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거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2





Ⅱ. 선거 자원봉사활동의 현황과 개선방안 2




1. 선거 자원봉사활동의 의의와 현황 2
1) 선거 자원봉사활동의 의의
2) 선거 자원봉사활동의 현황

2. 우리나라 선거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 3
1) 단기 아르바이트를 가장한 선거 자원봉사
2) 인기몰이에 치중한 선거 자원봉사
3) 투표율 향상을 위한 특정 후보 비난 홍보

3. 우리나라 선거 자원봉사활동의 개선방안 5
1) 선거 자원봉사활동의 역할 명확화
2) 선거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지원체계 활성화
3) 선진국형 선거 자원봉사형태의 도입

Ⅲ. 결론 7





□ 참고문헌 7

본문내용

직 투표하지 않은 유권자를 30분 단위로 정당에 알려준다. 이 때 ‘제2의 자원봉사자’가 그 유권자에게 전화를 걸어 투표를 하라도 권한다. 우리 정당을 택하라고 강요하지 않지만, 그가 투표한다면 우리 정당을 찍을 가능성이 크다는 걸 알고 있기 때문이죠. 이 때 아이를 돌봐야 한다거나, 투표장으로 갈 차량이 없다거나, 잔디를 깎아야 한다거나 유권자는 투표할 수 없는 이유를 털어놓는다. 이러한 경우 ‘제3의 자원봉사자’가 나선다. 유권자가 투표장에 갈 수 있도록 잠시 그의 일을 대신해주는 것이다. 보모로 아이를 돌봐주고, 운전사로 차량을 제공하고, 집안일을 대신 한다. 그러면 유권자는 자원봉사자에게 잠시 일을 맡기고 편하게 투표장으로 향하게 된다.
 이에 대해 선거관리위원회는 투표율을 높여주는 일이라 보고 적극 지원을 해준다. 우리 정당의 표를 모으려 투표를 독려하는 것이지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북미지역 최초의 동성애자 지방자치단체장이 탄생했다. 동성애자에 대한 반감이 있음에도 이변으로 여겨진 것이다. 언론에서는 유권자가 투표장에 나오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은 새로운 선거운동 방식이 당락을 결정했다는 분석 기사를 내놓았다.
반드시 선진국의 선거 자원봉사형태를 우리나라에 도입할 필요는 없다. 캐나다와 달리 우리나라는 유권자의 정치성향을 드러내는 데에 법적으로 한계를 두고 있기도 한다. 그러므로 선진 자원봉사형태에서 한국식으로 흡수·개발 할 수 있는 선거 자원봉사활동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자원봉사자들의 창의적이면서도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Ⅲ. 결론
‘자원봉사'라는 이름이 성숙한 사회로 가는 지름길인 것은 누구나 다 알고 봉사가 아름다운 것임을 느끼고 있다. 선거 자원봉사활동도 마찬가지다. 자원봉사자 활동이 바람직한 선거 분위기로 쇄신할 수 있다. 이는 동시에 잘못된 선거 문화로 바꿀 수도 있는 큰 몫을 갖고 있다. 그만큼 자원봉사자가 선거 활동에 지대한 역할을 맡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선거 자원봉사활동은 선거 정치문화에 대한 책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민주화 역사가 급진적으로 발전했듯이 그 흐름에 따라 투표의 역사는 맥을 같이 하고 있다. 특히 지방자치제도의 역사는 더 짧다. 그렇기에 선거와 관련된 자원봉사활동이 완전한 형태로 있기에는 역부족인 것 당연하다. 현재 선거 자원봉사활동에서 드러나는 문제는 민주사회로의 발전 과정상의 문제인 것이다. 그러므로 선거 자원봉사활동은 민주주의 발전과 함께 발전되어갈 것이다. 선거 자원봉사활동에 대해 부정적인 면으로만 단정 지어 판단하기에는 시기상조다. 선거 자원봉사제도를 운영하는 데 문제가 있다면 지금이라도 그것을 보완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국민들 또한 자원봉사제도가 성숙한 시민의식을 필요로 하는 만큼 이에 대한 좀 더 많은 이해와 참여가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선거 자원봉사활동은 우리나라 문화 형태에 맞게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선거 자원봉사활동은 자리를 잡고 나아가는 중이다. 지금의 선거 자원봉사활동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이 개선되려면 선거문화 역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선거 문화의 중심에는 선거 자원봉사자들의 관심과 노력이다. 투표는 민주주의 꽃 중의 꽃이라 할 수 있다. 그 가운데에는 유권자인 선거 자원봉사자들이 있다. 선거에 대한 자원봉사자들의 공익성과 자발성 그리고 책임성을 다해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흥순·이원우, 2008, 「일등당선을 위한 유권자 마음잡기, 선거전술전략」
한국자원봉사포럼, 2008, 「선거 자원봉사활동의 현실과 방향」
, 2008, 「5·31 지방선거에서 자원봉사의 역할과 한계」
허석진, 1995, 「시험대에 오른 선거자원봉사제도」
법령정보
공직선거법(2010)
자원봉사활동기본법(2008)
신문검색
국민일보, “[6·2 지방선거-대학생 3인이 본 선거] 자원봉사자로 활동한 휴학생… 공약 알리기 뒷전, 율동할 여성 뽑기에 더 열심”, (2010.06.01).
노컷뉴스, “6·2 지방선거캠프 자원봉사자 '돈벌이 수단'”, (2010.05.31).
데일리안, “자원봉사가 지방선거를 바꾼다”, (2010.04.07).
서울신문, “[지방선거 Q&A] 자원봉사자 선거운동 범위는”, (2010.05.05).
인터넷 검색
국회도서관 자료 검색, http://u-lib.nanet.go.kr/dl/SearchIndex.php
법제처 ‘찾기 쉬운 생활법령정보시스템’, http://oneclick.law.go.kr/CSP/Main.laf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8.22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44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