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복지, <실업자를 위한 서비스>에 대하여 (실업의 영향, 업자에 대한 원조와 복지사의 역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복지, <실업자를 위한 서비스>에 대하여 (실업의 영향, 업자에 대한 원조와 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배 경

2. 실업의 영향
 1)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1) 전반적 손실
  (2) 물질적 측면
  (3) 정서적 측면
 2) 가정에 미치는 영향

3. 실업자에 대한 원조와 복지사의 역할
 1) 정서적 측면의 중요성
 2) 복지사 일반적 역할
  (1) 복지사의 유의사항
  (2) 실직자가 겪는 감정과 이에 따른 복지사의 역할
 3) 해고자를 위한 서비스
 4) 대규모실직시의 복지사 역할
  (1) 개 관
  (2) 회사차원의 할 일
  (3) 당사자 가족에 대한 개입
 5) 해고되지 않은 근로자에 대한 개입

본문내용

구성하고 활성화시키는 것이 있다. 예를들면 자조집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다섯째 : 지역사회관계(community relations)가 있다.
- 예를들면 고용주, 지역기관, 노동조합, 다른집단이 힘을 합쳐서 고용을 유지하도록 돕거나 실업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도록 도와준다.
여섯째 : 법적, 사회적 행동(legislative and social action)이 있다.
- 예를들면 지역사회와 정부기관이 실직자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장려한다.
(2) 회사차원의 할 일
대규모 실업이 생길 것 같은 경우에 복지사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 회사차원에서 다음의 두가지를 고려해야 한다.(Foster)
첫째 : 대규모 실업을 감행하는 회사를 클라이언트로 간주한다.
둘째 : 대규모실업과 관련하여 회사가 장기적 계획을 짜는 것을 돕는데 관여한다.
이와 관련하여 복지사는 다음과 같은 일을 할 수 있다.
첫째 : 규모를 축소하는 회사에게 가급적 초기부터 조언이나 자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 해고 이전부터 해고 이후까지 실직자나 실직대상자를 도와주는 것이다.
이상적(理想的)으로 볼 경우 복지사는 직원을 해고할 때에 경영자나 관리자가 다음을 가급적 준수하도록 권장한다.
첫 째 : 대상 근로자에게 사전에 충분한 시간을 두고 통보한다. 즉 근로자가 실직에 대비할 시간을 충분히 주도록 한다.
둘 째 : 근로자가 공정함을 느끼게 해준다.
셋 째 : 경영진이 모든 직원에게 분명히, 정직하게, 수시로, 충분히 설명한다.
넷 째 : 해고과정에 모든 근로자가 완전히 개입하도록 한다.
다섯째 : 관리자와 인사담당자가 취할 행동과 전략에 대해 준비한다.
여섯째 : 비용감소, 자리감축, 서비스 제공 등에 융통성 있게 대처한다.
일곱째 : 실직을 당하는 근로자와 실직을 당하지 않는 근로자 모두에게 과도서비스(transition services)를 제공한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이상적 조치가 실제로는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대개의 경우 관리자는 마지막까지도 위에 언급한대로 행동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관리자도 마음이 편하지 못하니까 실직자를 잘 다루지 못한다.
- 또한 관리자는 실직 사실을 미리 통보할 경우에 근로자가 파업 등의 행동에 들어갈 것을 염려하기 때문에 근로자에게 해고사실을 사전에 충분한 시간 여유를 두고 통보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많다.
⇒ 이에 따라서 실직을 겪는 당사자가 해고를 결정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 결과 실직을 당하는 근로자는 감정상태가 더 악화된다.
(3) 당사자 가족에 대한 개입
무엇보다도 적응력을 떨어뜨린다. 우리나라는 직장에 큰 비중을 두는 문화이고 그간 평생교육의 개념이 확산되어 있었기에 실업이 적응회복에 주는 부정적 영향이 아주 클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실업자가 적응력을 키우도록 지속적으로 도와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 실업자가 직장에 나중에 복귀한다해도 자존심이나 자긍심이 완전히 회복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응향상을 위해서 당사자에게 심리적 상담과 미시적 개입을 더욱더 제공해주어야 한다.
- 예를 들면 집단토론 같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업자가 여러 가지 대안을 잘 알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어야 하며,
- 또한 집단회합 등을 통하여 실업자들이 부인, 분노, 두려움, 걱정 등을 직면할 수 있게 하는 정서적 지지망을 형성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Foster)
또한 앞에서도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근로자 개인의 실업은 해당근로자의 가족 전체의 실업으로 보아야 한다.
실업자에게는 상담과 같은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가 많으나 실직가정의 구성원은 실상 이런 종류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아주 많다.
- 그러므로 실업자뿐만 아니라 실업자 가족 전체에 초점을 두고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Foster)
- 즉 서비스제공대상을 실업자 개인뿐만 아니라 실직자 가족전체에 두는 접근을 취해야 한다.
그리고 실업에 따르게 마련인 경제적 부족은 배우자에게도 큰 심리적 충격을 준다. 또 실업은 가정폭력의 증대를 가져온다.
- 따라서 실업자뿐만 아니라 그 배우자에게도 심리적 안정을 꾀하는 개별상담이나 집단상담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특히 집단상담을 통하여 지금 겪는 문제가 자기들만이 겪는 문제가 아님을 느끼도록 하면서 실업자와 그 가족이 새로운 현실에 맞게 의식을 바꾸어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5) 해고되지 않은 근로자에 대한 개입
실업자에 대한 관심이 우선 급하기 때문에 소홀히 취급되고 있는 부분이 있다. 그것은 실업을 당하지 않고 그대로 직장에 남아 있는 사람에 대한 관심이다.
실업은 떠난 자들뿐만 아니라 살아남은 자들에게까지 아픔을 던져주기 때문이다.
이들과 관련된 정신적 지지망은 살아남은 자들까지의 지지망과 살아남은 자를 통한 지지망의 두가지를 고려해볼 수 있다.
첫째 : 동료가 해고나 실직 당하는 것을 보고서 해고나 실직이 되지 않은 사람들도 불안을 느낀다.
- 더구나 잘 조정되지 않은 실업사태는 해고당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죄의식, 적대감, 냉소감 등을 유발한다.(Foster)
- 이것은 결국에 가서는 살아남은 자들의 직무수행과 가정생활에 좋지않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살아남은 자들도 추슬러주는 지혜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특히 자기들끼리 모여 자기들의 속마음을 터놓고 이야기하게 하여 정서적 공감대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이런 일을 현재의 기업이 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지역내 민간자원의 자문이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 무엇보다도 살아남은 자들은 지역사회의 복지기관이나 시민단체에 속해 있는 복지사의 중재를 통해서 실업자를 위한 지지망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살아남은 자들 역시 실업의 쓰라림이 어떤지를 누구보다도 잘 알기 때문에 이들은 더 현실적으로 실업자의 심리적 측면을 다독거려 줄 수 있고 또 이에 대한 동기를 가지고 있다.
- 그러므로 체면관계로 도움을 청하기를 꺼리고 부끄러워하는 실업자들에게 장기적이고 안정된 지지망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06.01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10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