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 매체언어교육의 교육과정 모델 _ 교육 내용으로서의 매체언어, 매체언어교육과정의 체제, 매체언어교육과정의 중핵적 변인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교육] 매체언어교육의 교육과정 모델 _ 교육 내용으로서의 매체언어, 매체언어교육과정의 체제, 매체언어교육과정의 중핵적 변인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육 내용으로서의 매체언어
1) 매체언어의 특성과 교육적 의미
2) 매체언어의 실현과 교육적 의미
ㄱ. 음성․문자 매체언어
ㄴ. 시청각․영상 매체언어
ㄷ. 디지털․통신 매체언어

2. 매체언어교육과정의 체제
1) 시스템의 측면
2) 교육주체(학습자)의 측면
3) 교과 특성의 측면
4) 가치 및 사회체제와의 관련성 측면

3. 매체언어교육과정의 중핵적 변인들
1) 망(Network)
2) 공동체(Community)
3) 컨텐츠(Contents)
4) 사용자(User)
5) 교육내용의 생산과 소통
ㄱ. 교실 장면(A)
ㄴ. 학교 장면(B)
ㄷ. 사회 장면(C)

본문내용

었던 음성적, 문자적 언어 기호를 뺀 나머지 부분만으로도 컨텐츠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교육 환경으로서의 매체가 점차 객체 지향적(客體指向的)인 성격을 지니게 됨에 따라 컨텐츠의 성격도 변화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독자가 만드는 소설’, 혹은 ‘독자가 만드는 영화’ 같은 형식의 매체언어교육 활동이 있다고 하면, 셜록 홈즈를 읽는 학습자는 홈즈 탐정의 선택이 필요할 때마다 그 역할을 자신이 맡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읽을 때마다 다른 작품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를 위한 매체 여건은 오늘날에 와서야 비로소 충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인터넷이나 멀티미디어 백과사전, 전자 도서 등은 교사의 개별적 개입 없이도 학습자 스스로 필요한 정보를 얻고 조직하면서 학습의 대상 자체를 바꿀 수 있게 하였다. 여기서 컨텐츠는 소설이며 영화이고, 학습자가 만들어 낸 작품이기도 하고, 인터넷이나 멀티미디어 백과사전, 전자 도서 등에 실린 원천 자료이기도 하고, 가치 있는 것으로 여겨진 교육 활동 그 자체이기도 한데, 그 때문에 원시 자료와 같은 정보로도, 일정한 의미와 태도를 실현시키고 있는 담론으로도, 그리고 이것들의 포괄적인 틀이 문화양식으로도 여겨질 수 있게 된 것이다.
4) 사용자(User)
사용자에 관한 논의들은 네트워크와 커뮤니티, 컨텐츠의 진술을 통해 사실상 대부분 이루어졌다.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고 매체언어 교육과정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수용자로서 존재한다. 그리고 이 수용자들은 매체 환경 속에서 불특정적, 가변적, 다층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런데 전통적인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들이 개별자를 전제하고 있었다. 매체언어교육과정을 모색할 때에는 이 둘 간의 중요한 차이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매체언어교육에서 학습자들은 매체언어의 공동적 체험자들로서 은폐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의 실제가 밝혀지지 않는 이상 매체언어교육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사용자들은 고립되고 분산된 존재들이 아니다. 사용자들은 매체언어 수용자로서 다른 수용자들과 교실 밖의 특정한 커뮤니티들을 공유하고 있다. 그런데 전통적인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들이 교실 안에서만 실재하는 존재로서만 그려지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매체언어의 선택이나 작용, 효과 등에 대한 관심은 축소될 수밖에 없었다. 매체언어교육은 매체언어의 생성과 소통, 수용의 전과정을 다루어야 하므로, 기꺼이 교실 밖의 커뮤니티들을 교육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점차 개인별 매체 수단들을 소유하게 된 사용자들이 늘었다. 그리고 그에 따라 개별적 매체 향유를 즐기는 사용자들도 증가하게 되었다. 이것은 의사소통수단으로만 여겨지던 매체언어가 개인화된 정보소비수단으로 바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이에 대한 가치 판단과 대안 마련은 향후 매체언어교육의 방향 정립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할 것이다.
5) 교육내용의 생산과 소통
지금까지 살펴본 네트워크, 커뮤니티, 컨텐츠, 유저는 매체언어교육과정의 중핵적인 변인으로서 매체언어의 실현과 작용에 계층적, 위계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간단히 나타내면 다음 표와 같다.
가치 및 사회체제, 제도, 이데올로기
문화양식
담론
정보
사용자 요구
커뮤니티
네트워크
(A)
(B)
(C)
이 표는 매체언어의 실현 수준과 교육과정 변인의 작용을 보여주고 있다. 매체언어의 실현 수준에서 보면 단일 정보로부터 담론, 그리고 문화양식으로 확장되고 있고, 교육과정 변인의 작용에서 보면, 사용자와 커뮤니티, 네트워크로 확장되고 있다. 매체언어 교육과정의 변인 가운데 하나인 컨텐츠는 매체언어의 실현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매체언어의 실현 수준은 교육과정 변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과정을 교수-학습이 일어나는 장면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ㄱ. 교실 장면(A)
면대면의 교수-학습 상황, 혹은 네트워크를 활용한 가상 교육에서 개인은 개별적으로 활동에 임한다. 사용자 요구에 의한 정보의 수용과 가공, 그리고 담론의 생산이 주된 활동 내용이다.
여기서 단일 정보들은 사용자(학습자) 요구에 따라 가공된 형태로, 혹은 원시자료 형태로 획득된다.(매체에 의한, 매체에 대한) 하지만 이를 원천으로 사용자들이 생산해 내게 되는 매체언어의 수준은 담론의 형식을 취하게 될 것이다.(매체를 통한)
ㄴ. 학교 장면(B)
교실, 단위 학교, 혹은 지역 교육공동체에서 개인은 커뮤니티를 만들거나 참여하는 것을 통해 활동에 임한다. 담론의 소통과 재생산이 주된 활동 내용이다.
여기서 커뮤니티는 그들의 정체성과 활동 성격에 따라 특정한 문화양식은 수용한다. 혹은 특정한 문화양식은 커뮤니티의 성격과 활동 분야 및 내용을 결정한다.(매체에 대한) 이에 대해 커뮤니티는 특정한 담론을 소통시키고 재생산한다.(매체에 의한, 매체를 통한)
ㄷ. 사회 장면(C)
지역 사회나 국가, 전지구적으로 확장되어 있는 인터넷 등의 가상 공간에서 개인은 네트워크를 구축하거나 특정 네트워크에 참여함으로써 활동에 임한다. 문화양식을 유지하고 교류하는 것이 주된 활동 내용이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가치 및 사회체제, 제도, 이데올로기 등에 의해 특정한 지역성, 문화성, 활동성, 결합의 강도 및 규모, 중심 매체 선택 등의 차이를 보인다.(매체를 통한) 네트워크는 문화양식을 규정짓기는 하지만 직접적으로 정보나 담론을 생산하지는 않는다.(매체에 의한, 매체에 대한)
말하자면, 교실 장면에서는 매체언어교육의 구체적인 활동들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며, 학교 장면에서는 이 활동의 실질적인 기반인 커뮤니티에의 참여가 권장, 안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학습자의 교실 밖 활동이 어느 정도 자주적으로 이루어지느냐가 중요하다. 이에 비하면, 사회 장면은 학습자에게는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어떤 문화양식 속에서 커뮤니티 참여와 개별적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지 반성적, 비판적으로 성찰할 때 그 자신이 반드시 파악할 수 있도록 노출되어야 하는 활동 공간이다. 따라서 사회 장면은 비록 실천의 직접적인 계기들을 얻기 힘들다고 할지라도 매체언어교육과정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9.2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8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