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론] 지적장애인 의사소통 제고 _ 보완·대체의사소통, 삽화 등 보조도구 활용, 지적장애인 의사소통 지원원칙(의사소통 세부 원칙 및 실천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복지론] 지적장애인 의사소통 제고 _ 보완·대체의사소통, 삽화 등 보조도구 활용, 지적장애인 의사소통 지원원칙(의사소통 세부 원칙 및 실천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보완·대체의사소통

2. 삽화 등 보조도구 활용

3. 지적장애인 의사소통 지원원칙
1) 지원원칙
2) 의사소통 세부 원칙 및 실천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할 건지를 설명 할 거예요"라고 말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항상 지적장애인과 관련된 새로운 상황에 있는지, 무엇을 예상해야하는지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하면 원활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대화할 때 한 번에 제공하는 정보량이 너무 많으면 어려워 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인간의 기억체계는 Sensory 기억, Immediate 기억 그리고 장기기억으로 분류되는데 지적장애인은 흔히 취득한 정보의 단기저장 기능을 맡는 Immediate 기억에 약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전달하려고 하기 보다는 제한된 적은 양의 정보를 현학적인 수사(修辭)없이 단도직입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복도에서 뛰면 미끄러져서 넘어질지도 모릅니다. 걸으세요!”라고 말하기 보다는 “복도에서는 걸으세요. 뛰지 마세요!”라고 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다. 그리고 한 문장에 한 메시지를 담도록 하고, 질문 하나에 대답도 하나 되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넷째, 요약된 표현이나 축어(Acronyms)을 피해야 한다. 의사소통할 때 속담이나 비유적 표현, 비꼬는 말이나 관용어구를 사용하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언어는 사회적 합의인데 지적장애인 당사자의 수준에 맞게 맞출 필요가 있다.
다섯째, 추상적인 단어보다는 구체적인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 사과, 바나나, 자동차, 기차, 바지 등의 단어는 손으로 만질 수도 있고 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다. 그러나 ‘교통’ 등과 같이 범주를 나타내는 말은 실제적이지 않고 또 손으로 만질 수 없기 때문에 이해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추상적인 예보다도 구체적인 예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면 “이른 시간에” 보다는 “아침 식사시간에”, “어디가 아파요” 보다도 “배가 아파요?”, “머리가 아파요?” 등이 좋은 예일 것이다. 그리고 의사소통시 중요한 단어를 강조하는 것도 지적장애인이 집중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여섯째, 지적장애인이 응답하려고 하는 바를 확인하고 분명하게 대답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지적장애인은 상대방의 질문에 똑같이 대답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되면 당사자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 무엇을 의도하는 것인지를 알기 어렵게 된다. 이 때 “괜찮아요?”라고 하면 많은 경우가 괜찮다고 대답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 하고 싶은지, 어떤 것을 의도하는지를 물어야 한다. 가능하다면 두 가지 정도의 선택사항을 제시하고 어느 것이 더 의도하는 바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좋다. 또한 말 한 것에 대해 지적장애인들이 이해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많은 사람들은 반응을 통해 그들이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 수 있고, 그들이 ‘원하는’ 답이 무엇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일곱째, 말로 표현하는 것 외에 시각적 보조물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지적장애인들은 말보다는 그림이나 사진이 더 이해하기 쉬울 수 도 있다.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 사물처럼 구체적이고 이해하기 쉬우면 괜찮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시각적 보조물(Visual Aiding Tools)을 사용하여 지적장애인의 이해를 돕는 것이 필요하다. 질문을 할 때 시각(그림, 사진 등) 자료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만약 시각적 보조물이 없다면 행동(바디 랭귀지)으로 질문하려고 하는 것, 의도하는 바를 최대한 표현해 보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참고문헌
최기창, 박관영 저, 장애인 복지론, 영림미디어 2014
임종호, 이영미, 이은미 저, 장애인복지론, 학지사 2013
고명석, 박준범, 김선이 외 저, 장애인복지론, 동문사 2014
노정자, 박연옥, 박주현 외 저, 사회복지개론, 창지사 2014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10.20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26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