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으로서의 국어국문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학으로서의 국어국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미디어 교육의 두 가지 개념 및 연구 방법

Ⅱ. 경험적 실험 연구의 한계

Ⅲ. 양적 연구 방법론과 질적 연구 방법론: 인식론상의 차이점

참고 문헌

본문내용

ions)>에서 논의된 개념이다. 쿤은 위의 책에서 과학적 지식 자체가 그 자체로서 보편타당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과학자 집단에서 공유하고 있는 신념, 가치, 연구의 기술 등의 덩어리”임을 과학의 역사를 검토하는 가운데 주장했다. 이 점에서 볼 때, 양적 연구 방법론과 질적 연구 방법론은 각각의 인식론의 측면에서 서로 다른 신념, 가치, 연구의 기술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중 어떤 방법론을 채택할 것인가는 “과학성” 및 “객관성”에 대한 연구자 집단간의 근본적으로 다른 신념 체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잠시 연구의 방법(methods)과 방법론(methodology)의 구별 문제를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법론은 “과학성” 및 “객관성”에 대한 인식론적인 차이에 따라 나뉘어지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에 동원되는 방법들-예를 들어, 설문지, 인터뷰, 관찰, 통계 등-의 상위에 있는 개념이다. 다시 말해 양적 연구 방법론과 질적 연구 방법론 모두 개별적인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는 똑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는 연구자가 따르는 방법론에 따라 그 방법에 대한 인식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적/질적 방법론 모두 특정한 통계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한국 어린이의 하루 평균 TV 시청 시간이 5시간이라는 통계 자료가 있다면, 이 자료는 양적/질적 방법론 모두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양적 연구 방법론에서는 이 자료를 “일반적 사실”로서 인식할 것인 반면, 질적 연구 방법론에서는 이를 자신들이 수행할 “어린이의 TV 시청에 관한 연구”가 일단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연구임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삼는 데 그칠 수 있다. 과연 5시간의 TV 시청 시간이라는 것이 어떤 근거로 산출된 것인가, 5시간의 시청 시간 중 어린이가 집중해서 TV를 시청하는 시간은 과연 얼마나 될 것이며, 그저 TV를 틀어 놓은 상태에서 가족들이나 친구들과 대화하거나 밥을 먹는 시간은 또 얼마나 될 것인가하는 등의 컨텍스트적인 질문이 질적 연구 방법론에서는 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앞에서 살펴본 문해력 연구에 관한 세미나 자리에서의 찬반 격론은, 이 연구를 수행한 이들과 이에 대해 반론을 제기한 이들 사이의 근본적인 인식론상의 충돌을 보여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김대행, “영국의 문학교육-평가를 통한 언어와 문학의 투시”, <국어교육연구> 제4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1997
이병곤, “세계의 고3: 영국편-고교의 자율평가, 대학이 믿는다”, <중등 우리교육>, 1997년 11월
이병곤, “실패한 학교 명단 공개와 교육 권력의 중앙집중화: 개혁의 칼끝 ‘학력 제고’에 맞추다”, <초등 우리교육> 1998년 2월
이병곤, “노동당 정부 교육 정책으로 몸살 앓는 영국 초등교육”, <초등 우리교육>, 1998년 6월.
Alvarado, M., Buscombe E., & Collins, R.(1993), The Screen Education: Reader-Cinema, Television, Culture, London: Macmillan.
Buckingham, David(1990), “English and Media Studies: Making the Difference”, The English Magazine, vol. 23
Buckingham, David & Grahame, Jenny(1998), “English and Media Ten Years On Teachers Talking”, The English and Media Magazine, vol. 39.
Buckingham, David(1987), Media Education: Communication and Education Course EH 207 Unit 27,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Buckingham, David(ed.)(1990), Watching Media Learning: Making Sense of Media Education, London, New York & Philadelphia: The Falmer Press.
Denzin, Norman K. & Lincoln, Yvonna S.(eds.)(1994),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London & New Delhi: SAGE
Hopkins, David(1993), A Teacher's Guide to Classroom Research(2nd ed.), Buckingham & Philadephia: Open University Press.
Goodwyn, Andrew(1992), English Teaching and Media Education, Buckingham &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Scott, David, “Methods and data in educational research”, in David Scott & Robin Usher(eds.)(1996), Understanding Educational Research, London: Routledge.
Simons, Michael(1996)(ed.), Where We've Been: Articles from the English & Media Magazine, London: The English & Media Centre.
Usher, Robin, “A Critique of the neglected epistemological assumptions of educational research” in David Scott & Robin Usher(eds.)(1996), ibid.
Winter, Richard(1989), Learning from Experience: Principles and Practice in Action-Research, London, New York & Philadelphia: The Falmer Press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10.16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5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