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학교의 교사교육에 관한 소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일학교의 교사교육에 관한 소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교회학교 교사의 개념과 역할
 1. 교회학교 교사의 성경적 관점
  1) 구약의 교사
  2) 신약의 교사

 2. 교회학교 교사의 역할
  1) 신앙 매개자로서의 교사
  2) 말씀의 교역자로써의 교사
  3) 교육 계획 지도자로서의 교사
  4) 상담자로서의 교사

Ⅲ. 교사교육의 필요성

Ⅳ. 바람직한 교사의 모델
 1. 성서가 제시하고 있는 바람직한 교사상
 2. 교회학교에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교사상

Ⅴ. 교사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
 1. 교사구축 시스템
 2. 교리교육 실시

Ⅵ. 나오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시켜 나아가야 한다. 이것을 계속교육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교회는 년 1-2회의 교사 세미나 또는 교사 대학 이라는 이름하에 단기간의 계속교육을 실시 할 뿐이다. 엄격히 말해서 이것을 계속교육이라고 말할 수도 없을 것이다. 따라서 계속교육이라고 하는 것은 정규적으로 교사의 경력에 따라 수준이 차별화 되어야 한다.
2. 교리교육 실시
한국장로교회는 선교초기 한국에 들어왔던 선교사들의 신학적 배경으로 인하여 신앙고백의 전통을 확립시키기 어려웠다. 내적 구원의 확신과 죄의 회개 등 정서적 측면에 의존한 선교 방향이 부흥을 가져왔고, 이러한 흐름이 계속적인 역사적 배경과 맞물리면서 한국 교회 안에 자리 잡게 되었다. 하지만 체계적인 교리교육의 부재는 현 한국교회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가져왔다. 나름의 성경공부, 설교, 양육 등을 통하여 기독교 원리 등이 가르쳐졌지만 시대의 흐름이나 영향 안에서 교리 전체를 아우르기보다는 한쪽으로 치우친 부분이 많았다. 이로 인해 한국 교회의 성도들은 균형 잡힌 신앙생활 보다는, 개인의 상황이나 감정에 맞게 선택적 신앙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1980년대부터는 삶의 질의 향상에 따른 문화 컨텐츠들이 교회 안에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면서 자연스레 기독교 진리의 바른 이해를 돕는 교리교육은 우선순위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현재 한국교회는 어려서부터 체계적인 신앙교육을 실시하지 않아 이원론적인 신앙을 가진 그리스도인으로 성장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교리교육은 성경을 공부하고 이해하는 데 있어 기독교 신앙의 기본 지식을 익혀 줌으로써 성경을 주관적으로 해석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성경은 사람의 유한한 지적 능력으로는 쉽사리 그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앙과 생활의 원리가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된 교리교육이 필요하다. 박은실, 『한국 장로교회 교리교육에 관한 연구』, p.10.
다시 말해 성경은 올바르게 해석되고 주제별로 정리하여 체계적으로 논술되었을 때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 따라서 성경전체의 내용 중 기독교 신앙과 생활에 대해 핵심적인 내용을 체계적으로 요약 정리한 교리를 교육하는 것은 효과적인 교회교육을 위한 훌륭한 재료가 된다.
교사가 교리교육을 통해 바른 성경관과 신앙관을 확립한 후에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이 교사의 성향에 따른 신앙관을 교육하여 중구난방식의 신앙생활이 아니라, 성경이 제시하고 가르치고 있는 신앙생활을 하도록 돕는 올바른 방법이다.
Ⅵ. 나오는 말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개신교회 교회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은 일정한 교사교육과정을 수료하지 않고 교육현장에 서있다. 따라서 이들은 자신들이 의식하지도 못한 채 기독교교사가 되기 이전에 비기독교적 사회문화를 통해 습득한 비기독교적 가치관들이나 명확한 근거 없이 전수되는 왜곡된 기독교적 지식들을 학습자들에게 주입하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성경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사를 살펴보아 교회학교에서의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바른 교사상과 교사교육내용을 다루었다. 이것은 어느 특성 부서의 교사교육이 아닌 전체 교회학교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이다. 그러나 부서별로 세분화된 전문적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유아에서 청소년 혹은 청년에 이르기까지 교회학교 교육의 대상은 연령별로 다양한 차이를 가지고 있고 이처럼 다양한 대상은 전문화된 교사진들에 의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앞으로 각 부서에 맞는 전문적인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1. 학위논문
김종포. “교회학교 교사교육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임세빈. “교회학교 교사양성의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3.
박범철. “교회학교의 바람직한 교사상과 교사교육”.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이범우. “21세기 교회학교와 교사교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4.
박은실. “한국 장로교회 교리교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1.
2. 국내도서
한춘기, 『교회교육, 그 이론과 실제』. 서울: 총신대학교 출판부. 2000.
한춘기, 『한국교회 교육사』.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06.
임창복, “한국교회 여교역자의 항존직의 위치 및 역할 가능성에 관한 연구” 『교역과 여성안수』. 서울: 장로회신학대학 다원화목회연구원, 1992.
김중은, “성경에 나타난 교사상” 『교육교회』 제2000호. 서울: 종로서적, 1993.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2.02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8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