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학기 서사문학의이해와창작 기말시험 핵심체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서사문학의 이해
제2장 서사문학 창작을 위한 예비학습
제3장 주제 정하기
제4장 스토리 만들기 - 인물
제5장 스토리 만들기 - 사건
제6장 플롯 짜기
제7장 스토리 만들기 - 배경
제8장 서술하기
제9장 시나리오 창작
제10장 퇴고

- 각 장별 객관식출제예상문제 (해설 포함) -

본문내용

제1장 서사문학의 이해

1. 서사문학의 개념
(1) 문학이란 무엇인가
① 생각이나 느낌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 (편지나 자서전, 신문기고문, 논설 등)
② 문학은 허구적 언어 표현
③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시는 행위를 모방하는 것’, 즉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을 모방하여 새롭게 만들어 내어야 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음.
④ 실제 모습 그대로가 아닌 ‘모방은 바로 허구’를 의미
→ 문학이란, ‘인간의 생각이나 느낌을, 언어를 이용하여 허구적으로 표현한 것’

원래의 표현 수단

노래
몸짓
서술(이야기의 우세)
명상(음악의 우세)
표출(동작의 우세)
허구적 표현 장르
서사시(서사문학)
서정시(서정문학)
극시(극문학)
비허구적 표현 장르
역사
철학
웅변

⑤ 서구의 문학사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출발한 이 3분법이 오랫동안 일반적인 장르론으로 굳어져 왔음

(2) 역사와 서사문학의 차이
① ‘역사는 있었던 일을 기록하는 것이고 문학은 있을 수 있는 일을 기록하는 것. 따라서 문학이 역사보다 더 철학적이고 풍부하다.’
② 역사와 서사문학을 가르는 중요한 경계선은 허구인가 아닌가에 달려 있음. 역사와 서사문학은 둘 다 이야기가 우세한 언어표현물이지만, 역사는 비 허구적인 것이고 서사문학은 허구적인 것임
③ 문학이 허구를 대상으로 삼아 표현하는 이유는 진실을 더 포괄적으로 다양하게 추구할 수 있기 때문임

(3) 말에서 글로, 이야기하기의 형식
1) 문학
① 구비문학 + 문자문학
② ‘말로 된 문학’에서 ‘글로 된 문학’으로 발전
③ 말하기를 예술화하려면 형식이 필요 (말하기의 형식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이 노래 부르기와 이야기하기)

2) ‘이야기하기’
①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를 주요한 전달 대상으로 삼으면서 그 이야기의 과정을 재미로 여기는 말하기의 한 형식
② 사건을 펼쳐서 전달해야 하므로 시간의 소요도 많고, 일정하게 정형화하기 어려움
③ 대신 풀어서 이야기하는 형식이므로 인간의 문제를 직접적이고 다양하게 담을 수 있음
④ 감각이나 감정에 의존하기보다는 여러 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세계의 질서나 삶의 원리를 주된 대상 내용으로 삼게 됨
⑤ 이야기는 본질적으로 소통의 과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개인적인 성격보다는 사회적인 성격이 강함

2. 서사문학이란 무엇인가
(1) 서사문학이 되기 위한 조건
① 신화, 전설, 민담, 서사시, 소설 등이 서사양식에 속함
② 소설이 속하는 서사양식에서는 이야기가 핵심적 요소
③ 서사, 즉 이야기를 핵심 내용으로 이루어진 양식을 서사텍스트, 혹은 서사물, 서사체 등으로 부름
- 서정양식: 향가, 시조, 창가, 서정시 등
- 극양식: 탈춤, 인형극, 드라마(희곡), 방송대본, 시나리오 등
④ 이야기와 더불어 이야기하는 사람, 즉 화자(story-teller)의 존재가 필수적임
⑤ 이야기는 서사문학의 내용을 이루고, 이야기를 하는 사람(서술자, 화자, story-teller, narrater)은 서사문학의 형식을 이룸
⑥ 가장 강력하게 주류 문화로 부상한 서사문학은 소설임

(2) 이야기, 스토리, 서사
① 이야기란 ‘인물과 사건, 그리고 배경을 갖춘 덩어리’
② 인물, 사건, 배경의 세 요건을 갖추어야 성립함
③ 이후 본 교재에서는 앞으로 ‘이야기’라는 용어보다 ‘스토리’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기로 함. 서사문학, 서사시, 서사물, 서사적 이해 등으로 사용할 때 ‘서사’는 스토리와 같은 의미를 가짐

(3) 서술자란 무엇인가
① 서사문학: 이야기를 주고받는 상황을 글로 옮긴 것, 비록 글로 쓰였지만 그 안에는 이야기하는 사람의 목소리가 숨어있음
② 이야기하는 사람
- 당연히 작가와 다른 누군가임. 작가가 아닌, 어느 누군가가 이야기하는 사람이 되어서 텍스트 안에 들어 있는 것
- 지칭하는 용어로는 ‘스토리텔러(story-teller)’, 화자(話者) 혹은 내레이터(narrater)라 부르기도 함
③ 서술자는 사건을 전하는 중계인
④ ‘이야기하는 사람’을 ‘서술자’로 부르기로 함. 곧 1인칭 서술자, 3인칭 서술자 등으로 사용함

(4) 서사문학, 서사텍스트, 내러티브
① 최근에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 모든 것을 서사텍스트로 보려는 경향이 있음
② 연극이나 뮤지컬도 스토리를 내용으로 삼고 있지만, 서술자의 중계 과정 없이 바로 직접 배우들의 행위로 보여주므로 서사문학 텍스트는 아님
③ 판소리는 매우 독특한 서사양식. 판소리는 음악이기도 하고 연극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서사 양식이기도 함
④ 오늘날의 서사학은 다양한 양식들을 적극적으로 서사문학에 포함시키며, 영화나 애니메이션, 혹은 CF 등을 영상 문학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서사 텍스트 창작의 대상으로 연구하기도 함

3. 서사문학의 구조
(1) 이야기하기와 서사문학
1) 이야기하기가 성립하기 위한 조건
①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소통 과정이 이야기하기의 필수 요건
② 발신자와 수신자만 있어서는 의미가 없고, 그 사이에 소통되는 어떤 내용이 있어야 함. 즉 이야기(스토리) 자체가 필요
③ 이야기라는 내용물은 하나 이상의 사건을 담고 있어야 한다. 물론 사건이 있으려면 인물과 인물의 행위가 있어야 함


- 중 략 -
  • 가격9,800
  • 페이지수86페이지
  • 학년/학기3학년/1학기
  • 해당자료학과국어국문학과
  • 자료출간일2014.05.29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9196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