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족운동사]사회주의 사상과 조선 공산당 -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과 확산, 국내 사회주의운동의 분파 형성, 조선공산당 조직과 활동 및 한계, 조선공산당의 의의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민족운동사]사회주의 사상과 조선 공산당 -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과 확산, 국내 사회주의운동의 분파 형성, 조선공산당 조직과 활동 및 한계, 조선공산당의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사회주의 사상과 조선공산당
1)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과 확산
(1)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
(2) 사회주의 사상의 확산
2) 해외 한인들의 사회주의사상 수용과 국외 전위정당
(1) 국외 전위정당의 결성과 활동
(2) 일본 한인들의 사회주의사상의 수용
3) 국낸 사회주의운동의 분파 형성
(1) 서울파
(2) 북풍파
(3) 꼬르뷰로 국내파와 화요파
(4) 사회주의분파의 당건설투쟁
4) 조선공산당 조직과 활동
(1) 민중운동자대회를 둘러싼 화요파와 서울파의 대립
(2) 제1차 조선공산당
(3) 제2차 조선공산당
(4) 제3차 조선공산당
(5) 제4차 조선공산당
(6) 조선공산당의 해체
5) 조선공산당의 한계
6) 조선공산당의 의의

3.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부르주아 인텔리겐치와 학생층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조선공산당 검거사건으로 검거된 당원에 대한 조사에 의하면 적어도 60퍼센트 이상이 소부르주아 출신이다. 또한 절반이상은 중학교 이상의 교육을 받은 지식인들이었다. 20대의 당원들이 75퍼센트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95퍼센트가 40세 이하였다. 이상의 조사를 두고 볼 때 조선공산당 당원들은 부유하지는 못하나 평균적인 한국인으로부터 뚜렷이 구별될 정도의 고등교육을 받았고 잠재적일지라도 정치엘리트로 규정될 수 있는 도시화된 소지식인 청년들이었다. 그 결과 조선공산주의자들은 출신성분의 여하에 상관없이 노동계급의 세계관과 혁명이론에 입각하여 활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공장과 농촌의 생산현장에 조직적 뿌리를 박는 것은 몹시 어려운 형편이었다.
셋째, 조선공산주의자들은 내부적으로 통일·단결되지 못하였고 강철 같은 규율을 유지하기 곤란한 상태에 놓여 있었다. 1920년대 말경에 조선공산당은 여러 개의 분파조직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당시 조선공산당 조직 내에서는 3개의 분파조직이 독자적인 중앙기관과 세포조직을 유지하면서 당의 집행부를 장악하기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었다. 각 분파조직을 당시에는 엠엘파·화요파·서울파라고 불렀다. 이들 각 분파조직 사이의 경쟁은 조선공산당을 유기적인 통일체로 만드는 대신에 각 분파의 느슨한 연합조직으로 만들고 말았다. 그 결과 노동계급의 조직적 전의부대로서 화동하는 데 불가결하게 요구되는 강철 같은 규율과 엄격한 비밀활동 능력을 더 이상 기대하기 곤란한 상황이 야기되었다.
이러한 주·객관적 결함들로 인해 조선공산주의운동은 1920년대 말경에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던 것이다. 운동의 진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결함들을 교정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경주되어야만 하였다. 당내의 분파투쟁을 청산하고 당의 조직적 대오를 노동자·농민대중 속에 깊이 뿌리내리지 않고서는 일제의 탄압에 맞서 투쟁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었던 것이다. 강만길 외 11명. 『한국사 15 - 민족해방운동의 전개 1』. 한길사. 1995. 193~195쪽
6) 조선공산당의 의의
사회주의사상과 운동은 1920년대 이후 심화되는 식민지하의 민족모순·계급모순의 해결을 지향하는 민족해방운동의 한 지도노선으로 사회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그리고 그것은 한국근대사를 관통하는 민족해방운동의 변혁적 성격을 대변하는 또 하나의 정형을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조선공산당이 막을 내린 이후에도 사회주의운동노선을 지향하는 운동들이 노동·농민·청년운동에 걸쳐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던 것이다. 즉, 식민지하 민족해방운동의 노선에서는 이제 부르주아·자본주의적인 것과 무산자·사회주의적인 것이 확연히 구분되기 시작했으며, 이것은 항일운동의 주체 뿐 아니라 해방 후의 새로운 민족국가의 성격까지 규정하였다. 1945년 해방 이후 극심했던 좌·우의 대립과 분단·냉전이데올로기로의 정착은 이러한 식민지하 민족해방운동의 노선차이에서 그 역사적 근원을 갖는 것이었다. 한국역사연구회.『한국사강의』. 한울아카데미. 1989. 318쪽
그리고 코민테른으로부터 승인을 받은 최초의 공산당이라고 할 수 있는 조선공산당의 창립은 민족해방운동을 국제적 연대 속에서 수행하는 일정한 틀을 만든 것이었다. 당시의 국제노선은 미국·영국·프랑스·일본 등의 제국주의 국가가 베르사유 체제·워싱턴 체제 등과 같은 동맹 체제를 구축하여 세계적 규모에서 민족해방의 역량을 억압하는 상황 속에서 각국의 민족해방투쟁을 국제적인 시야에서 조직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망원한국사연구실 한국근대민중운동사서술분과. 『한국근대민중운동사』. 돌베게. 1989. 314쪽
조선공산당은 1925년에 국내에서 조직된 후 불과 3년 동안에 네 차례의 조직원이 대거 검거되고 그때마다 당이 해체되었으나 후속당이 계속 건설되었다. 그것은 공산주의 운동에 대한 일본의 탄압이 얼마나 철저했는가를 알 수 있지만, 그런 가혹한 탄압 아래에서도 후속당이 끈질기게 성립할 수 있었던 것은 그 운동이 공산주의 운동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민족해방운동의 일환이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조선공산당은 혹심한 탄압 아래서도 노동총동맹·농민총동맹·청년총동맹 등 대중운동단체의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면서 대중운동의 정치성을 높이는 데도 상당히 기여했다. 강만길. 『고쳐 쓴 한국현대사』. 창작과비평사. 1994. 79쪽
3. 맺음말
앞서 우리는 그동안 역사적 특수성에 입각하여 과거 정규교육과정에서는 배우기 힘들었던 국내의 사회주의사상운동과 조선공산당의 활동에 대해 조금 더 심도 깊게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조선공산당은 해방 후 사회주의운동의 중심을 형성했다는 역사적 실천적 의미와 함께 많은 한계를 안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재의 시점에서 조선공산당의 역사를 바라볼 때, 과거 계급운동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데만 만족한다면, 새로운 논의지형을 이끌어 낼 수 없다. 특히 공산주의운동의 주체들이 내세우는 이념적 당위만으로는 ‘지나간 운동’속에서 새로운 운동의 미래와 가능성을 찾기 어렵다. 해방 후 상황에서 조선공산당은 어떠한 모습이어야 하는가를 생각하고, 새로운 논의의 가능성을 열어놓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자본주의와의 비교 속에서 관성적으로 접근하던 시각에서 벗어나 과거 사회주의운동만이 아니라 현실 사회주의 자체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사고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강만길. 『고쳐 쓴 한국현대사』. 창작과비평사. 1994.
강만길. 『20세기 우리 역사』. 창작과비평사. 1999
강만길 외. 『통일지향 우리민족해방운동사』. 역사비평사. 2000
강만길 외 11명. 『한국사 15 - 민족해방운동의 전개 1』. 한길사. 1995
고숙화 외 10명. 『한국사 49 -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국사편찬위원회. 2001
망원한국사연구실 한국근대민중운동사서술분과. 『한국근대민중운동사』. 돌베게. 1989
류승렬.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7 - 현대』. 솔. 2003.
한국역사연구회.『한국사강의』. 한울아카데미. 1989.
최규진. 잃어버린 기억 조선공산당. 『내일을 여는 역사 제 10호』. 서해문집. 2002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4.06.21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52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