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자유와 불안의 경험 - 김승옥의 「생명연습」, 「무진기행」, 「서울, 1964년 겨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60년대 자유와 불안의 경험 - 김승옥의 「생명연습」, 「무진기행」, 「서울, 1964년 겨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본문
 ⑴ 작가의 생애
 ⑵ 기존 연구 성과의 검토
  ① 김승옥 작가론
  ② 김승옥 작품론
 ⑶ 작품 분석
  ① 생명연슴
  ② 무진기행
  ③ 서울, 1964년 겨울
3. 맺음말

본문내용

4월 혁명 다음해에 일어난 쿠데타로 인해 그들의 혁명이 좌절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4월 혁명의 성과는 분명 혁명 당시의 그들에게 남아있었다. 문제는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의 문제이다. 김승옥의 경우 작은 성과에 대해서 그것을 성취한 듯 보인다. 더욱이 김승옥에게 있어서 혁명은 거의 주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4월 혁명에 대해서는 얼떨떨한 기분으로 겪어버린 거대한 경험이었다. 그에게 있어 혁명은 일으킨 일이 아닌 일어난 일인 것이다. 이는 그의 인터뷰 등에서도 드러나는 스스로의 고백이기도 하다.
그가 혁명을 열망했음은 그의 어느 작품에도 나타나 있지 않다. 그렇기에 그는 자기 자신의 문제와 현실에 대한 인정과 고민을 작품에 담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문제는 그것이 과연 정당한 것인가에 대한 문제이다. 스스로 혁명세대라고 생각하는 그에게서 ‘감수성의 혁명’이라는 것이 과연 혁명인가 하는 문제이다. 결국 4월 혁명은 그 동력에 편승한 많은 인물들이 존재한 혁명이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혁명에 좌절하고 또 다른 혁명을 갈구하는 이가 있는 반면, 좌절은 함께하되 그 작은 성과물이라도 취하려는 이가 있었다는 것이다. 김승옥에 대해서 그렇게 폄하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1964년 겨울, 서울’에서 살고 있었던 그에게선 혁명은 현재를 위한, 소시민으로 귀착되어지는 개인들을 위한 하나의 ‘극기’에 지나지 않았던 것은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
3. 맺음말
이상으로 작가 김승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나름대로 1960년대와 작가 김승옥, 그리고 그의 작품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나 아직 많은 부분에서 의문부호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발표문을 맺으려고 한다.
1. 1960년대 소설에서의 자유와 불안 이라는 것의 의미
1960년 4월 혁명은 민주주의에 대한 정당한 요구, 그것을 위한 혁명이란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민주주의’에 대한 정당한 요구는 가능했으나 현실에서 그것은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그것은 5.16 쿠데타를 통해서 4월 혁명은 빛이 바랬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김승옥은 소설에서 그것을 내적인 자유의 성취로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자유와 그 자유를 불안하게 하는 현실은 어떤 것인지 논해보아야 할 것이다.
2. 순수참여 논쟁
김승옥 소설은 순수문학이라는 점에서는 크게 호응과 찬사를 얻고 있다. 그렇다면 문학의 본령은 무엇이며, 그것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서 이루어져 온 순수참여 논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를 고민해 보고 그 외에 대안은 어떤 것이 있을 것인지를 고민해보았으면 한다.
이러한 순수참여 논쟁은 4월 혁명이후 혁명세대라고 불리는 한때는 같은 고민을 가졌던 이들이 분화되어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그리고 이러한 분화는 <창비>진영과 <문지>진영이라는 실체로서 확연히 구별되었고, 서로에 대한 비판을 통해서 각 진영의 논리는 더욱더 견고해 진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 거대담론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 이들도 적지 않다. ‘순수문학이냐 참여문학이냐’ 라는 거대담론의 틀 속에 사로잡힌 시각보다는 새로운 시각으로 둘을 모두 아우르거나 부정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3. ‘소시민’으로의 귀착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김승옥 소설은 발표조의 시각에서는 ‘소시민’으로 결착하는 과정을 그린 것으로 파악했다. 하지만 그것이 과연 정당한 것인가와 ‘소시민’으로 귀착되는 것이 갖는 의미 및 한계점은 무엇인가.
4. ‘자기세계’의 문제
자신만의 내적 자아의 공간, 즉 자기세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현재 삶의 공간인 세계는 어떠한 것으로 취급되는 지에대한 논의가 있어야만 ‘자기세계’의 형성이라는 문제를 심도 있게 고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김승옥 소설에서 나타나는 ‘자기세계’ 라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와 보편적인 ‘자기세계’형성과의 차이점은 어떠한가를 가지고 논의해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으로 보인다.
5. 혁명은 무엇인가
이 질문을 통해서 우리는 4월 혁명을 혁명으로서 받아들일 것인지에 대해서 고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에게 던져진 ‘민주주의’라는 결과물을 받아들이는 데 있어서, 4월 혁명은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4월 혁명은 ‘민주주의’를 우리의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게 만드는 하나의 근거가 되어주었다. 하지만 과연 그것이 자유와 평등을 갈구했던 서양의 민주주의 혁명과 과연 같은 본질인 것인가에 대해서는 깊이 있게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권영민,『한국현대소설사 1945-1990』, 민음사, 1993
김민정,「김승옥론」, 『외국문학』, 열음사 , 1996
김병익,「시대와 삶」, 『상황과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1979
김윤식,「60년대 문학의 특질 - 김승옥론」, 『운명과 형식』, 솔, 1992,
김윤식정호웅,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0
김정남,『한국소설의 근대성 담론』, 국학자료원, 2003
김주언,「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 세계 인식 :<생명 연습>·<무진기행>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한국문학회, 1998
김치수,「김승옥의 소설」, 『다산성』, 겨레, 1987
김현,「구원의 문학과 개인주의」,『다산성』, 겨레, 1987
류보선,「개인과 사회의 대립적 인식과 그 의미」,『한국현대작가연구』, 문학사상사, 1991
백낙청,『시민문학론』, 창작과 비평사 1978
백지연,「도시의 거울에 갇힌 나르키쏘스-김승옥론」,『4월혁명과 한국문학』,창작과비평사, 2002
유종호,「감수성의 혁명」, 『다산성』, 겨레, 1987
유종호,『문학의 즐거움』, 민음사 1995
장영우,「419세대의 문체 의식-김승옥의 무진기행을 중심으로」,『작가연구6』, 1998
정현기,「1960년대 적 삶」,『다산성』, 겨레, 1987
정혜경,「딜레마의 미학 - 김승옥론」,『작가세계』, 2005
천이두,『존재로서의 고독』, 문학과 지성사, 1982
한형구,「김승옥 론 - 김승옥 문학의 문학사적 성격」,『한국현대작가연구』,민음사, 1989
홍정선,「작가와 언어의식」, 『역사적 삶과 비평』, 문학과 지성사, 1986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11.02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98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