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조사문제와 연구디자인(인과관계의 개념, 인과관계의 확인) 및 연구 디자인의 타당성(내적타당성, 외적타당성)에 대한 이해와 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조사론] 조사문제와 연구디자인(인과관계의 개념, 인과관계의 확인) 및 연구 디자인의 타당성(내적타당성, 외적타당성)에 대한 이해와 정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조사문제와 연구디자인
1) 인과관계의 개념
(1) 인과관계의 개념
(2) 인과관계의 기초
2) 인과관계의 확인
(1) 공변성(covariation)
(2) 시간적 우선성
(3) 통제(control), 외부설명 배제

2. 연구 디자인의 타당성
1) 내적타당성
(1) 인과성을 저해하는 요인
(2) 내적 타당도 저해 요인 통제 방법
2) 외적타당성
(1) 개념
(2) 외적 타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3) 외적타당도 저해요인 통제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⑨ 개입의 확산/모방(diffusion or imitation of treatments) : 피실험자들 간의 상호작용이나 모방으로 인해 애당초 의도했던 집단 간 차이에 대한 설명이 불분명해지는 것
· 이것은 집단 비교의 연구에서 잘 나타나는 문제이다. 집단들 간에 통제되지 않은 교류가 발생하여 각각의 개입들이 다른 집단들로 확산 혹은 모방된다면 특정 개입에 따른 특정 효과를 밝히려는 설명은 타격을 받게 된다.
한 복지관에서 전혀 색다른 노인 여가선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몇 년에 걸쳐 실시하였는데, 매우 인기가 높았다. 최근에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경험적으로 보여 주기 위해 같은 지역의 다른 복지관들의 노인 여가선용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비교해 보았다. 노인들의 만족도를 측정치로 삼았는데, 조사 결과 다른 복지관 프로그램들과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토록 인기가 높았는데...
· 새로운 프로그램이 괜찮다고 판단한 다른 복지관들에서 이미 이 프로그램을 어떤 식으로든 모방해서 실시하고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2) 내적 타당도 저해 요인 통제 방법
① 배합 :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연구자의 가설과 관련이 있는 변수를 중심으로 유사한 것을 둘씩 짝을 지은 다음 하나는 실험집단, 다른 하나는 통제 집단에 배정하는 방법, 예로 연령, 성별 비율을 동일하게 하는 방법
② 난선화(Randomization) : 대상자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작위로 배치하는 방법. 대상자에게 일련번호를 붙여서 난수표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번호의 대상자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번갈아 배치하는 방법
③ 통제적 통제(Statistical Control) : 통제변수의 값의 정도에 따른 분리분석(성별의 영향을 통제하려고 할 때 분석결과를 남녀별로 분리하여 분석하는 방법), 공변량분석(ANCOVA), 부분상관관계(partial correlation)
2) 외적타당성
(1) 개념
① 실험을 통하여 관찰한 결과를 여타의 경우에도 일반화할 수 있느냐의 문제, 즉 실험 설계와 같은 실험이 계속해서 반복되어 실험이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반복적으로 증명될 때 외적타당도가 높은 설계라고 한다.
② 어떤 연구에서 서술된 인과관계가 그 연구의 조건을 넘어서서 일반화될 수 있는 정도
외적타당성(external validity) : 현재 조건의 연구 결과를 다른 조건의 환경이나 집단으로 확대 해석하거나 일반화할 수 있는 정도
③ 조사의 결과를 보다 많은 상황과 사람들에게 적용시킬 수 있는 정도
(2) 외적 타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① 연구표본, 환경, 절차의 대표성 : 대부분의 연구는 연구 집단 전체를 직접 조사하는 않음. 비용문제. 대개는 연구대상집단(모집단, population)에서 대표성을 갖춘 일부를 선정해서 조사하는데, 이 일부를 표본(샘플, sample)이라함. 대부분의 조사는 표본 조사일 가능성이 큰데, 표본에서 발견된 특정한 사실이 모집단에서도 사실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표본의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이 중요
한 대학에서 대학생들의 자원봉사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교육과정(CMV)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을 실시가 학생들의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디자인은 CMV에 자발적으로 등록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검사-교육-사후검사]를 실시하고, 사후 검사의 점수가 사전 검사에 비해 높다면 이를 CMV의 효과라고 보는 것으로 계획되었다. 여기에는 다양한 내적 타당성의 문제들이 제기될 수 있지만, 그것들은 극복할 수 있었다고 하자, 즉, 조사 대상이 된 학생들에게서는CMV가 의식의 변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했음이 발견되었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 사실을 갖고 대학 측은 CMV가 효과적이라고 단정하고, 곧바로 모든 재학생들에게 확대 적용할 수 있겠는가?
② 조사 반응성(research reactivity) : 조사대상자들이 조사에 반응하면서 생겨나는 것. 클라이언트가 자신이 실험에 참여하고 있다고 인식하면, 그 인식 때문에, 실험상황을 넘어서면,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프로그램에 의해 변화되었다고 일반화할 수 없다
자기 학생들을 상대로 웃기는 이야기를 시험 삼아 해서 효과를 본 선생이, 다른 곳에서 모르는 학생들에게 똑같은 동작으로 그 웃기는 이야기를 똑같아 하더라도 전과는 달리 썰렁함을 맛볼 수 있다. 그러면 ‘지난번에는 재미있게 했었는데, 이번에는 재미없게 했구나‘라고 반성을 해야 할 것인가, 아니면 이것을 반응성의 효과일 것이라고 곧 바로 감 잡아야 할 것인가?
③ 환경과 상황 : 일반적으로 복지 프로그램은 해당 지역의 환경, 연구 및 상황에 영향을 받음
④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s) : 위약효과. 약물실험 등에서 사람들은 반응성 때문에 종종 가짜 약 효과를 보임. 실제로는 피실험자들에게 실험 처지나 개입이 주어지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마치 그것을 받은 것과 유사한 효과가 나타는 경우.
약물의 효과성을 조사하려는 실험 디자인 연구에서, 비슷한 무리의 사람들로 두 집단을 나누어 실험집단 사람들에게는 약물을 투입하여 그 경과를 관찰하고, 통제집단 사람들에게는 약물을 투입하지 않고 관찰만 한다. 만약 실험집단 사람들이 통제집단과 차이가 있다면 다른 설명은 불가능하고 그것은 유일하게 약물이 투입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하려고 한다. 가능하겠는가?
(3) 외적타당도 저해요인 통제방법
① 대표성을 높이기 위하여 무작위추출법을 활용하여 대상 집단을 추출
② 표출에서 계획적으로 이질적인 요소를 포함시키는 방법
③ 대표적 사례만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조사하는 방법
☞ 내적타당성과 외적타당성을 모두 높게 하는 실험설계가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는 한 형태의 타당성은 다른 형태의 타당성을 희생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문헌
김갑용, 전남련 외 저, 사회복지조사론, 정민사 2013
이상일 저, 사회복지조사와 평가, 동문사 2008
채구목 저,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양서원 2013
양정하, 황인옥 외 저, 사회복지조사론, 정민사 2013
이현심, 이명순 외 저, 사회복지 실천론, 파란마음 2013
고수현 저, 사회복지조사론, 정민사 2013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11.25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44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