대가 서서히 생기도록 기다리기보다는 즉각적인 유대가 생기기를 강요하고 그것은 결국 문제 상황을 야기한다.
4) 사람은 결혼하면 그들이 새롭게 형성한 가족의 구성원끼리 관습과 역사를 재창조하는 경향이 있다. 공유된 역사가 부재한 재혼가족은 서로간의 새로운 생활패턴을 이해해야 하고 가족이라는 공동의식 확립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5) 재혼가족체계가 핵가족 체계와 다른 점 가운데 하나는 계자녀들의 두 가정의 구성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경우 부모와 자녀 모두 정서적, 인지적으로 복잡해진다. 두 가정을 왔다 갔다 하는 자녀들은 각 가정의 서로 다른 규칙과 기대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많은 시간과 신체적, 정서적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6) 재혼가족은 초혼 가족이 아니라는 낙인을 숨기기 위해 종종 외부 사람들에게 재혼 사실을 숨긴다. 이러한 방법은 타인들로부터의 불쾌한 반응을 피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이 되기도 하지만, 타인들이 계부가족에게 도움과 격려, 도덕적지지 등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도 있다.
5. 재혼가족에 대한 과제
1) 계부모에게서 친부모와 같은 헌신적인 사랑과 희생과 같은 감정을 느끼려고 하지 말고 계부모라는 환경이 갖고 있는 현실 속에서 서로의 이해와 협력을 구해본다.
2) 재혼한 부부간의 견고한 부부관계를 형성하고 자녀교육 등에 관한 규칙을 정하고 서로 대화하며 가능하면 강화된 부부관계를 중심축으로 하여 자녀들을 잘 적응시키는 방법을 모색한다.
3) 친부모자녀관계를 흉내 내려 하지 말고 성숙한 인간 대 인간으로서 성인과 아동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형성하고 상호 호혜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4) 이미 헤어진 전 배우자와 부부관계는 깨끗하게 청산했으나 부모역할은 그대로 남아 있으므로 자녀교육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협조할 수 있도록 한다. 새로운 관계에 있는 다른 한 쪽 배우자는 자신의 새로운 배우자와 자녀문제를 협조하기 위해 대화하는 것을 오해하고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건설적인 의미에서 협력이 필요하며 기꺼이 응할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5) 새로운 가족 유형에 맞는 가족 규칙과 의례를 확립하고 그 내용을 가족들에게 확인시키는 일은 재혼가족을 유지하는데 대단히 중요하다
6) 한쪽 부모와 살던 아동에게 한부모의 재혼으로 얻을 수 있는 장점들을 열거하고 이해시키는 일이 중요하다.
Ⅴ. 참고문헌 및 출처
-가족복지학 / 조흥식 / 학지사 / 2011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11.01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96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