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개론]- 한국 시가 문학의 계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문학개론]- 한국 시가 문학의 계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대가요

2. 향가 (鄕歌)
1) 향가의 특징
2) 형식
3) 내용
4) 작가계층
5) 향가의 소멸

3. 속요(俗謠)

4. 별곡(別曲)

5. 시조(時調)

6. 가사(歌詞)

7. 신체시(新體詩)

본문내용

정됨.
⑥ 가곡원류(1876 고종13, 박효관 안민영) - 시조 839수와 가사 17수, 여창유취 178수수록. 곡조별 분류. 본명 해동악장, 청구악장.
⑦ 화원악보(고종?, 미상)-시조 650수 수록. 곡조별로 분류함.
※ 3대 시조집 -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6. 가사(歌詞)
조선에서 시조와 함께 유행했던 문학 양식으로, 가사 문학이라고도 부른다.
1) 조선전기 가사
(1) 형성배경
고려 말 경기체가가 쇠퇴하고, 시조가 형태를 갖추어 조선 초에 이르면서 그것이 본격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창작되고 있을 무렵을 전후하여 나타난 장르이다.
시조와 더불어 주로 사대부(士大夫) 사회에서 널리 창작 되어졌다.
(2) 가사의 특징
① 고려 말에 완성된 시조는 조선 시대에 들어와 유학자들의 검소 담백한 정서 표현에 알맞아 크게 발전하였다.
② 조선 초기에는 회고가, 절의가 등이 지어졌고, 그 뒤로는 도덕가, 한정가, 강호가 등이 지어졌다.
③ 단시조로 짓던 시조를 여러 수 묶어서 한 주제를 나타내는 연시조가 나타났다.
④ 16세기에 들어와 송순, 황진이 등에 의하여 문학성이 심화되었고, 정철도 뛰어난 시조 작품을 창작하였다.
⑤ 유학자들의 작품이 관념적인 경향으로 흐른데 대하여, 기녀들의 작품은 고독과 한에 젖은 정서를 정교하고도 아름답게 표현하였다.
(3) 가사의 내용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悠悠自適)하는 심정을 읊은 서정적인 것과 임금에 대한 은 총,기행 등 서사적 성격의 특성이 보인다.
(4) 주요 작품
① 상춘곡(성종, 정극인) - 태인에 은거하면서 상춘과 안빈낙도를 읊음. 가사의 효시.
② 면앙정가(중종19년, 송순) - 면앙정 주위 산수의 아름다움과 정취를 노래함.
③ 관서별곡(명종11년, 백광홍) - 관서 지방의 아름다운 경치를 읊음.
④ 성산별곡(명종15년, 정철) - 김성원의 풍류와 성산의 풍물을 노래함.
⑤ 관동별곡(선조13년, 정철) - 관동의 산수미에 감회를 섞은 기행 가사.
⑥ 사미인곡(선조, 정철) - 충신·연모의 정을 비유적으로 읊은 연군가.
⑦ 속미인곡(선조, 정철) - 두 여인의 문답형으로 된 연군가. '사미인곡'의 속편.
⑧ 규원가(선조, 허난설헌) - 홀로 규방을 지키는 여인의 애원을 우아한 필치로 씀.
3) 조선 후기 가사
(1) 형성배경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양난 이후 서민 의식과 산문 정신의 영향으로 종래의 관념적, 서정적 가사가 서사적인 것으로 바뀌었다. 그 내용도 음풍 농월식의 강호 한정이나 연군에서 벗어나, 널리 인간 생활을 그렸고, 위국충절(爲國忠節)의 기상을 읊는 등 매우 다양해졌다.
양반 사대부의 가사에 상대적 개념으로서 평민 가사가 출현하였으며, 부녀자들의 내방 가사는 여류 문학의 세계를 열어 놓았다. 방대한 규모로 장형화한 산문적 내용의 작품들이 지어졌으며, 영·정조 이후 실학사상의 영향으로 기행 가사, 유배 가사 등이 지어졌다.
(2) 특징
① 평민 가사, 내방 가사 등이 지어졌다.
② 전대의 정철의 서정적 가사 문학은 박인로에 의해 서사적이며 뚜렷한 작가 의식으로 일관한 독특한 문학 세계를 형성하였다.
③ 내방 가사는 규중(閨中) 부녀자들의 부덕(婦德) 애환 등 여자들의 심정과 생활을 노래 하였다.
④ 기행 가사 유배 가사 등의 장편 가사는 형식상 변화는 없었으나, 내용이 보다 산문적이고 수필적이다.
(3) 주요작품
조선후기 가사문학의 주요작품으로 평민가사와 내방가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① 평민 가사 : 평민적인 생활의 사실적 표현 등에서 붙여진 명칭이며 작품으로는 소위'12가사'를 비롯하여 '상사별곡', '백발탄', '우부가', '요부가' 등이 있는데, 대개 작자연대 미상이다.
② 내방 가사 : 영조 이후 최근까지 특히 영남 지방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여기에는 '계녀가', '사친가', '화전가', '헌수가', '석별가', '망부가', '사향가' 등 많은 작품들이 있는데, 대부분 작가 연대 미상이며, 유형성을 띠고 있는 것도 하나의 특징이다.
7. 신체시(新體詩)
신시(新詩)라고도 하며, 고대 시가에 대해 갑오경장 이후에 나타난 새로운 형태의 시를 일컫는 말로, 창가의 정형적인 율조(律調)에서 벗어나 새로운 율조 속에 새로운 내용을 담은 시 형태를 말한다.
1) 형성배경
1876년 병자 수호 조약 이후 쇄국 정책의 빗장이 열리고, 갑오경장으로 근대적 사회제도가 확립되었다. 이러한 사회 현상이 문학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신문과 잡지가 발간되고, 신식학교가 설립되는 등 근대 문학의 여건이 형성되었다. 또한 언문일치의 문장 운동이 전개되고, 외국 문헌의 번역 간행과 이에 따른 번안 문학의 성행은 신문학의 싹을 트게 했다. 신소설과 신시, 근대 소설 등이 이러한 환경에서 나온 산물들이다.
2) 형식적 특징
① 개화 가사와 창가가 가지고 있던 정형적인 율조를 깨뜨리고, 근대적인 자유시로서의 새로운 면모를 보인다. - 자유시 탄생의 모태가 되었다.
② 고시가, 애국가유형 등이 3-4조, 4-4조의 음율을 갖고 있으나, 신체시는 산문성을 가지며 창가의 음률인 7-5조의 자수율을 대체로 따르고 있다.
3) 내용적 특징
① 민족 사상의 고양, 소년의 기개와 포부 등 민족주의의 선양과 신교육, 남녀평등 등의계몽을 주된 내용으로 하였다.
② 자유시의 산문성보다는 약간 강한 준정형시로 창가와 현대시의 과도기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4)주요 작품
① 신체시의 효시는 일반적으로 1908년 11월 잡지 《소년(少年)》의 창간호에 게재된 육당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이다. 순결하고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소년에 대한찬 양과 기대를 통해, 구시대의 잔재를 청산하고 새로운 질서와 창조를 열망하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최초의 신체시이다.
② 1919년 《창조(創造)》지의 창간호에 주요한(朱耀翰)의 <불노리>가 있다.
③ <구작 삼편>, <꽃두고>, <우리 영웅> 등
④ 1905년에 발표된 <아양구첩)> <원백설>, <충혼소한>이 최초의 신체시로 밝혀졌으나,이 시들의 작가는 모두 미상이다.
⑤ 이승만이 1896년에 《협성회보》에 <고목가>라는 신체시를 발표하였다는 설이 있으나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10.16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6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