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교육문제를 둘러싼 재일코리안 단체와 일본사회의 연대 - 해방직후와 오늘날의 비교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족교육문제를 둘러싼 재일코리안 단체와 일본사회의 연대 - 해방직후와 오늘날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49&no=151
. 이어 6월 20일까지 총 8차례에 걸친 회의를 거치면서 국회, 교육단체, 시민사회단체로부터 대표단과 발기인을 구성했다. 이윽고 7월 11일에 ‘에다가와 조선학교 문제 대책회의’가 서울 정동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교육장에서 발족식을 가졌다. 여기에는 여야당 국회의원을 포함하여 109명의 각계 인사들이 참여한 것으로 보도되었다 프레시안. 2005년 7월 13일.
.
대책회의는 결성 선언문에서 "식민지배로부터 벗어난 지 60년이 지났지만, 일본의 뻔뻔함과 우리의 무능으로 역사를 제대로 청산하지 못했고, 그 결과는 고스란히 식민종주국 일본 땅에 남게 된 재일조선인에게 전가됐다"라고 했으며 "한국사회는 더 이상 재일조선인의 교육 문제를 남의 문제로 방치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또한 "이시하라 도쿄도지사는 당장 부끄러운 소송을 취하하고, 일본사회와 정부는 재일조선인의 민족교육권을 확실하게 보장할 것"을 요구하는 동시에 "우리 시민사회와 정부는 재일조선인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자성하고, 조선학교에 대한 정당한 이해를 바탕으로 근본적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을 시급히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프레시안. 2005년 7월 13일.
. 대책회의의 대표단에는 다음 9명이 선정되었으며, 이외에도 국회의원, 언론계, 시민단체, 교사, 가수, 상공인 등 각계에서 112명이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민중의소리. 2005년 7월 12일.
.
1) 유기홍 열린우리당 국회의원
2) 고진화 한나라당 국회의원
3) 권영길 민주노동당 국회의원
4) 이영순 민주노동당 국회의원
5) 김귀식 서울시 교육위원장
6) 문규현 천주교 정의구현 전국사제단 공동대표
7) 심재환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통일위원장
8) 윤한탁 교육문화공간 향 대표
9) 진관 불교 인권위원회 공동대표
이윽고 대책회의 회원 15명이 7월 14일부터 16일까지 2박 3일간의 일정으로 일본에 건너가서 에다가와 조선학교 문제의 실태조사에 나섰다. 이들은 학교 주변지역을 견학하고, 에다가와 재판지원 연락회, 민족학교 학생, 학부모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들은 15일 낮에 유라쿠쵸(有樂町)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는데, 일본의 매스컴은 거의 없었으며 한국과 제3국 매스컴만이 이를 취재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JANJAN(文化). 2005年7月17日. http://www.janjan.jp/culture/0507/0507169647/1.php
. 또한 대책회의 일행은 도쿄도 도지사를 면담하고 대책 마련을 촉구할 계획이었으나, 이시하라 도지사의 거부로 면담은 성사되지 않았다.
Ⅳ. 맺으며
재일코리안의 민족교육은 해방과 함께 빼앗겼던 우리말과 글을 가르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 일본 정부와 사회로부터의 무관심과 차별을 겪는 가운데 오늘날까지 그 맥을 이어오고 있다. 민족교육이야말로 민족적 아이덴티티를 보존하고 나아가 재일코리안 커뮤니티를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에, 1940년대와 오늘날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민족교육을 지키고자 하는 움직임은 내부적인 강렬한 에너지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외부로부터 민족교육을 위협하는 강제와 억압이 닥쳐올 때 그 에너지는 더욱 강하게 표출되게 된다.
굳이 1940년대와 오늘날을 각각 시기별로 나누어 민족교육 수호운동 양상을 극히 간단하게 비교하자면, 첫째, 재일코리안 사회의 관여 양상에서 차이를 찾아볼 수 있다. 1940년대에는 재일코리안 사회가 전폭적으로 이 운동에 관여하고 일본정부를 규탄했던 것에 비해, 오늘날에는 재일코리안 사회가 그다지 이 문제에 대해 강렬한 관심을 보이고 있지 않으며, 오로지 총련계 민족학교만의 생존투쟁으로 간주하는 동포들이 많아졌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는, 한반도에 있는 코리안과의 연대 양상에서 차이를 찾아볼 수 있다. 1940년대에는 재일코리안 그들만의 힘겨운 투쟁 양상을 보였으나 오늘날에는 여전히 미약한 연대임에도 불구하고 한국내 NGO와의 연대가 강화되고 있으며 일부 한국인 정치가들도 이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관여 양상을 보이고 있다.
끝으로 민족교육을 둘러싼 재일코리안과 일본인 단체와의 연대 양상에서 나타나는 시기별 차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40년대에는 일본의 점령당국이 반공정책을 강화하는 가운데, 일본사회의 반체제 운동은 곧 반공노선에 대한 반대로 해석된 점이 많았다. 마침 재일코리안의 민족교육을 주도하고 있던 조련이 북한 정부를 추종하는 노선을 분명히 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민족교육의 내용에 있어서도 부분적으로 반체제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다. 식민지시기와 다를 바 없는 민족차별과 동화정책이 ‘해방’된 재일코리안에게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자주적인 민족교육을 모색하는 움직임과 이를 지원하는 움직임은 바로 반체제적인 운동으로 해석되기 쉬웠다. 여기에다가 민족교육 문제에 가장 관심을 가지고 이를 지원한 기관도 일본공산당이었기 때문에 이 운동은 정치적 이념을 강하게 띠고 있었다. 이러한 이념적 속성으로 인하여 1940년대의 연대에서는 조직적인 지원이 가능했으며, 일부 일본인 공산당원 가운데 재일코리안과 함께 시위에 가담하여 구속되는 정도로, 강한 연대 양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반면에 오늘날의 연대 양상에서는 비록 진보 성향의 일본인 인사들이 민족교육을 지원하고 있지만, 총련의 정치적 이념에 대해서는 거리를 두고 있다. 오히려 북한에 대해서는 인권문제를 내세워 비판적인 입장을 내세우는 인사들이 많아서 총련과의 사이에 불협화음이 발생하기도 한다. 대체로 오늘날 에다가와 민족교육 문제를 사례로 하여 재일코리안과 일본인의 연대에서 나타나는 정치적 공통분모를 찾는다면, 고작해야 이시하라 도지사의 폐쇄적이고 민족편향적인 태도를 비판하는 성향 정도라고 말할 수 있다. 어떤 특정 정치적 성향을 띠지 않고 국제화 흐름과 인권 보장의 관점에서 민족교육을 지원하는 양상은, 이 운동에 대해 일본의 전형적인 시민운동 가운데 하나로서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대는 일본사회나 정치권에 대해 강렬한 메시지를 내놓기 힘들다는 한계를 가지는 동시에, 이로 인한 강렬한 반대나 압력도 일어나기 힘들다고 하는 속성을 아울러 지니고 있다.
  • 가격2,2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11.06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0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