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許筠) - 허균에 대한 통설 비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허균(許筠) - 허균에 대한 통설 비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허균은 어떤 인물인가?
 1) 시대적 상황
 2) 행력
 3) 가족구성
Ⅲ.과연 허균이 시대의 혁명가인가?
 1) 당시 사회구조 체제
 2) 정치 활동 내역
 3) 허균이 받아들인 학문
 4)「豪民論」에 나타난 사상
Ⅳ.결론
Ⅴ.참고문헌

본문내용

, 怨民, 豪民으로 백성을 분류하고 있다. 우선 恒民에 대해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무릇 이루어진 일이나 함께 기뻐하면서 늘 보이는 것에 얽매인 자, 시키는 대로 법을 받들고 윗사람에게 부림받는 자는 恒民이다. 이들 恒民은 두려워할 만한 존재가 아니다.” 『惺所覆藁』 券11, 文部8, 「論」, <豪民論> : 夫可與樂成而拘於所常見者, 循循然奉法役於上者, 恒民也. 恒民不足畏也.
怨民에 대해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모질게 빼앗겨서, 살이 벗겨지고 뼈골이 부서지며, 집안의 수입과 땅의 소출을 다 바쳐서, 한없는 요구에 제공하느라 시름하고 탄식하면서 그들의 윗사람을 탓하는 사람들이란 원민(怨民)이다.” 위와 같은 책 : 取之而剝膚椎髓, 竭其廬入地出, 以供无窮之求, 愁嘆嗟, 咎其上者, 怨民也. 怨民不必畏也.
豪民에 대해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자취를 푸줏간 속에 숨기고 몰래 딴 마음을 품고서, 천지간(天地間)을 흘겨보다가 혹시 시대적인 변고라도 있다면 자기의 소원을 실현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란 호민(豪民)이다. 대저 호민이란 몹시 두려워해야 할 사람이다.” 위와 같은 책 : 潛屠販之中, 陰蓄異心, 僻倪天地間, 幸時之有故, 欲其願者, 豪民也. 夫豪民者, 大可畏也.
또 진(秦) 나라의 멸망은 진승(陳勝)ㆍ오광(吳廣) 때문이었고, 한(漢) 나라가 어지러워진 것도 역시 황건적(黃巾賊)이 원인이었다. 당(唐) 나라가 쇠퇴하자 왕선지(王仙芝)와 황소(黃巢)가 틈을 타고 일어섰는데, 마침내 그것 때문에 인민과 나라가 멸망하고야 말았다. 이런 것은 모두 백성을 괴롭혀서 자기 배만 채우던 죄과이며, 호민들이 그러한 틈을 편승할 수 있어서였다.
대저 하늘이 사목(司牧 임금)을 세운 것은 양민(養民)하기 위함이고, 한 사람이 위에서 방자하게 눈을 부릅뜨고, 메워도 차지 않는 구렁 같은 욕심을 채우게 하려던 것이 아니었다. 그러므로 저들 진(秦)ㆍ한(漢) 이래의 화란은 당연한 결과이지 불행한 일이 아니었다.
지금의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다. 땅이 좁고 험준하여 인민도 적고, 백성은 또 나약하고 좀 착하여 기절(奇節)이나 협기(俠氣)가 없다. 그런 까닭에 평상시에도 큰 인물이나 뛰어나게 재능 있는 사람이 나와서 세상에 쓰여지는 수도 없었지만, 난리를 당해도 호민ㆍ한졸(悍卒)들이 창란(倡亂)하여, 앞장서서 나라의 걱정거리가 되게 하던 자들도 역시 없었으니 그런 것은 다행이었다. 위와 같은 책 : 秦之亡也, 以勝廣, 勝廣: 陳勝과 吳廣. 진승은 진나라 陽成 사람으로, 字는 涉. 진나라 2세 황제 때 오광과 함께 漁陽에서 군인으로 근무하다가 진에 반기를 들고 일어나 세력을 확장하고 스스로 楚王에 즉위하기까지 했다. 결국 패망하고 말았지만 진승의 反秦 봉기는 진나라 멸망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오광은 진나라 陽夏 사람으로, 字는 叔. 진승과 함께 진나라에 반기를 들고 항거했다. 假王이 되었다가 뒤에 피살되었다.
而漢氏之亂, 亦因黃巾, 唐之衰, 而王仙芝黃巢 王仙芝黃巢: 왕선지는 唐의 州 사람으로, 僖宗 초에 무리를 모아 난을 일으켰다. 뒤에 黃巢가 호응해 주어 크게 세력을 떨쳤으나 진압된 후 죽었다. 황소는 曹州 출신의 소금장수로서 많은 재산을 모아 망명객들을 도왔다. 무예에 뛰어나 왕선지가 난을 일으키자 호응했고, 왕선지가 죽은 뒤에는 왕을 자칭하며 10년 동안 여러 지역을 점령하여 큰 세력을 떨쳤으나 뒤에 패망하여 자결했다.
乘之, 卒以此亡人國而後已, 是皆民自養之咎, 而豪民得以乘其隙也. 夫天之立司牧, 爲養民也, 非欲使一人恣於上, 以逞溪壑之慾矣. 彼秦漢以下之禍, 宜矣, 非不幸也. 今我國不然, 地而人少, 民且齷齪, 无奇節俠氣, 故平居雖无鉅人雋才出爲世用, 而臨亂亦无有豪民悍卒, 倡亂首爲國患者, 其亦幸也.
즉, 호민은 사회 현실을 바라보는 지식과 행동력을 갖춘 遺才인 것으로 보았고, 허균은 당시 백성들이 탐관오리의 수탈로 고통스러워함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위정자들이 가혹한 수탈행위를 계속하면 호민들은 기회로 삼아 생각을 행동으로 옮겨 호미와 창자루 등을 들고 따라가 무도한 자를 죽이는데 원민과 함께 한다고 하였다. 이렇게 되면 막을 길이 없음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부분을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호민이란 계층을 통해 혁명사상이 들어 있음을 말하고 있지만 엄연히 허균의 행력에서 정치활동을 비교해서 본다면 허균은 기본체제인 신분계급체제를 배격하지 않고, 인정하면서 호민이란 계층이 나타나기 전에 나라의 폐단과 기강을 바로 잡기를 원하고 있다.
Ⅳ.결론
우리는 옛 인물들에 대해 현대에 제시된 평가를 가지고 이해하기만 해서는 안 된다. 시대별로 해석하는 관점에 따라서 허균이라는 인물이 조선시대에는 반역자로 여겨졌지만 현대사회에서는 혁명가로 재해석해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현대사회에서 허균을 혁명가로만 보는 것에 의심을 들기 시작했다. 과연 허균이 혁명가인가 대해서 그의 행력, 가족구성, 시대적 상황, 정치활동, 학문사상, 호민론에 드러난 사상을 연구하면서 우리는 새로운 결론을 내릴 수가 있었다.
허균은 시대의 반역자도 아니고, 또 혁명가도 아닌 조선중기 시대상황에 순응하면서 부조리한 세상에 회의감을 가지고 임진왜란 전 조선시대의 태평성대한 때를 이상으로 삼는 이상주의자로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결론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가장 큰 근거로는 정치활동에서 관직에 있으면서 혁명을 위한 뚜렷한 행동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해서 새로운 결론을 내린 의도는 서론과 결론 처음부분에 계속해서 말했듯이 가장 중요한 것은 여러 관점에서 인물이나 문학사적 자료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도록 하는데 의의를 둔 것이다.
Ⅴ.참고문헌
이이화, 『許筠』, 한길사, 1997
허경진, 『許筠평전』, 돌베개, 2002
차용주, 『許筠硏究』, 경인문화사, 1998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61許筠, 『惺所覆藁』
허도영, 연세대 교육대학원 「허균 문학에 나타난 개혁사상」, 2004
정재호, 경원대 교육대학원 「허균의 전 연구」, 2009
裵暎珠, 성균관 교육대학원 「허균의 문학에 나타난 사상연구」, 1998
이장원, 국민대 대학원 「허균 문학에 나타난 도교사상 연구」, 1994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4.10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7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