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의 유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쌀의 유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쌀의유래

2. 쌀의어원

3. 농경시작과 정착생활,사회구조
- 농경의 시작
- 농 경 생 활
- 농기구의 종류
- 토기의 종류

4. 철의사용과 우경
- 철제 농기구의 사용
- 철제농기구

5. 이앙법 벼농사가 환경에 미치는 요인
- 이앙법을 도입시기
- 이앙법의 장/단점
- 벼농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6. 일제 쌀 수탈 정책
- 토지 조사 사업 실시(무단통치기1912~1918년)
- 산미증식계획 (문화통치기 1920 ~ 1934)
- 공출(황국신민화기 1937 ~ 1945)

7. 한미 FTA
- 정부입장
- 농민입장

본문내용

주식 회사와 일본인 지주에게 넘겨줌 → 대다수 한국 농민 몰락
2. 산미증식계획 (문화통치기 1920 ~ 1934) http://www.i815.or.kr/media_data/chong_new/e0017/e0017_16.htm google백과사전참고,
산미증식 : 쌀을 더 많이 생산하라는 말.
- 목적 : 일본 본토에서의 식량 부족 문제를 한반도에서 해결
- 내용 : 한반도에서 품종 개량, 수리 시설 확충 등을 통해 쌀을 증산
- 진행 : 증산량보다 훨씬 많은 양의 쌀을 일본으로 약탈 → 한국의 식량 사정 악화
- 결과 : 많은 농민들이 몰락하여 화전민이 되거나 만주 지역등으로 이주
일본에서는 식량 부족의 사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미 증식 계획을 수립하고 쌀 수의 쌀을 수탈해갔다. 한국 농민들은 수탈로 말미암아 빈곤과 기아 속에서 허덕이게 되었다.
산미증식계획의 결과 조선의 농업은 쌀 농사를 위주로 하는 단작농업의 성격이 더욱 분명하게 되어 갔다. 1910년대 남부지방 농가 수입 구성 중 쌀 농사 수입은 37.5%로서 이미 비중이 컸던 것인데, 1930년대 중반에는 70.3%에 달하게 되었다. 그 결과 농가의 경제는 자연적·경제적 변동에 극히 취약하게 되었다. 이것은 쌀이라고 하는 한 작물에 과중하게 의지하게 되기 때문에 쌀농사가 흉작이거나 쌀값이 폭락하면 이를 중간에서 흡수할 여유가 없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1930년의 세계적 공황으로 인한 쌀값 폭락으로 수많은 농가가 빚더미에 올라서서 토지를 싼값에 팔아야 했고 많은 수리조합이 불량화한 것은 한 예에 불과하다. 결국 일제는 산미증식계획을 통하여 제1차대전 기간 동안 축적한 잉여 자본을 조선에 투자하여 높은 이윤을 올리고, 일본인 지주의 토지 소유를 확장시키고, 동시에 식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이다. 또 일제의 무역수지의 적자 확대를 완화시키고 저미가·저임금 구조를 밑받침해주어 일본 자본주의의 산업구조 고도화에 기여하였다.
쌀 생산 수출 소비량
(단위: 천석(千石)
쌀 생산량
일본으로의 이출
실 수
지 수
실 수
지 수
1912~
1915년
12,033
100
1,056
100
1917~
1921년
14,101
115
2,096
208
1922~
1926년
14,501
118
4,342
411
1927~
1931년
15,798
128
660,7
626
3. 공출(황국신민화기 1937 ~ 1945)
중일전쟁의 도발로 본격적인 전시체제에 들어간 일제는 식량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전시식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식량증산정책과 식량통제를 실시하였다. 1939년 조선미곡통제령, 조선미곡배급조정령을 공포하여 조선 쌀의 통제를 제도화하고, 공출 및 배급 제도를 실시하였다. 1940년부터 식량증산을 위하여 '신조선미곡증식계획'을 실시하는 한편 식량배급조합을 설치하였으며, 임시미곡배급규칙을 실시하여 각 농가로부터 종자와 자가소비용을 제외한 쌀을 강제 수매하는 등 식량의 국가관리를 단행하였다.
공출에 대한 농민들의 반발이 커지자 총독부는 그 해의 공출량을 미리 할당하는 사전할당제, 할당량을 부락 연대책임하에 납부하게 하는 부락책임공출제 등을 시행하여 공출을 강행하였으며, 1944년에는 농업생산책임제를 실시하여 부락단위로 책임수량이 할당되었다. 1940∼1945년까지 전생산량의 40∼60%가 강제 공출되었고, 농민들은 하루 쌀 1홉과 잡곡 1∼1.3홉으로 연명해야 했다. 그 결과 농민은 최소한의 식량마저 빼앗겨 농촌은 더욱 궁핍해졌으며, 일제의 비호를 받는 극소수의 대지주를 제외한 대다수 농민들은 완전히 몰락하였다.
7. 한미 FTA와 농촌의 현실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국가간 또는 지역간 교역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는 관세와 관세 이외의 장애요인을 줄여나가거나 없애는 무역협정을 의미한다. 그동안 FTA는 대부분 프랑스·독일·이탈리아·영국 등 서구유럽의 유럽연합(EU) 및 미국·캐나다·멕시코의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등과 같이 인접국가나 일정한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지역무역협정(Regional Trade Agreement)으로 불려졌다
우선 FTA가 체결하면 시장이 개방되고 한국이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는 상품을 수출하고 필요로 하는 식량과 자원을 수입하는 것을 쉽게 하여 경쟁이 치열해지기 때문에 각 산업부문, 한국경제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FTA을 맺은 나라 간에는 무역이 활성화되고 해외자본의 투자가 확대되는 기대도 할수 있다. 일단 시장이 개방되면 필연적으로 개방에 의해 손해를 보는 산업 또는 집단 과 이익을 보는 산업 또는 집단 이 생겨나게 된다. 미국은 한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토지와 자본이 풍부하고 일찍이 세계화된 나라이기 때문에 미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토지 또는 자본을 많이 사용하는 품목 그리고 세계화 된 품목 즉 전세계적인 유통경로가 잘 확립되어 있는 품목 일부 축산물 낙농제품 곡물 과실 등이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되지만 무조건 값이 싸기 때문에 수입 농산물이 국내 시장에서 잘 팔릴 것이라고 생각할 수는 없다 국산 농산물의 우수한 점을 부각시키고 원산지 표시를 철저히 한다면 국산 농산물이 경쟁력은 상당히 높아진다. 그러나 관세가 없어지기 때문에 특히 농업분야에 있어서 우리 농민들의 생활에 큰 타격을 입는다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개방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노력으로 생산부문에서의 규모화는 자연적인 시대적 흐름에 맡기되 유통.가공.마케팅 부문에서의 규모화 되고 전문화된 연합체가 육성되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농민은 고품질 안전한 농산물의 생산에 전념하고 규모화된 연합체가 마케팅.유통 부문을 전적으로 담당하여 브랜드를 육성토록 해야한다.
정부 오마이뉴스 http://blog.ohmynews.com/savenature/
농민6) 통일뉴스기사


전체적인 경제 성장
반대


경쟁력(품질, 안전성, 차별성)제고
농산물가격 폭락


쌀 직불금제도 정부가 쌀 재배 농가의 소득을 일정 수준으로 보장하기 위해 지급하는 보조금으로, 쌀 산지가격이 목표가격보다 낮으면 그 차이의 85%를 현금으로 보전해주는 제도
생활위협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10.11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09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