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동모산 근거 건국, 국호 진국
동만주 지역 - 고구려 멸망 후 반당 운동 격렬, 당의 세력이 미치지 못함.
돌궐과 연합해 당 세력 견제
→상호 대립하던 돌궐과 당이 화친, 713년 당과 화친 (대조영을 발해군왕, 대무예를 계루군왕)
② 대무예 : 발해의 확장에 위기감을 느낀 흑수말갈이 발해와의 화친을 깨고 당과 연결을 도모
흑수말갈 공격에 대해 의견 대립을 보이던 대문예가 중국으로 도망→발해와 당의 대결로 전환
→장문휴의 등주 공격
당의 이이제이 책 : 대문예로 하여금 유주 공격, 신라로 하여금 남쪽 공격
③ 문왕 대흠무 : 당과 친선 정립(동아시아 세력 균형), 문화수용. 발해군왕→발해국왕 : 국제적 지위향상
천도 : 동모산 → 영승 유적→중경현덕부→상경용천부(문왕 때 당과 친선, 당의 문물 받아 들여 관제 정비, 신라와의 상설 교통로를 개설하여 대립관계 해소 노력. 천도는 지배체제 정비를 반영한 것)→동경용원부
=발해의 국력이 동쪽으로 성장한데서 연유
④ 10대 선왕 대인수 (818-830) : 가장 융성, 당에 유학생, 문화흡수, 요동지방 지배권 확보, 해동성국
5경15부 62주의 지방제도
⑤ 15대 대인전 때 거란 침입으로 멸망
3) 발해부흥운동
① 서경 압록부 : 대씨의 후발해국, 열씨오씨의 정안국
② 부여부상경용천부 지역 : 연마의 세력집단, 오사국
③ 요의 동경도 : 흥요국, 대발해국
④ 거란의 상경 부근 : 고욕의 저항
⑤ 30여 차례에 걸쳐 수만명의 사람들이 고려로 유입
4) 발해의 정치
① 독자적 연호 사용 -국왕의 직접적 전제정치, 당과의 대등한 국가의식,
② 중앙
왕을 중심으로 하는 집권적 통치체제, 당의 3성 6부 모방
명칭이 유교적으로 아화된 이원적 구조의 6부 관장(좌사정은 충인의, 우사정은 지예신 부를 거느리는 업 무분장) - 전제주의에 입각한 유교적인 정치체제를 정비한 결과일 수도 있음.
정당성(정당), 상서성의 장관인 대내상이 선조성의 장관인 우상을 겸함- 3성이 형식상 분리되어 있지만 정당성 권한이 절대적
정당성은 귀족 합좌기구의 성격
좌사정(충, 인, 의)과 우사정(지, 예, 신)의 이원적 통치체제
중정대 - 관리들의 비위를 감찰
문적원 - 서적관리
주자감 - 최고 교육기관
※시대별 감찰 기관을 비교
1. 통일신라 ▶ ( 사정부 )
2. 발 해 ▶ ( 중정대 )
3. 고 려 ▶ ( 어사대 )
4. 조 선 ▶ ( 사헌부 )
③ 지방
외형상 주현제이나 실제로는 주현제와 부족제의 이중 구성
고구려계 주민은 주현 통치관의 직접 통치, 말갈족은 부족 및 부락 단위로 추장인 수령의 휘하에서 자치 생활, 지방관의 간접적인 통치를 받음
※ 발해의 지방통치조직이 율령제를 근저로 하는 경부주군현제와 씨족제 전통을 근저로 하는 수령제의 이원적 통치체제를 유지한 것으로 보고 경부주군현제를 확대, 정비함에 따라 말갈족 사회의 수령층의 정치, 사회적인 지위가 점차 저하되어 갔음을 밝힌 견해가 존재.
‘유취국사’ - 발해의 백성에는 말갈인이 많고 토인이 적다. 모두 토인이 촌장이 된다.
5경 15부 62주
5경 :상경, 중경, 동경, 남경, 서경. 상경을 중심으로 5도 교통망 정리
=사출도의 전통과 관련, 전략적 중심지에 설치(지방통제의 거점으로 사용목적, 토착적 세력 기반에 의존한 지방통치의 취약성 보완)
15부 : 지방통치의 주요골격, 부여, 숙신 등 각 종족의 독자적 단위로 설정, 지방 행정의 중심적 위치 차 지, 도독이 지방행정 총괄
62주 : 자사 파견.
현: 100여개. 현승 파견
촌락 : 말갈족으로 구성, 촌주를 매개로 지배, 전통적 말갈 사회 내부조직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중앙집권 적 통치체제로 연결
5) 군사조직
중앙군 10위, 지방군 : 지방 지배 조직에 따라 지방군 편성, 지휘관이 지휘
6) 발해를 우리 민족 국가로 볼 수 있는 이유
일본에 보낸 국서에서 ‘復高麗之舊居, 夫餘餘遺俗’ 이라함
발해왕이 고려국왕을 칭함
고구려의 옛 영토 대부분을 차지
발해 지배층의 90%이상이 고구려 계통
발해의 오경제는 고구려 5부제의 영향
문화
육정산 고분군은 고구려계 양식인 석실 봉토분
① 황성안의 궁전지에 온돌 장치
② 정혜공주묘 -돌방봉토식 무덤, 고임 천장, 정혜공주묘비(3년상-고구려 백제의 장례제도)
cf. 벽돌무덤은 당의 영향 - 중기 이후에 등장
무덤의 구조나 장례제도는 다른 문화적 요소와 달리 쉽게 변경되기 어려운 강한 보수성을 가짐을 고려할 때 정혜공주는 고구려와 연관성이 깊은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
정효공주 무덤, 발해의 영광탑은 중국 양식
③ 상경성 사원지 석등 -웅건한 제작, 8각형 양식, 와당 -소박하고 직선적
④ 동경 용원부- 이불병좌석불 -고구려 불상제작 양식
서사터 고구려 형식 와당
발해의 한문학 - 46 변려체로 쓰여진 정혜공주와 정효공주의 묘지를 통해 높은 수준 짐작가능
불교 융성 : 문왕의 존호가 大興寶曆孝感金輪法大王
7) 외교
① 일본과의 관계 : 당과 신라의 협공으로 인한 고립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호적 관계 유지
② 신라와의 관계 : 대립과 친선의 교차
1기 발해 건국기 대조영이 신라에 사신을 보내고 신라는 5품인 대아찬 제수
2기 발해 왕권 확립기.
당의 요청으로 발해공격 당 현종은 신라의 출병에 보답하기 위해 신라의 대동강 이남 지배권을 공식으로 인정
신라는 이때부터 적극적으로 북진을 추진하여 748년에 대곡성 등 14개 군, 현을 둠.
(732),
3기 신라 및 발해 귀족 항쟁기
발해는 상경 용천부로 도읍을 옮겨 발전의 기틀 마련. 양국간 상설 교통로 개설.
사신 교환(원성왕, 헌덕왕)
4기 발해의 영토 확장과 나당 밀착기
발해의 최전성기. 발해의 신라 공격.
신라가 쇠약해져 후삼국 분열기를 맞게 되었을 때
당을 사이에 둔 문화적인 우월 경쟁(쟁장사건 신라는 당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최치원을 통해 ‘사불허북국거상표’를 지어 바침
, 등제서열 사건(사불허북국거상표) 등)
5기 발해 멸망기
거란이 발해를 멸할 때 신라는 도리어 거란군 지원.
-대립관계 못지않게 우호관계도 나타남. 우호관계에 주목하지 못하고 잘 드러나지 못한 것은 <삼국 사기>의 편찬 태도에서 원인을 찾아야 할 것
  • 가격5,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14.01.16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21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