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15해방직후 소련(소비에트연방, 러시아) 정보활동, 8 15해방직후 소련(소비에트연방, 러시아) 점령정책, 8 15해방직후 소련(소비에트연방, 러시아) 초기점령작전, 8 15해방직후 소련(러시아) 정치적 개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8 15해방직후 소련(소비에트연방, 러시아) 정보활동, 8 15해방직후 소련(소비에트연방, 러시아) 점령정책, 8 15해방직후 소련(소비에트연방, 러시아) 초기점령작전, 8 15해방직후 소련(러시아) 정치적 개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8 15해방직후 소련(소비에트연방, 러시아)의 정보활동

Ⅲ. 8 15해방직후 소련(소비에트연방, 러시아)의 점령정책

Ⅳ. 8 15해방직후 소련(소비에트연방, 러시아)의 초기점령작전
1. 전시 연합국회담에서 소련이 한반도에 대해 보인 태도
2. 소련의 북한진공과 한반도의 분단
1) 미국의 결정과 소련의 입장
2) 미국의 해명
3. 소련군의 진주와 초기 점령작전
1) 소련군의 진주와 점령국의 수뇌부
2) 소련 점령군의 초기의 실수들
3) 토착 한인지도자들과 소련의 점령지역 통치유형
4) 순수형 연립단계

Ⅴ. 8 15해방직후 소련(소비에트연방, 러시아)의 정치적 개입
1. 두 공산당에 대한 견해
2. 재건파 지지와 장안파 문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의 일원인 로마넨코 소장등도 직접 박헌영과 면담하여 그를 살필 기화를 가졌다.
소련군 총정치국장 I.V.쉬키도 스티코프와 동일한 견해를 갖고 있었다. 결국 소련지도부가 과거 투쟁경력, 혁명 노선의 일치, 조직력의 우위 등 여러 면에서 앞선 박헌영 그룹을 지지한 것은 당연했으며 적어도 다른 대안을 갖고 있던 것은 아니었다.
그런데 스티코프가 내린 정치적 판단의 핵심 가운데 하나는 조선공산당 중앙위원회 소재지를 서울에 남겨 두자는 것이었다. 소련입장에서 공산주의 운동의 중심은 당연히 자국 군대가 주둔한 북쪽에 있어야 했을지 모른다. 그러나 공산당 중앙은 소련의 개입 없이 한반도 중심지 서울에 설치되어있었고 소련측은 이러한 상황을 인정할 수 밖 에 없었다.
이와 같은 소련측 입장을 살펴보면 무엇보다 먼저 조선공산주의자들의 자발적 조직구도에 대해 존중을 표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당시 소련은 한반도 분할보다는 통합지역의 당위성에 초점을 두고자 했다.
그럼에도 이후 북한 지역이 점차공산주의 활동공간의 중심으로 전환되어 갔다. 소련측의 서울 중앙 인정은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한 것이었지 고착된 인식은 아니었다. 결과적으로 공산주의 운동의 중심이동은 공찬측이 의도적으로 그와 가은 여건 조성에 나선 것이기보다 미국=반공주의, 소련=공산주의라는 환경적 요인이 훨씬 더 크게 작용했다.
한편 이영그룹에 대한 단죄는 북측 공산주의자들에게 맡겨졌다. 1945년 10월 13일에 열린 서북5도 당책임자 및 당연설자대회에서는 이영일파를 맹렬히 비판한 뒤 대회결정서를 통해 이영 최익한 정백 일파는 그 강령전술에 있어 좌경적 토로츠키적 오류일 뿐 아니라 조직문제에 있어 계급진영을 분열시키는 당규를 파괴하는 분파라고 규정 하여 일단 이 분파의 처리를 매듭지었다.
며칠 후 스티코프도 박헌영 그룹에 대한 지지를 확인한 다음 장안판 문제에 관해 서울에서의 파벌투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이영 최익한 정백 그룹을 북조선 공산당 조직위원회의 처리로 넘기자고 모스크바지도부에 사후적으로 요청했다. 재건파 조공이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내린 특단의 조치였을 것이다.
평양에서 정체성을 부인당하고 돌아온 이영 그룹은 좌익모험주의 노선을 버리긴 했으나. 박헌영의 조공 중앙에 계속해서 파벌주의자라는 낙인을 벗지 못했다.
공산주의운동의 주도권에서 멀어지고 조직역량이 현저히 약화되면서 장안파는 재건파에 흡수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영, 최익한 등 장안파 지도자들은 1946년 남로당 합당시에는 조공과 소련측의 방침을 거부하고 사회노동당 결성에 가감함으로써 독자적인 노선을 걷기도 했다.
박헌영의 조공에 대한 소련측의지지는 단순한 지지를 넘어 조공의 남한 혁명의 주체로 인정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후일 로마넨코 소장이 해방 직후 가장 영향력있는 공산주의자 그룹으로 김일성의 빨치산 그룹에 이어 조선 남부와 산업도시들에서 사업을 합 박헌영 그룹을 든 것도 조공에 대한 절대적인지지 표시였다. 소련측으로서는 조공과 북조선공산당 사이에 눈에 보이는 차등을 두기 어려웠고 이 두 조직을 거의 대등한 역량으로 간주했다고 말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강원식(1992), 해방직후 소련의 한반도 정책구상,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기광서(2003), 해방 직후 조선공산당에 대한 소련의 입장, 한국역사연구회
- 남원진(2011), 해방기 소련에 대한 허구, 사실 그리고 역사화, 한국현대문학회
- 양현수(2008), 해방직후 북한지역 소련군정의 성격분석, 자유민주연구학회
- 이재훈(2005), 해방 직후 북한 민족주의세력에 대한 소련의 인식과 정책, 한국역사연구회
- 이대근(1993), 해방 직후 소련의 대북한정책 연구, 대륙연구소

키워드

8 15,   해방,   광복,   소련,   러시아,   소련 러시아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7.0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72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