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력 평가의 실제- 어휘력 평가의 목표 체계,어휘력의 내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휘력 평가의 실제- 어휘력 평가의 목표 체계,어휘력의 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어휘력 평가의 목표 체계
(1) 어휘력의 내용
(2) 평가 대상자가 주어진 단어를 알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단서는 무엇인가?
(3) 어휘력에 대한 양적 관점은
(4) 주어진 단어의 의미를 말할 수 있다.
(5) 주어진 단어의 의미를 말할 수 있는가?
(6) 어휘 능력이란
(7) 단어의 의미
(8) 숙어적 표현
(9) 어휘력 평가의 목표 체계
(10)적합한 단어의 선택

Ⅱ. 문항 개발과 평가지 구성
1. 문항 형식에 대한 개괄적 검토
2. 평가 목표별 문항의 유형
3. 평가지의 구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항이 각각 주어진 단어의 다른 속성을 반영하고 있다면 그에 따라 문항의 수나 배점도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력을 묻는 문항에 있어서도, 빠진 단어를 채워 넣는 문항과 해당 단어를 이용해 문장을 짓는 문항이 경우에 따라 그 비중을 달리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어휘력 평가의 입력 단계 즉 평가 대상 어휘를 논의하는 작업에서 검토되어야 할 성질이긴 하지만, 주어지는 단어의 등급도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문제들은 앞으로 어휘력 평가를 위한 표준 평가지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한 논의를 거듭하면서 더욱 면밀히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여기서는 이런 문제들을 제기하면서, 일단 각 문항에 대한 배점은 균일하게 하되, 문항 수를 항목에 따라 조절하는 방식을 택하고자 한다. 우선 (9)의 ㄱ) 중에서 ‘화용적 의미’에 관한 항목은, 해당 어휘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두 항목에 비해 문항수를 적게 할 수밖에 없다. 또 (9) ㄴ)의 ‘하의 관계’에 의한 문항은 변별도가 있게 출제하기가 매우 어려워서 ‘유의어’나 ‘반의어’에 관한 문항의 수만큼 출제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주로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지에 출제하도록 하고 중학생 이상의 고학년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가능한 출제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본다. (9) ㄷ)에서 짧은 문장을 직접 짓게 하는 문항은 채점상의 어려움을 고려해서 엄선된 소수의 문항만을 출제하거나 선택형으로 전환해서 출제하는 것이 좋겠다. 문항의 형식에 있어서도, 서답형보다는 단답형이나 선택형 문항을 더 많이 출제하는 것이 채점상의 객관성을 높이는 방법이 될 것이다.
문항 유형별 배열 순서에 대한 기준도 따로 제시되기 어렵다. 기존의 국어과 평가지를 살펴보면, 대개 제시되는 지문을 중심으로 다양한 내용의 문항이 엄격한 순서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로 배열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어휘력 평가의 경우에도 반드시 일정한 배열 순서를 따를 필요는 없지만, 출제상의 편의를 기하기 위해서는 같은 유형의 문항을 한 곳에 모아 제시하는 방법이 효율적이다. 손영애(1992)의 평가지도 이런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강명자(1984), 국민학교 국어과 평가의 원리와 실제, 한국 교육 개발원.
강신항(1991), 현대 국어 어휘 사용과 양상, 태학사.
고려대 한국학연구소(1997), 한국어 능력 평가, 국학자료원.
교육부, 각급 학교 제6차 국어과 교육과정 및 해설서, 국어 교과서,
국립교육평가원(1997), 전국 고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연구.
김광해(1987), 유의어 반의어 사전, 도서출판 한샘.
김광해(1989), “이차어휘의 교육에 대하여”, 선청어문 1617, 서울대 사대 국어교육과.
김광해(1993),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김광해(1994), “국어 교육 평가의 이상과 현실”, 선청어문 22, 서울대 사대 국어교육과.
김광해(1997), “어휘력과 어휘력의 평가”, 선청어문 25, 서울대 사대 국어교육과.
김대행(1995), 국어교과학의 지평,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봉순(1992), “읽기 평가에 관한 비판적 고찰”,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김유정 외(1998),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9권1호,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김정자(1992), “쓰기 평가 방법 연구: 평가 기준의 설정과 그 적용을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김종택(1971), “이디엄(idiom) 연구”, 어문학 25, 한국어문학회.
김종택(1992), 국어 어휘론, 탑출판사.
노명완 외(1988), 국어과 교육론, 갑을출판사.
노명완(1990), “국어과 교육에서의 평가”, 국어 교육 개선 방안 연구(학술세미나). 서울대 사대국어교육과.
노명완(1992), “말하기 및 듣기의 본질과 평가의 방향”, 제3회 국어교육연구 발표대회 논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박영목이인제남미영(1991),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 교육 평가 체계 연구(Ⅱ): 국어과 평가 체제 모형 개발 및 도구 예시, 한국교육개발원.
박영목(1992), “중고등학교에서의 말하기듣기 평가”, 제3회 국어교육연구 발표대회 논문, 한국국어교육학회.
박영순(1998), 한국어 문법교육론, 박이정.
변창진 외(1996), 교육평가, 학지사.
손영애(1992), “국어 어휘지도 방법의 비교 연구: 한자 이용 여부를 중심으로”,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윤희원이성영(1990), “언어사용기능 평가의 지향과 과제”, 교육한글 3, 한글학회.
이기문(1989),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리더스다이제스트.
이대규(1990), “낱말 수업의 목표와 방법”, 국어교육 7172.
이대규(1995), 국어 교과의 논리와 교육, 교육과학사.
이문규(1996), “국어과 언어영역의 성격”, 국어교육연구 28, 국어교육연구회.
이상태(1978), 국어교육의 기본 개념, 한신문화사.
이상태(1993), 국어교육의 길잡이, 한신문화사.
이삼형(1996), “읽기 교육과정과 읽기 평가”, 국어교육연구 제3집,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소.
이성영(1995), 국어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영숙(1996), “국어과 지도 대상 어휘의 선정 원리에 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이용주(1995), 국어 교육의 반성과 실제,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충우(1994), 한국어 교육용 어휘 연구, 국학자료원.
임병빈역(1993), 영어교육평가기법, 한국문화사.
임지룡(1991), “국어의 기초어휘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23, 국어교육연구회.
임지룡(1992), 국어 의미론, 탑출판사.
임칠성 외(1997), 한국어 계량연구, 전남대 출판부.
전은주(1997), “한국어 능력 평가”, 한국어학 6, 한국어학회.
정광외(1994),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 한국어학 1, 한국어학회.
허경철 외(1995), 고등학교 국어중학교 수학 교육과정 상세화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철우이인제(1990),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 교육 평가 체제 연구(Ⅰ): 국어과 평가체제 모형 개발 및 도구 예시, 한국교육개발원.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4.10.14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2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