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성질환(노인질환, 치매, 뇌졸중)과 호스피스(hospice)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성질환(노인질환, 치매, 뇌졸중)과 호스피스(hospic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Ⅰ. 치매
 1) 치매에 대한 이해
 2) 치매의 원인과 유병률
 3) 치매의 증상 및 징후
 4) 치매 노인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Ⅱ. 뇌졸중
 1) 뇌졸중의 정의 및 종류
 2) 뇌졸증의 증상
 3) 뇌졸중의 재활치료
 4) 뇌졸중 환자와 가족의 특성
 5) 뇌졸중환자와 가족의 사회복지서비스
 6) 사례

Ⅲ. 노인성질환과 호스피스

 1) 한국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2) 호스피스에 대한 이해
 3) 임종준비 하기
 4) 외국의 호스피스
 5) 개선점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정 호스피스 시작
=1975년 뉴욕의 성 누가 루스벨트 병원에서 프로그램 시작(산재형)
=1978년 National Hospice Oranization (NHO) 설립
=1981년 호스피스에 관한 행정, 간호의 단위, 증상조절, 적정질관리, 기록, 인사관리, 사별관리, 시설 및 장비들에 관한 원칙과 표준 마련
=1979년 보건 의료 재정청(HCFA)에서 26개 호스피스 대상으로 시범사업실시
=1981년에는 미국 의회에서 호스피스 법안(Hospice Bill) 통과
=1982년 TEFRA(Tax Equity and Fiscal Responsibility Act)에서 메디케어 호스피스를 신설하는 내용을 1986년 일몰규정으로 두어 메디케어에서 공식화하였으며, 1986년 메디케어에서 호스피스 급여인정이 영구화됨
※ 메디케어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환자의 임상진료의사(medical doctor)와 호스피스 의사로부터 환자가 여명이 6개월 이하라는 진단을 받아야 함.
=현황
=호스피스 기관 이용자의 약 80%가 암환자임
=2000년 현재 3,200여개 이상의 호스피스 프로그램이 있고, 700,000여명의 환자가 호스피스를 이용함
=입원기간중의 전체 비용중 79%는 Medicare에서 지급이 되고 5%는 Medicaid, 13% 는 사적인 보험에서 지급 됨
=비용은 Medicare에서 일당정액제로 지급
3)일본
=제도 도입 경위
=1981년 성례삼병원(Seirei Nikatahara General Hospital) 호스피스로 시작
=1990년 건강보험수가항목 신설(완화의료병동입원료:3만8천엔/1인 일당)
=1996년 Japan Academy of Hospice Palliative Medicine 설립
=1998년 호스피스·완화의료 병동 승인 기준이 마련되었으며, 서비스 대상자, 인력 기준 및 근무형태, 병동 및 병상 시설 설치 기준 등 규정
=현황
=연간 암 사망자수는 29만명이며, 암환자 중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이용한 사망환자는 연간 6천명으로 총 암환자의 2%임
4)한국
=제도 도입경위
1965년 3월 강릉 갈바리 의원(마리아의 작은 자매회)에서 임종자 간호를 시작한 것이 우리 나라 호스피스의 시초가 되었고 1978년에는 임종방을 마련, 1981년에는 14개의 침상을 마련하였습니다. 1981년 8월 가톨릭 의과대학 의학과, 간호학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학생호스피스가 시작되었고 1982년 6월 강남성모병원에서 종양학에 대한 집담회를 통해 호스피스 활동 모임이 전개되었으며 1987년 3월 성모병원, 강남성모병원에 호스피스과 개설되어, 활발히 운영되고 있고 1988년 10월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10병상)이 신설되었습니다. 1988년 세브란스 암 센터에서의 가정 호스피스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이화여대 간호대학에서도 가정 호스피스 사업을 시작하여 전담간호사가 활동 중이며 춘천의 성골롬반 의원에서도 1989년 가정 방문 간호를 시작으로 춘천지역에서 활발한 가정 호스피스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1992년 3월 한국 가톨릭 호스피스 협회를 창립하였으며 1995년 10월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 연구소를 개설하여 세계 보건 기구 협력 센터로 인정을 받아 활발한 활동을 전개 중입니다.
=현황
=민간차원에서 의료기관 및 비의료 기관 중심을 다양한 호스피스 활동 전개
=의료기관 : 가톨릭, 기독교계통 병,의원(40여개) 중심으로 운영
=비의료기관 : 사회복지시설 및 종교 단체(20여개) 중심으로 사회봉사 차원에서 운영
=의료기관 중심 호스피스
=의사, 간호사 등 의료인 외에도 사회복지사, 성직자나 기타 인력(약사, 영양사, 물리치료사, 자원봉사자 등)도 활발 하게 참여하고 있음
=호스피스 실시 의료기관 현황(40개)
· 별도 병동운영 : 11개 기관 (119병상)
· 산재형 서비스제공 : 25개 기관 (22병상)
· 독립 입원 병상운영 : 2개 의원 (54병상)
· 의원 소규모 입원 병상 : 2개 기관 (5병상)
※ 이중 29개 기관에서는 가정간호와 연계하여 운영중
· 가정 방문 서비스 : 29개 기관
· 주간 진료 : 5개 기관
→비의료기관 중심 호스피스
· 독립시설 입원서비스 6개 기관 (103병상)
· 가정방문서비스 20개 기관
· 주간보호서비스 2개 기관
-재원조달방법 : 기부금, 후원금, 예산등 다양한 재원으로 운영
제도적 방안
- 우리나라는 이미 호스피스가 상당한 수준에 와 있고 많이 발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적, 제도적 받침이 없어 더 이상 발전이 어려운 실정입니다. 그러므로 국가, 사회적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첫째. 현재 인적 자원 부족 및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이나 중소병원에 대해 정부가 예산을 지원하여 호스피스-완화의료전문기관으로 육성함으로써 서비스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전문인력 확보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특히, 말기환자들은 기존의 의료 인력으로는 감당하기 힘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필요로 하는 지식, 기술, 태도가 다르기 때문에 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는 전문교육 및 훈련의 강화가 필요하다.
Ⅲ결론
노인의 성질환에 대하여 파악하고 그것에 맞추어서 대처하는 준비 자세와 프로그램의 숙지와 개발에 힘을 써야 할 것이며 호스피스가 무엇인지 확실히 인지하여 자신이 호스피스가 된다면 그것에 맞는 역량과 준비를 하여 보다 나은 노인복지서비스를 제공하여 노인의 삶에 질을 높여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자,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심리적 특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최익성, 뇌졸중 환자의 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사회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최은숙, 뇌졸중 환자의 자가간호 수준에 따른 보호자의 스트레스,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결과, 2010.
보건복지부, 국민건강통계, 2008.
대한뇌졸중학회, 뇌졸중초기치료의 중요성
노인복지론, 박석돈, 박순미, 이경희 양서원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4.06.23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54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