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문화교류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중 문화교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중 문화교류의 역사
1)조공으로 본 한중의 문화교류
※조공(朝貢)의 개념
※조공의 목적
①삼국시대
②통일신라
③고려시대
④조선시대
⑤맺음말
2)한중수교의 배경과 발전가능성
한국과 중국의 한중수교(국교정상화) 배경과 영향
한중관계 정상화를 통한 동북아 안전

3.현재의 한중 문화교류의 실태

Ⅱ. 중국의 WTO가입
Ⅱ-1 중국의 WTO 가입의 의미
Ⅱ-2 중국의 WTO가입 과정
Ⅱ-3 중국의 WTO가입이 자국에 미칠 영향
① 긍정적
② 부정적
Ⅱ-4 중국의 WTO가입이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
① 긍정적
② 부정적
Ⅱ-5 중국의 WTO가입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향
Ⅲ.한류열풍
Ⅲ-1 한류열풍이란?
Ⅲ-2 한류열풍이 발생하는 원인
Ⅲ-3 한류열풍이 우리사회에 미치는 영향
Ⅲ-5 지속적인 한류열풍을 위한 방안

Ⅳ 중국시장의 국내 기업 진출
Ⅳ-1지금까지의 국내 기업의 중국진출
Ⅳ-2 우리나라 기업의 올바른 대응 전략
①중국내의 활동
②한국 내적인 준비
중국의 이면

1. 한․중 문화교류의 전망
(1)양국간의 문화교류 확대․심화
2. 미래의 발전방향
(1) 문화교류는 상호친선에 중점
(2) 교류에 앞서 그 곳의 문화풍습에 밝아야 한다.
(3)동북삼성에 있는 이백만 조선족 동포들과 함께 해야한다.
(4)상대에 대한 이해가 절실히 필요
(5)한․중 미래경제협력

결론

본문내용

도 마찬가지로 그곳의 칭호를 따라야 한다. 우리들이 자주 사용하는 「백두산(白頭山)」은 「장백산(長白山)」이고, 「두만강(豆滿江)」은 「도문강(圖們江)」, 「만주지방(滿洲地方)」은 「동북지방(東北地方)」, 「봉천(奉天)」은 「심양(瀋陽)」으로 불리는 일 같은 것이다.
(3)동북삼성에 있는 이백만 조선족 동포들과 함께 해야한다.
동북삼성에 거주하는 조선족은 200만명이나 된다. 특히 문화혁명 이후 중국의 고등교육을 받은 소위 「지식청년(知識靑年)」가운데는 중국어와 중국문장에 정통한 인재들이 배출되고 있다. 그것은 2, 3세의 우리 동포들에겐 한국이라는 민족의식과 중국이라는 국민이 지녀야 하는 이중의식이 있고 그들이 알고 있는 모국어가 아직도 북한 성향인데다 동북 특유의 「조선어」를 구사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중국과의 문화교류가 점점 많아질수록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적 동포들의 힘이 절실히 요구된다.
(4)상대에 대한 이해가 절실히 필요
중국은 사회주의 정권 수립 이래, 현재 개방과 개혁을 맞고 있다. 최근 왕쑤어(王朝)나 류숴라(劉索拉)머옌(某言)찬쉐(殘書) 같은 신인들의 소위 「비이성주의」적 소설이 중국의 베스트 셀러로 부상하면서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데, 그 속에는 관능, 쾌락, 파괴, 미신, 문란, 황금, 패륜, 야유, 광란 등 자본사회에서도 가장 퇴폐적 요소들이 난무하는 이를테면 건달들의 황당한 입심이나 말초적인 감각들이 활개칠 정도로 개방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개방 기류는 아직도 변수 속에 있다. 서구식 사고로는 이해하기 힘든 성격임도 사실이다. 그것은 중국은 아직도 사회주의 기치를 내리지 안을 뿐 아니라 문화의 기본정책이 당을 주축으로 견고한 체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화의식 및 화이관에 대한 이해와 대처가 필요하고, 몇 가지 경계해야 할 요소가 양국의 문화교류에는 내재해 있다.
1.사회주의 원칙을 여전히 견지
개혁개방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해도 중국은 공식적으로는 사회주의 원칙을 여전히 견지하고 있다는 점을 우선 상기해야 한다. 따라서 현실사회주의권의 붕괴나 낙후한 경제 등을 들먹이며 중국측을 얕잡아보는 태도는 양국교류의 장래를 위해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생각된다.
2. 49년 이후 변모된 중국 현실에 대한 이해가 요구.
문화학술 방면에도 이데올로기의 영향이 강하게 작용했고, 어떤 면에서는 수천년의 전통보다 더 강하게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런 변화된 모습을 지켜보면서, 점진적이며 신중한 접근과 교류방식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3. 중국인들의 뿌리깊은 「중화의식」과 여기에서 비롯한 「화이관(華夷觀)」에 대한 경계
적지않은 중국인들의 의식 속에는 여전히 「중심의 대국/변경의 소국」이라는 관념이 남아 있다. 즉 「입술이 없어지면 이빨이 시렵고, 대문이 부서지면 집이 위태롭다(屑亡齒寒, 戶破堂危)」라는 비유의 표층은 양자의 밀접한 관계를 의미하지만, 그 심층에는 「이빨과 집」이 보다 중요하고 「입술과 대문」은 그 다음이라는 차별적 인식이 숨어 있고, 중국인은 자신들이 입술이거나 대문에 불과하다고는 생각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5)한중 미래경제협력
중국이 한국과의 경제 협력에 관해 중점적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은
①꾸준한 교역 증대②정부나 민간 차원을 가리지 않는 자본 도입의 확대 ③한국 기업의 중국진출을 활성화하여 기술의 이전과 직접 투자를 늘려 가겠다는 것 등이다. 또한 지금까지 진출 지역도 산동, 천진에 집중되었으나, 첨단 산업과 서비스 산업이 잘 발달된 상하이 주변 지역으로 다변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한국이 준비해야 할 것은 상당한 인내력을 요하는 끈기의 자세이다. 중국인의 기질에 대한 대응 이라기 보다 실제 단기간에 효과를 거둘 수 없는 게 중국에의 투자 조건이라는 것을 참작하여 장기적인 지구전을 염두 해 두어야 한다 또한 탈냉전 시대에 한국과 중국은 경제적인 차원에서 뿐 아니라 정치 외교적 차원에서도 상호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이는 양국이 한반도에서의 긴장완화와 평화유지에 공통적인 정치적, 안보적, 이익을 공유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지역주의의 강화, 즉 경제 블록화를 강화하는 쪽으로 강대국들이 보호무역주의 현상이 확산되는 현상이 확산되는 현상을 감안할 때 경제적, 외교적, 차원에서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고려해볼 점은 중국의 궁극적인 목표가 사회주의 국가의 건설이므로 개방이나 개혁은 현대화나 재 발전을 위한 하위 개념에 속하며, 정치적으로는 자주적 ,독립적 자세를 강조하고 경제적으로는 자력 갱생을 기본원리로 삼고 있기에 개혁과 개방이 무한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점이다 따라서 중국의 지속적인 개혁, 개방정책을 지원하면서 동북아시아에서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경제발전에 중국이 참여하도록 중국과 신뢰적인 동반자적 관계를 확대 발전시켜야한다
결론
앞서 봐온 바와 같이 한중문화교류의 방향이 장미빛만은 아니다. 지혜롭고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만 한중문화의 교류가 활성화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국에서 일방적으로 돈을 벌겠다는 생각보다 중국과 공조체계를 갖춘다는 발상의 전환도 필요하다. 즉, 한류로 인한 수익 또는 경제교류로 발생되는 경제적 이익만을 생각할 것이 아니라, 우리가 비교우위에 있는 문화산업의 노하우를 전하고 그들의 상품도 수입한다는 쌍방주의의 입장이 한중문화 교류를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교류라는 것을 통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 쌍방 모두에게서 이루어지고 서로에게 득이 된다. 더 많은 문화교류를 통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되길 바란다.
참고문헌
권선홍황귀연김홍구박장식우덕찬 공저,「전통시대 중국의 대외관계」,PUFS(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9.
김용준저, 「사례와 통계로 본 중국소비자와 중국시장」,박영사, 2000.
이인택, 「차이나 신드롬 속의 진짜 중국」, 해냄, 2000.
제스퍼 베커 지음이은선 옮김, 「중국은 가짜다」홍익출판사, 2001.
한국무역협회 무역조사부 편저, 「2000~2010년 한국경제 54가지 전망과 전략」,
굿인포메이션, 2000.
한국민족대백과사전편찬부,「한국민족대백과사전2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 가격2,2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4.06.24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58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