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T)인지행동치료의 기본 원리 레포트(인지행동치료,CBT,인지행동모델,인지과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BT)인지행동치료의 기본 원리 레포트(인지행동치료,CBT,인지행동모델,인지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인지행동치료(CBT)의 기원

Ⅲ. 인지행동모델

Ⅳ. 인지치료이론의 특징

Ⅴ. 기본 개념
1. 인지과정의 수준
2. 자동적 사고
3. 인지적 오류
4. 스키마
5. 우울장애와 불안장애의 정보 처리 과정
1) 절망과 자살 간의 관계
2) 우울장애의 귀인 야식
3) 피드백에 대핸 반응의 왜곡
4) 불안장애의 사고 양식

본문내용

돼.’ 라고 생각한다.
절대적 사고
정의
자기 자신, 개인적 경험 또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판단이 두 개의 범주 중 하나에 해당된다.

우울장애를 가진 영수는 결혼 생활이 행복하고 아이들의 학교 성적이 좋은 것처럼 보이는 친구 철수와 자신을 비교한다. 비록 철수가 어느정도 가정의 행복을 누리고 있다 하더라도 그의 인생이 완벽한 것은 아니다. 철수는 직장의 문제, 금전적 어려움, 신체적 질병 등 다른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영수는 ‘철수는 모든 것이 잘되는 반면, 나는 되는 일이 아무것도 없어.’라고 여기는 절대적 사고를 한다.
[표 1-1 인지적 오류들]
[표 1-1]에서 볼 수 있듯이 인지적 오류들 간에 중복이 일어날 수 있다. 영수는 절대적 사고를 하는 동시에 자신이 강점들을 무시하는 반면 친구 철수의 문제들은 축소시키고 있다.
4. 스키마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자기 나름대로 자기와 세상을 이해하는 틀을 발달시킨다. 세상은 어떤 곳인지, 자기는 어떤 사람인지, 인생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어떠한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지 등에 관한 지식들을 차곡차곡 쌓아가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식들이 아주 어린 시절부터 시작해서 삶을 사는 과정에서 하나의 체계화된 덩어리를 이루게 될 때 그것을 인지 도식이라 부른다. 즉, 세상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삶에 관한 이해의 틀을 형성한 것이 바로 삶의 인지도식인 것이다.
인지도식은 핵심 신념을 수반하는 ‘정신 내의 인지 구조’로 정의된다. 벡은 스키마를 정보처리와 행동을 지배하는 구체적 규칙으로 보았다. 스키마는 모스가(Moss, 1992)가 명명한 ‘인지의 세 구성 요소’(cognitive triad)인 자신, 세계, 미래를 보는 개인의 특유하고 습관적인 방식이다. 벡은 스키마 작업을 치료과정의 핵심이라고 보았다.
역기능적 인지 도식은 개인의 인지 도식의 내용이 부정적인 성질의 것일 경우로써 현실 적응에 도움이 되지 않는 내담자의 기본적인 생각의 틀과 그 내용을 일컫는다.
ex) ‘사람은 멋지게 생기고 똑똑하고 돈이 많지 않으면 행복해지기 어렵다.’, ‘다른 사람의 사랑 없이 나는 행복해질 수 없다.’,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나약함의 표시이다.’, ‘절반의 실패는 전부 실패한 거나 다름없다.’, ‘인정을 받으려면 항상 일을 잘해야만 한다.’, ‘한 인간으로서의 나의 가치는 나에 대한 다른 사람의 평가에 달려있다.’, ‘사람들은 언제 나에게 등을 돌릴지 모르기 때문에 믿을 수 없다.’
클라크와 동료들은 다음 세가지 범주의 스키마를 제안하였다.
단순 스키마
정의
정신 병리에 거의 혹은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환경의 물리적 성질, 일상적 활동에 대해 규칙, 혹은 자연 법칙들

‘방어적인 운전자가 되어라.’ ‘좋은 교육은 그 값어치를 한다.’
중간 신념과 가정
정의
만약 ~하면, ~할 것이다 와 같은 조건적인 규칙들로 자아존중감과 감정 조절에 영향을 미친다.

‘내가 인정을 받으려면 완벽해야 한다.’ ‘항상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하지 못하면, 그들은 나를 거절할 것이다.’
자신에 대한 핵심 신념
정의
자아존중감과 관련이 있는 상황적인 정보들을 해석하기 위한 포괄적이고 절대적인 규칙들

‘나는 사랑스럽지 않다.’ ‘나는 어리석다.’ ‘나는 실패자다’
5. 우울장애와 불안장애의 정보 처리 과정
- 절망과 자살 간의 관계
우울장애에 관한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들 중 하나는 절망과 자살 간의 연관성이다. 다수의 연구들은 우울한 사람의 절망 수준이 높으며 이러한 절망은 자살의 위험을 높이기 쉬움을 보고하였다. 우울장애 입원환자들을 퇴원후 10년간 추적할 결과 절망이 자살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 우울장애의 귀인 야식
연구자들은 우울한 사람들이 생활 사건에 대해 부정적으로 왜곡된 의미를 부여하는 귀인의 세 가지 유형을 제시하였다.
내적 vs 외적
우울장애는 생활 사건에 대해 내적으로 편향된 귀인을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우울한 사람은 공통적으로 부정적인 사건에 대해 과도한 책임을 지려고 한다. 이와 반대로 우울하지 않은 사람은 운이 안 좋았다거나,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다거나, 혹은 타인의 행동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부정적인 사건이 일어난 것으로 보기 쉽다
일반적
vs 구체적
우울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부정적인 사건들을 각각 별개의 것으로 보거나 제한적인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보는 대신, 이러한 사건들이 모든 것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 것으로 결론짓는다. 우울하지 않은 사람들은 부정적인 사건이 자신의 자존감과 행동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고정적
vs 가변적
우울장애가 있는 경우 부정적 상황 혹은 문제 상황들이 미래에도 결코 변하거나 더 나아질 것으로 보지 않는다. 우울하지 않은 사람은 부정적인 조건이 상황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라질 것으로 믿는 건강한 사고방식을 가진다.
- 피드백에 대핸 반응의 왜곡
피드백에 대한 반응을 조사한 일련의 연구들은 우울한 사람과 우울하지 않은 사람 간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우울한 사람은 주어진 긍정적인 피드백을 과소평가하고,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후에는 과제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 불안장애의 사고 양식
불안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은 정보 처리 과정에서 몇가지 편향적인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역기능들 중 하나는 환경의 잠재적인 위협 정보에 대한 높은 주의 수준이다. 예를 들어, [표 1-1]의 엘리베이터 공포증을 가진 여성의 경우 엘리베이터에서 삐걱거리거나 다른 소리가 나면 엘리베이터의 안전에 대해 염려하게 된다. 이러한 두려움이 없는 사람은 이러한 자극들에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이다. 또한 불안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대게 비현실적인 어떤 요인이 실제 위험하다고 여기거나 해를 끼친다고 여긴다.
참고자료
- Learning Cognitive-Behavior Therapy | 학지사 |
J.H.Wright · M.R.Basco · M.E.Thase 공저 2009
- Thinking and depression | Beck A.T
| Arch gen Psychiatry 1963
  • 가격2,2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11.06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55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