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어휘의 특징과 어휘 분류 (어휘 능력과 어휘의 특징, 한국어 어휘의 특징, 어휘의 분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 어휘의 특징과 어휘 분류 (어휘 능력과 어휘의 특징, 한국어 어휘의 특징, 어휘의 분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어 어휘의 특징과 어휘 분류


1. 어휘 능력과 어휘의 특징

2. 한국어 어휘의 특징
 2. 1. 다의어의 발달
 2. 2. 유의어(類義語)의 발달
 2. 3.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의 발달
 2. 4. 높임 표현 발달
 2. 5. 호칭어, 친족어 발달
 2. 6. 어감의 분화
 2. 7. 개념어로서 한자어 발달
 2. 8. 두음 법칙
 2. 9. 우리말 어휘의 음절 수

3. 어휘의 분류
 3. 1. 폐쇄집합과 개방집합
 3. 2.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3. 3. 표준어와 방언
 3. 4. 금기어와 완곡어
 3. 5. 은어와 비속어
 3. 6. 전문어
 3. 7. 관용적 표현
 3. 8. 새말

[참고 문헌]

본문내용

지게 되면 즉시 변경되는 특성이 있다. 즉, 어떤 집단의 은어라고 알려지는 순간 이미 은어로서의 가치가 없다.
한편, 일반적인 표현에 비해 비속하고 천박한 어감을 주는 언어들을 비속어(卑俗語) 또는 비어(卑語)라고 한다. 고등학교 문법(2010:130)에 따르면 비속어는 비밀 유지의 기능이 없기 때문에 은어와는 구분된다. 비속어는 장난기 어린 표현, 신기한 표현, 반항적인 표현, 구체성을 강하게 드러내는 사실적인 표현을 하고 싶을 때에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비속어는 창의적인 특성을 드러내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표현은 친한 친구 사이에서만 사용하는 것이지, 점잖은 장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3. 6. 전문어
전문어(專門語)는 전문 분야의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도구처럼 사용하는 어휘이다. 전문어는 일반 사회에서 별로 쓰지 않는 전문 개념을 표현하기 위한 말이므로, 의미가 정밀해서 다의성이 적으며, 그에 대응하는 일반 어휘가 없는 경우가 많다. 전문어는 해당 전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만 알고 일반인은 잘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은어와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의사와 같은 전문직 종사자들이 쓰는 전문어는 그들의 권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3. 7. 관용적 표현
‘발이 넓다’, ‘손이 크다’ 등과 같이 둘 이상의 단어들이 결합하여 특별한 의미로 사용하는 것들이 있다. 이를 관용어라고 한다. 이 관용어와 비슷한 것으로 속담이 있다. 속담은 우리의 전통적 생활 문화가 농축된 삶의 지혜가 담겨 있으며, 완결된 문장의 형태로 표현된다. 속담은 대개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상황에서 삶의 교훈을 전달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어서 특별한 표현 효과를 발휘한다. 이런 관용어나 속담은 비록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서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 의미가 특별하게 바뀌어 사용되기 때문에 하나의 단어처럼 취급될 수 있다.
옛이야기에서 유래한, 한자로 이루어진 말을 고사성어(故事成語)라고 한다. 또한 한자 네 자로 이루어진 성어로 교훈이나 유래를 담고 있는 말을 사자성어(四字成語)라고 한다. 그런데 사자성어는 네 자로 이루어져 있지만 고사성어 중에는 ‘계륵(鷄肋)’이나 ‘지음(知音)’처럼 네 자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도 있다. 그래서 국어 어휘 능력 평가에서는 이 둘을 ‘한자성어(漢字成語)’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자성어란 글자 수와 상관없으며, 반드시 옛이야기에서 유래할 필요는 없다. 다만, 그 의미가 특별하게 바뀌어 사용되고, 하나의 단어로 취급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관용어와 비슷한 것으로 합성어가 있다. 관용어는 두 단어 이상으로 된 ‘구(句)’이므로 띄어 쓴다. 이에 비해 합성어는 두 단어 이상이 결합해서 한 단어가 된 것으로 붙여 쓴다. 합성어 중에서 융합 합성어의 경우 두 단어(어근)가 결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나타내므로 관용어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합성어는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쓸 뿐이다.
3. 8. 새말
인간 사회가 발달됨에 따라 새로운 생각, 개념, 사물 등이 등장하고 이를 표현할 새로운 말들이 필요하다. 이렇게 언어 사회에 새로이 등장하는 어휘를 새말이라고 한다. 고등학교 문법(2010:137)에 따르면 새말을 인위적으로 만드는 일은 매우 어렵다고 한다. 그 이유는 완전히 새로운 소리를 사용하여 새말을 만들면 그 뜻을 모를 수 있기 때문에 언중들이 수용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새말에는 외국말을 그대로 빌려서 쓰는 차용어(借用語)가 많다.
한편, 새말은 언어 정책 차원에서 만들어지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순화어이다. 순화어(醇化語)란 불순한 요소를 없애고 깨끗하고 바르게 다듬은 말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다시 말해 지나치게 어려운 말이나 비규범적인 말, 외래어 따위를 알기 쉽고 규범적인 상태로 또는 고유어로 순화한 말을 이른다. 해방 이후 일본어의 잔재를 없애기 위해 정책적으로 수행하기 시작해서 지금도 수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 중에서 전문어, 은어, 비속어, 방언 등은 어휘 능력 평가 대상에서 원칙적으로 제외한다. 전문어(專門語)는 전문 분야의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도구처럼 사용하는 어휘이므로 범위를 선정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어휘 능력이 모든 전문 분야의 어휘를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은어(隱語)는 본질적으로 다른 집단으로부터 자신들을 방어하려는 목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기에 일반 사회에 알려지게 되면 즉시 변경되는 특성이 있다. 즉, 어떤 집단의 은어라고 알려지는 순간 이미 은어로서의 가치가 없기에 역시 그 범위를 설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비속어(卑俗語)는 비어(卑語)라고도 하는데, 일반적인 표현에 비해 비속하고 천박한 어감을 준다. 그러므로 비속어는 한국어 어휘 능력 시험 대상으로 적절하지 않다.
[참고 문헌]
고영근구본관(2012), “우리말의 문법론”, 집문당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김광해(1997), “국어어휘론의 지평”,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김광해(2003), 국어교육용 어휘와 한국어교육용 어휘, 국어교육 111
김광해(2003),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박이정
리의도(1999), “이야기 한글 맞춤법”, 석필
문화관광부(2012), “국어어문규정집”, 대한교과서
박형우(2012), “국어 어휘 교육 개선 방안 연구”,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1997),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2010), “문법”, 두산동아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2010), “고등학교 문법 교사용 지도서”, 두산동아
손영애(2000), “국어과 어휘 지도의 내용 및 방법”, 국어교육 103, 한국어교육학회
신기철신용철(1989), “새우리말 큰사전”, 삼성이데아
연규동(1998), “통일시대의 한글 맞춤법”, 박이정
이성영(2010), “새국어생활” 제20권 제1호 봄, ‘국어 생활로 측정하는 국어 능력’, 국립국어원
이충우(2006), “좋은 국어 어휘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교학사
허웅(1984), “국어학”, 샘문화사
허웅(2000),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 가격5,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07.27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05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