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 윤선도가 자연을 접하는 관점, 현실을 인식하는 방식, 작품에서 드러나는 정서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산 윤선도가 자연을 접하는 관점, 현실을 인식하는 방식, 작품에서 드러나는 정서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2-

윤선도의 자연관 -2-
-자연 접하기

윤선도의 현실인식 -3-
-그 남자가 현실과 맞닥뜨리는 법

고산(孤山) 윤선도 -4-
-그는 왜 고산이었을까

작품에 녹아나는 윤선도의 정서 -5-
-외로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맺음말 -5-

본문내용

직접적인 연유가 된다.
흔히들 쉽게 고산을 고독을 즐겼던 선비라고 칭한다. 그러나 한번 생각해보자. 외로움이라는 것이 그 얼마나 고독한 인내와 고통인지. 어부사시사에서 끝내 그는 ‘고쥬사립’에 앉아 흥을 즐긴다. 물 위에 뜬 고산(孤山)이다. 그리고는 ‘셜월이 셔봉의 넘도록 숑챵을 비겨 잇쟈’고 읊조린다. 천지가 하얗기만 해서 더 홀로임이 뚜렷해지는 밤, 달을 하염없이 바라보고 앉아있는 윤선도의 모습이 서럽다. 외로움을 온전히 혼자 견뎌내며 초연한 모습을 보인 그가 안쓰럽다. 지금도 그의 뼛속깊이에는 증발되지 않은 사무친 고독이 박혀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맺음말
고산 윤선도는 속세를 경멸하며 고귀한척 강호를 벗삼아 노니는 비겁한 은둔자가 아니었다. 그가 자연을 통해 자신의 이념과 사상을 확립하고 그 신념을 끊임없이 표출해 낸 것은 맞지만 고산은 결코 자연을 도피처나 은둔지로만 삼지 않았다. 오히려 자연을 통해 세상의 이치를 밝혀내고 나라를 이끌고 다스려 나갈 원리를 구했으며 계속해서 그것을 설파하려고 애썼다. 고산은 치열하게 현실사회에 도전한 정치가였다. 임금을 사랑하고 나라를 근심하고 백성을 생각하는 고산의 마음이 자연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표현되고 사회로 전파된 것이다. 하지만 일생에 걸친 그 작업이 얼마나 고된 것이었을지 그래서 지긋지긋한 고독을 떨치지도 못한 채 분연히 살아야 했던 고산이 얼마나 외로웠을지 짐작해본다. 결국 그가 고산이었던 이유는 ‘고산이어야만 하는 윤선도’ 자신에 대한 끊임없는 자기다짐 탓이었다.
참고문헌
신은경(2003), “자아탐구의 旅程으로서의 「山中新曲」과 「漁父四時詞」: 공간의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21집(7권 4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류근안(2000), “孤山 詩歌에 나타난 현실인식연구”,『어문논집』, 제28권, 中央語文學會.
이종범(2004), “孤山 尹善道의 出處觀과 政論”, 제74권, 대구사학회.
김석회(1987), “윤선도의 자연관과 그 실현양상에 관한 한 고찰”, 『고산연구』, 제1호, 孤山硏究會.
강미영(1990), “고산 윤선도 ‘어부사시사’연구”, 『배달말』, 제15권, 배달말학회.
김경복(2000), “고산(孤山) 윤선도 시에 나타난 유토피아 의식 연구”, 『문창어문논집』, 제37집, 문창어문학회.
정동오(1989), “孤山 尹善道의 別墅生活과 芙蓉洞苑林의 池苑에 대한 고찰”, 『고산연구』, 제3호, 孤山硏究會.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2.14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74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