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인의 소외와 고독 <서울 1964년 겨울> _ 김승옥 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시인의 소외와 고독 <서울 1964년 겨울> _ 김승옥 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960년대 자유와 불안의 경험 - 김승옥의 「생명
도시인의 소외와 고독 <서울 1964년 겨울>


1. 작가소개

2. 작품 줄거리

3. 작품 개관

4. 작품 분석
 1) 첫째 부분 - 포장마차에서 우연히 만난 '나'와 '안'씨 두 사람의 대화
        “익명성, 욕망적 인간”
 2) 둘째 부분 - '나'와 '안'씨가 중국집에서 월부 책장사의 이야기를 듣는 내용
        “상실감, 삶의 무의미, 산업화의 이기”
 3) 셋째 부분 - 세 사람이 길에 방황하다가 불구경을 하는 내용
        “허탈감, 허무함, 자기 소유의 폐쇄의식”
 4) 넷째 부분 - '나'와 '안'씨가 여관에서 월부 책장의 자살을 목격한 내용
        “소설의 climax에 해당”
        “지독한 무관심, 좌절감, 파산주의자”

3. 문 체
 1) 감수성의 언어
 2) 대화의 묘미

4. 김승옥 소설의 60년대적 의의

5. 결 론 및 감 상

※ 참 고 문 헌
< 단행본 >
< 논문 >

본문내용

의 주역으로 김승옥이 가지고 있던 감수성을 통해 나타난다.
먼저 50년대 문학이 예외 없이 간직하고 있던 강력한 논쟁점에 대한 집착 내지 교훈주의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이다. 50년대 문학이 개인의 문제를 전쟁이라는 전체의 문제 속에 귀속시킴으로써 개인의 문제를 대개의 경우 집단의 문제로 귀속시켰다. 그러나 김승옥은 거대한 사회적 논쟁점을 지닌 교훈주의적 내용을 그리고 있지 않다. 한 개인의 모습과 내면세계를 그리거나 주변의 사물이나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다루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김승옥 소설은 자기 탐구에 의한 「자기세계」를 형상화하고 있다. "50년대 있어서 개인은 상황의 절대적인 압력을 선험적인 것으로 받아들인다. 인물들의 의식의 수동성을 극명히 하기 위해, 병을 앓거나, 군대를 갔거나 하는 특정 상황이 설정된다. 반면, 60년대 개인은 50년대와 비슷한 조건, 상황 속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그 상황을 뚜렷이 인식함으로써 그 상황을 극복해 낸다. 김승옥의 경우 세상에 살아남기 위해 그 상황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그러하다. 즉, 자기의 상황을 수동적인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오히려 그것을 수락함으로써 그것을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김승옥의 60년대적 의의는 언어에 있다. 한글세대로 대상과 감성과의 거리를 최소한으로 압축시켜 사물에 작가의 예민한 감수성으로 옷을 입혀 활성화시켰으며 이는 모국어의 새로운 활기와 가능성을 심어주었다. 한국소설사에서 찾아보기 힘든 사건의 이미지화와 공감각적 언어구사, 공간에 대한 묘사를 실현했다는 것이다. 또 70년대의 최인호·한수산 등의 문체도 결국 김승옥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김승옥의 소설 언어는 젊은 세대의 신선한 언어 감각과 그 감각의 상업화 가능성까지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이다.
5. 결 론 및 감 상
<서울, 1964년 겨울>은 김승옥에서 동인 문학상을 안겨 준 작품이다. 당시 24살이란 나이로 동인 문학상을 받은 것은 실로 대단한 것이며 이를 통해 그는 최고의 작가로 떠오르게 된다. 그 만큼 이 작품에는 많은 것들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전후 상처가 가시지 않은 채 살아가야 했던 60년대의 도시인들의 삶은 가난한 삶과 군정의 폭압 그리고 절망감과 좌절감으로 얼룩 지워졌던 삶이다. 이 시대를 살아야 했던 작가 김승옥은 이 시대상황을 어떤 다른 작가보다 이 작품 속에서 잘 드러내고 있다고 생각된다.
<서울 1964년 겨울>소설은 특히 60년대적 의식의 방황을 그렸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50년대의 기성문학 경향에 저항해서 새로운 문학으로 나가려는 정신을 찾아볼 수도 있는 작품이다. 이 소설은 무엇보다도 도시에서 소외당한 현대인의 고독과 비애, 그리고 고립을 특정한 사건 없이 우연히 만난 세 사나이를 중심으로 무의미한 대화와 행동을 통해 당시 삶의 부조리를 잘 드러내고 있다. 4.19 세대인 김승옥은 이 작품으로 감각적이고 유희적인 문체로 인간 소외와 단절을 극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인간 대 인간으로 진실한 만남이 불가능한 현대 사회의 어두운 면을 담고 있는 것이다. 이는 단지 1960년대를 살아가던 청년들만의 문제나 모습이 아닌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도 같은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고 생각된다. 젊은이들이 가질 수 있는 세상에 대한 불만과 갈등, 소외, 불안 등을 60년대를 초월해서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소설 속에서 등장하는 대학원생 ‘안’씨와 ‘나’ 그리고 서적 외판원 아저씨는 지금 시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전형적인 인물이다. 우리는 작품 속에서 ‘안’과 내가 한 사내를 만나 그의 죽음을 예감했지만 외면했던 것처럼 지금 나에게도 그런 사내가 찾아온다면 과연 나는 어떻게 할지?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면서 남의 아픔을 알지만 쉽게 손을 내밀 수 없는 현대인의 삶의 허무함과 고독감 등을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김승옥은 기존 체제를 무너뜨린 4·19의 영향으로 자신의 주위 환경을 냉철하게 인식하고 개인의 내면을 중시하여 「자기세계」를 발견한다. 그러나 서구에서 이식된 자유주의, 개인주의의 영향과 4·19의 좌절, 군사정권의 독재라는 어두운 현실 속에서 발견한 「자기세계」는 자신의 본래적 자아, 순결한 영혼에 해를 가하는 자기 파괴에 의해 구축된 것이었다. 이런 「자기세계」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공업화로 사회가 급변하고 가치관이 무너지는 현실에서 자기 파괴를 계속 자행하고 결국 순수를 상실하고 만다. 그리고 순수의 상실을 통해 「자기세계」를 확립하였던 것이다. 그렇지만 순수가 상실한 사람들은 사회에서 자신의 고유한 존재 의미를 잃고 소멸되어 버린 모습으로 남을 수밖에 없었다.
개인의 발견과 함께 김승옥이 60년대 소설에 남긴 점은 한글 문체의 개척이다. 한글 세대로서 모국어의 가능성을 열어 보이며 대상에 감성을 불어넣었다. 이는 감각적 언어 구사와 문법의 교란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김승옥의 의도와 관련된다. 하지만 서구의 번역문의 파생이라는 한계를 가져왔다.
존재의 의미의 상실과 서구 번역문의 파생이라는 한계를 지니지만 김승옥은 자신의 체험, 특히 1960년대 사회의 상황을 나름대로의 상상력을 통해 소설 속에 형상화하였고, 이는 감수성의 획득이란 그가 가진 독특한 언어미학에 힘입어 나타난다. 감수성으로 그는 교훈적, 추상적인 관념의 1950년대 소설을 훨씬 뛰어넘고 60년대의 대표적 작가로 인정받는다는 것이다.
※ 참 고 문 헌
< 단행본 >
1. 강인수,『작가와 작품을 찾아서』, 푸른사상, 2003
2. 민족문학사연구소 현대문학분과,『1960년대 문학연구』, 깊은샘, 1998
3. 홍정선, <작가와 언어의식>,『해방 40주년』, 문학과 지성사, 1985, p.191
4. 권순긍 외 『선생님과 함께 읽는 우리 소설 1』, 실천문학사, 2003, p.175~200
< 논문 >
1. 오기환,「고등학교 소설단원의 시점분석과 작품해석」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2. 김선주,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자기세계’의 변모 과정:<생명연습>,<건>,<무진기행>,<서울1964년 겨울>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11.02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98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