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쌀> 쌀의 역사 - 쌀의 기원과 전파, 삼국시대(우경, 농기구), 조선시대(이앙법), 일제통치시대(쌀수탈정책), 광복 이후 쌀 정책(통일벼, 우르과이 라운드, FTA)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화사] <쌀> 쌀의 역사 - 쌀의 기원과 전파, 삼국시대(우경, 농기구), 조선시대(이앙법), 일제통치시대(쌀수탈정책), 광복 이후 쌀 정책(통일벼, 우르과이 라운드, FT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쌀의 기원과 전파경로

2. 삼국시대(4C ~ 6C)
 1) 우경
 2) 농기구의 발달
 3) 농기구의 종류

4. 조선시대
 1) 이앙법
 2) 이앙법이 조선사회에 미친 영향
  (1) 농업 생산력의 증대
  (2) 지대(地代)의 변화

4. 일제통치시대(쌀수탈정책)
 1) 무단통치시기(1910∼1919) : 토지약탈(1910년대-토지 조사사업)
 2) 문화정치시기(1919∼1931) : 식량약탈(1920년대-산미증식계획)
 3) 병참기지화 및 전시동원시기(1931∼1945) : 인적자원, 물적자원 수탈

5. 제3공화국
 1) 통일벼
 2) 혼식 분식 장려운동

6. 1990년대
 1) 우루과이 라운드

7. 2007년
 1) FTA(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
 2) 한국FTA현황
 3) 한미FTA의 장단점

8. 벼농사가 중요한 이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게 죄악시될 정도였다. 정부는 혼분식 장려운동과 함께 다수확 벼 품종 개발에도 박차를 가해 마침내 ‘기적의 볍씨’ IR667로 불리던 통일벼를 개발해냈다. 전국의 논이란 논에는 반강제적으로 통일벼가 심어졌고 마침내 77년 쌀 자급을 이루었다. 그해는 또 쌀막걸리가 다시 등장했고 수출 1백억달러를 돌파한 해이기도 했다. 그 와중에 혼분식 운동도 역사의 뒷전으로 사라졌다.
6. 1990년대
1) 우루과이 라운드
1986년9월 우루과이에서 개최된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 각료회의에서 개시된 GATT의 8번째 다자간 무역 협상을 일컫는다. GATT는 국제통화기금(IMF)와 함께 전후 미국 주도의 세계 자본주의를 떠받치는 기둥의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절대 우위에 기초한 국제 경제 질서가 붕괴되고 미국, 일본, 유럽 공동체(EC : 오늘날의 유럽연합, EU) 등으로 다극화 되었다. 특히 1980년대 들어 미국은 자국의 농업 공황, 제조업 쇠퇴, 서비스 산업 팽창이라는 산업 구조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무역 질서를 구축하려고 시도하게 되었다. 즉, 농업과 서비스 산업의 비교 우위를 무기로 하여 세계 경제에 대한 패권을 회복하고 이를 더욱 강화하려고 한 것이다. 이러한 미국 대자본의 이익 추구가 GATT를 통해 반영된 것이 우루과이
라운드인 것이다.
그러나 우루과이 라운드는 수년 동안의 협상에도 불구하고 합의점이 이르지 못하였는데, 이는 미국과 유럽, 미국과 일본, 선진국과 제3세계, 공업 국가와 농업 국가 등 각 국이 처해 있는 다양한 입장의 차이 때문이었다. 이러한 협상의 교착 상황을 타결하기 위해 GATT의 사무총장이었던 둔켈은 1991년 12월 최종 협정문(둔켈 초안)을 제시하여 UR 협상의 틀을 마련하였으며, 이후 수차례의 협상을 거쳐 1994년 모로코에서 최종 협정문이 조인됨으로써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은 완전 타결되었다.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의 타결은 우리나라의 경제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공업 수출의 가능성을 열어준 반면, 쌀 시장 개방을 통해 농업 경쟁력이 급속히 약화되었으며, 서비스 시장 및 금융 시장이 개방되었다.
7. 2007년
1) FTA(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
시장통합을 목적으로 관세 및 비관세 무역장벽을 완화하거나 철폐하기 위해 양국간 또는 지역간에 체결하는 '특혜무역협정'
2) 한국FTA현황
체결된국가 : 칠레, 싱가폴, 유럽자유무역연합(EGTA)
협상중인국가 : 미국, 유럽연합, 캐나다, ASEAN, 인도, 멕시코, 일본
3) 한미FTA의 장단점
(1) 장점
우선 FTA가 체결하면 시장이 개방되고 경쟁이 치열해지기 때문에 각 산업부문의 생성을 높일 수가 있다. 아울러 FTA을 맺은 나라 간에는 무역이 활성화되고 해외자본의 투자가 확대되는 기대도 할 수 있다. 지역주의에서 소외될 경우 입게 될 반사적 피해를 미리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2) 단점
관세가 없어지기 때문에 특히 농업분야에 있어서 우리 농업이 큰 타격을 입는다. 가격 경쟁력에서 우리 농산물이 미국 농산물에 약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미국 농산물을 선택할 것이고 그러다 보면 농민들의 생존이 어렵게 된다.
(3) 2007년 4월 2일 한미 FTA체결 내용中
양국은 농산물 분야에서 우리 농업의 민감성과 미국의 시장접근 요구를 적절히 반영하여, 쌀은 양허대상에서 제외 한다.
8. 벼농사가 중요한 이유
경제적 가치로 보면 농업은 가장 효율성이 떨어지는 산업임에 틀림없다. 현재 농업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중에 차지하는 비율은 약 5%에 지나지 않는다. 또 50년대까지 80%에 달했던 농업인구 역시 9%밖에 안된다.
그러나 농업은 경제적 부가가치로만 평가해서는 안된다. 농업은 민족과 국가를 형성하고 지탱하는 '최소한의 조건'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농가인구는 겨우 1.5%이고 GDP 중 1%밖에 차지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미국 연방정부는 농업관련 예산 2백20억달러를 추가로 조성해 농가 소득의 40%를 '직접지불제'로 지원해줬다. 유럽연합(EU) 역시 농산물 가격 지지, 농가 소득지원을 통해 농가를 보호하고 있다. EU의 전체 예산 가운데 92%가 농업에 투입되고 있다.
그렇다면 선진국들은 왜 농업을 지키려 하는가. 그것은 농업의 '비(非)교역적 기능' 때문이다. 즉 농업은 농산물을 사고 팔아 경제적 부가가치를 얻는 것 외에 국토환경과 지역사회를 지탱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농업의 중요성은 자연·환경·생태계를 보호한다는 점이다. 그 첫번째는 홍수조절 기능이다. 우리나라 전체 논의 면적은 1백10만정보로 30㎝ 높이의 논두렁에 27㎝까지 물이 찬다고 쳤을 때 소양강댐의 7배, 우리나라 6대댐의 1.7배에 달하는 저수량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논을 모두 없앤다면 6~8월 강수기에 홍수사태가 더욱 잦아질 것이다. 중국의 양쯔(揚子)강이 범람한 것은 최근 수년래의 일인데, 덩샤오핑(鄧小平)의 개혁정책으로 6,000여㎞ 양쯔강변의 다락논들을 모두 매축, 공장용지·도시용 등으로 전환한 결과 이와 같은 홍수사태가 일어난 것이다.
둘째, 벼들은 강력한 수질정화 능력을 갖고 있다. 빗물이 땅으로 스며들어 지하수가 되기 전에 빗물 속의 질산질 등을 흡수하여 수질오염을 막는 것이다. 질소 화합물은 인체에는 유해하지만 벼에게는 영양분이다. 이렇게 해서 해마다 지하수로 편입되는 빗물의 양은 연간 수도 사용량의 17배에 이른다.
셋째, 벼는 단위 면적당 가장 많은 산소를 공급하는 식물로 밝혀졌다. 또 4계절의 문화풍속과 농악·두레 등 우리 전통문화를 향유하게 하고 보존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해 결코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를 지녔다.
한마디로 벼농사는 국토환경을 정화하고 유지·발전시키는 '환경정원사'이며 전통문화를 보존케 하는 '우리문화 지킴이'이고 지역사회를 균등발전 시키는 '활력소'이다.
참고문헌
공준원 저, 우리 쌀 오천년, 우인북스 2014
백명식 저, 위대한 쌀과 밥, 씽크스마트 2011
최해춘 저, 쌀을 알자, 신구문화사 1997
이춘녕 저, 쌀과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991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7.01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72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