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 수용의 지역연쇄 (동아시아로의 사회주의 수용, 동아시아 내의 사회주의 수용, 사회주의와 민족해방운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주의 수용의 지역연쇄 (동아시아로의 사회주의 수용, 동아시아 내의 사회주의 수용, 사회주의와 민족해방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序言
2. 동아시아로의 사회주의 수용 배경
3. 동아시아 내의 사회주의 수용
4. 사회주의와 민족해방운동
5. 結語
6. 參考文獻

본문내용

.G.비즐리, 일본 근현대사, 장인성 역, 을유문화사, 2004, pp.219~220.
게다가 정치 지도자들은 대중의 불만을 없애고 과격사상의 전파를 막기 위해서 보통선거의 확대를 요구하였으며, 이들을 규제할 법안도 만들 것을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1925년 모든 성인 남자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었고, 치안유지법이 의회에 제출되어 거의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 치안유지법은 공산주의자들을 검거하는 데 크게 이용되었다.
많은 사회주의 지도자들은 보통선거법의 통과로 인해 의회 중심의 온건한 방향으로 선회했다. 이들은 무산층의 이익을 대표함으로써 새로운 표를 모을 수 있다고 생각하여 프롤레타리아 정당을 조직하였다. 게다가 1920년대의 정당내각은 새로운 정당들이 기존의 정치권력에 큰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기에, 이들의 활동에 대해서 관대했다. 그러나 사회주의 지도자들의 기대와는 달리, 1928년에 실시된 첫 번째 보통선거에서 프롤레타리아 정당들은 5%의 득표율과 8개의 국회의석밖에 얻지 못했다. 분파싸움과 자금 및 경험의 부족, 그리고 농민들의 불신으로 인하여 좌익정당들은 政友會, 民政黨 등의 기성정당들과 선거에서 맞설 수 없었다. 피터두으스, 일본근대사, 김용덕 역, 지식산업사, 1983, p.186.
하나로 뭉친 대중정당을 결성하려는 사회주의자들의 목표는 이념적 분파와 개인적 분열로 실패하였고, 이후 작은 정당들이 난립하게 되었다. 피터두으스, 앞의 책, pp.184~185.
동아시아에서 사회주의는 일본을 제외하고는 모두 민족해방의 수단으로 수용되었고, 사회주의 세력의 등장은 민족운동의 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했다. 첫째, 당을 중심으로 각종 대중운동 단체들이 연계되면서 전국적으로 민중이 하나의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해주었다. 둘째, 통일전선의 논리와 경험이 좌우의 이념과 관계없이 단결을 촉진했는데, 대표적인 예로 중국의 1~2차 국공합작, 조선의 신간회, 베트남의 인도차이나 반제민족통일전선과 베트남독립동맹 등을 들 수 있다. 유용태 외, 앞의 책, pp.332~333.
반면 일본의 사회주의는 더 발전하지 못한 채 의회정당으로 남게 되어 한국, 중국, 베트남과는 다른 길을 걷게 된다.
5. 結語
18세기 산업화 이후, 자본주의의 모순에 대응하여 다 함께 평등하고 자유로운 세상을 만들자는 사회주의가 형성되었다. 사회주의는 19세기에 마르크스와 엥겔스에 의해 체계화되었고, 그들의 사상은 러시아의 레닌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급진적인 혁명 사상인 맑스-레닌주의가 출현하였다. 레닌의 러시아혁명의 성공과 함께 코민테른의 민족해방운동 지원으로 맑스-레닌주의가 동아시아에서 사회주의 운동의 주류가 되었다.
중국에서의 사회주의는 초기에 일본과 프랑스를 통해 유입되었으며 중국의 상하이는 각종 혁명이념이 전파된 곳으로 조선과 베트남에 영향을 주었다. 중국의 사회주의는 신문화운동과 5·4운동에서 각종 사상운동단체에 의해 확장되었으며, 이후 1921년 중국공산당이 창당되고 이후 공산당은 국민당과 두 차례 국공합작을 하면서 민족해방운동이 전개되었다. 그리고 조선에서의 사회주의는 신문, 책, 잡지와 같은 매체에 의해 소개되었고, 러시아령 한인사회의 도시인 이르꾸쯔끄와 하바롭스끄, 도쿄에서 사회주의를 점차 수용하게 되었으며, 3·1운동을 통해 확산되었다. 그리고 1925년 조선공산당이 창당되어 일제의 극심한 탄압 아래서도 민족해방운동에 힘썼다. 이후 코민테른이 ‘통일적 민족혁명전선 수립’을 제시하자,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 함께 신간회를 결성하여 민족해방운동을 확장시켜 나가기도 하였다. 한편 베트남은 프랑스 파리로 간 이주 노동자 호치민을 필두로 하여 사회주의를 수용하였으며, 1929년 인도차이나 공산당이 결성되었으나 분열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일본은 일찍이 산업화하여 사회주의를 동아시아에서 가장 일찍 수용하였으나 사회주의의 여러 입장이 존재했으며, 1922년에 일본공산당이 창당되었으나 천황을 부정하여 탄압을 받았다. 그리고 보통선거법이 통과된 후, 사회주의 정당은 선거에서 승리하지 못해 작은 정당들이 난립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동아시아 각국은 사회주의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일본을 제외한 국가들에는 사회주의가 민족해방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요소로 작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민족해방운동이 식민지·반식민지에서 사회주의 세력이 세력을 넓히게 된 원천을 제공하였다고도 할 수 있다.
6. 參考文獻
강만길, 고쳐 쓴 한국현대사, 창비, 2006.
김학준, 동아시아 공산주의자들의 삶과 이상, 동아일보사, 1998.
박영희, 中國의 社會主義思潮 受容과 그 作用: Marxism을 中心으로, 동양학 33,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3.
박종철, 베트남의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혁명의 기원, 1910-1945, 동남아시아연구 2, 한국동남아학회, 1993.
서울대학교동양사학연구실, 강좌 중국사 6, 지식산업사, 1989.
서진영, 중국혁명사. 한울아카데미, 1992.
역사학연구소, 함께 보는 한국근현대사, 서해문집, 2004.
유용태 외,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창비, 2010.
유인선, 새로 쓴 베트남의 역사, 이산, 2003.
이범준, 베트남공산주의운동의 기원과 전개 東亞 硏究,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1986.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 역사비평사, 2003.
정혜선, 일본공산주의 운동과 천황제, 國學資料院,, 2001.
함택영, 베트남의 독립, 분단 및 통일 : 농민혁명과 민족해방, 한국과 국제정치,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89.
던컨 핼러스, 우리가 알아야 할 코민테른 역사, 오현수 역, 책갈피, 1994.
루시앵 비앙코, 중국 혁명의 기원 : 1915-1949, 신지서원, 2004.
칼 맑스·프리드리히 엥겔스, 공산주의 선언, 김태호 역, 박종철출판사, 1998.
캐빈 맥더모트 외, 코민테른 레닌에서 스탈린까지 국제 공산주의 운동의 역사, 황동하 역, 서해문집, 2009.
V.I.레닌, 제국주의론, 남상일 역, 백산서당, 1986.
W.G.비즐리, 일본 근현대사, 장인성 역, 을유문화사, 2004.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6.18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41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