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생산][산업생산 통계][산업생산 지속성][산업생산 정보통신산업][산업생산 쌀산업][IT산업]산업생산의 지수, 산업생산의 통계, 산업생산의 지속성, 산업생산의 IT산업(정보통신산업), 산업생산의 쌀산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생산][산업생산 통계][산업생산 지속성][산업생산 정보통신산업][산업생산 쌀산업][IT산업]산업생산의 지수, 산업생산의 통계, 산업생산의 지속성, 산업생산의 IT산업(정보통신산업), 산업생산의 쌀산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산업생산의 지수
1. 작성목적
2. 연혁
3. 지수의 종류 및 포괄 범위
1) 종류
2) 범위
4. 작성 방법
5. 지수개편

Ⅲ. 산업생산의 통계

Ⅳ. 산업생산의 지속성
1. 지속성의 개념 및 측정방법
2. 지속성의 추정
1) 자기상관계수
2) 단위근 검정
3) 장기지속성

Ⅴ. 산업생산의 IT산업(정보통신산업)
1. 수출
2. 수입
3. 수출입차

Ⅵ. 산업생산의 쌀산업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분 기인
― 24분기 중 수입은 344.4억 달러로 전년 동기(398.1억 달러)에 비해 53.7억 달러 감소했는데 이중 47.8%가 IT 품목, 52.2%가 IT이외 품목의 수입감소에 각각 기인
3. 수출입차
ㅇ금년 상반기 중 輸出入差는 수출부진에도 불구하고 흑자규모가 65억 달러로 전년동기(41억 달러)에 비해 24억 달러 늘어났는데 이는 IT 품목관련 수지가 다소 악화되었으나 기계류, 선박 등 IT이외 품목의 수지가 크게 개선된 데 주로 기인
― IT품목은 반도체 수지가 크게 악화(24억 달러 → 5억 달러)되었으나 무선통신기기의 흑자 확대(29억 달러 → 35억 달러)로 흑자규모가 소폭 축소되는 데 그침(전년 상반기 77억 달러 → 금년 상반기 67억 달러)
― IT이외 품목은 설비투자 부진으로 기계류 수입이 크게 줄어들고 선박 수출이 호조를 보여 적자규모가 지난해 상반기의 37억 달러에서 2억 달러로 크게 축소
Ⅵ. 산업생산의 쌀산업
쌀은 우리나라 농업을 대표하는 품목으로서 생산액이 전체 농업생산액의 약 1/4을 차지하여 단일작목으로 최고이며, 전체 농가의 80%가 쌀을 재배하고 있어 쌀이 농가소득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크다. 이 때문에 쌀 관련 정책이 우리나라 농업정책의 핵심에 있어 왔고, 또 정부의 농업정책을 평가하는 잣대가 되다시피 하였다. 그만큼 쌀이 우리 농업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절대적이다. 그러나 최근의 대내외적인 농업여건의 변화로 쌀산업은 큰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우선 대외적으로 UR협상의 결과 정부 보조가 제한되게 되었고 또한 최소한의 외국쌀을 수입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쌀산업 역시 국제 경쟁이라는 냉엄한 현실에 놓이게 되었다. 대내적으로도 쌀농사의 상대적 수익성 악화로 인한 고소득 작물로의 전환이나 휴폐경 등으로 재배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쌀자급이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세계적인 이상기후로 곡물 생산량의 변화가 심해지고 개도국의 소득수준 증가 및 식생활패턴의 변화로 곡물소비는 증가되면서 국제 곡물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짐으로써 식량안보에 대한 우려가 높아져 쌀의 생산기반 및 적정 재배면적 유지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통일이 목전에 왔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통일 후 수요증가에 대비한 쌀 생산기반 유지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쌀산업을 둘러싼 이러한 대내외적 환경변화에 적응하고 쌀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규모화 및 전문경영체 육성 사업을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정책을 펴나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이 효과적으로 시행되어 의도된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개별 농민이 가지고 있는 기술적 특성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의 기술수준으로 어느 정도의 비용절감을 통한 경쟁력 향상이 가능한지, 생산성과 효율성은 농가별지역별규모별로 어떻게 차이가 나고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등과 같은 의문을 먼저 풀어야 할 것이다.
Ⅶ. 결론
MIT대학의 Krugman 교수의 아시아의 경제성장이 새로운 지식과 아이디어 및 기술에 의한 것이 아니라, 러시아와 유사하게 자본과 노동의 축적에 의해서만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양적 성장만 해왔다는 아시아 경제에 대한 비평은 아직까지도 논란의 대상이 되어오고 있다. 즉, 아시아의 경제성장은 靈感과 기술발전에 의한 것이 아니라 그저 단지 땀을 흘린 것에 대한 대가(perspiration rather than inspiration)라는 것이다.
Krugman의 논리는 Young(1992, 1995)의 논문결과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Young(1992, 1994, 1995)은 그의 논문에서 각 나라들의 총요소생산성(TFP : Total Factor Produc -tivity)을 측정하였고, 싱가포르의 경우는 1974년에서 1989년 동안에 총생산에 대한, TFP의 연 평균기여율이 -0.004 이었다고 발표하였다. 즉, 싱가포르의 경제성장의 원인은 자본과 노동의 축적이지 총요소생산성은 원인이 되지 못한다는 충격적인 보고를 내놓았다.
Young 이외에도 아시아의 경제성장과 TFP를 분석한 논문은 많이 존재한다. 그 결과도 다양하여 아시아의 경제성장의 원인 중 TFP가 미친 영향이 50%를 상회한다는 Chen(1997), 한국과 홍콩 대만의 TFP 기여도가 35%를 상회한다고 결론을 내린 세계은행(World Bank)의 연구, 싱가포르를 제외한 아시아의 나라들의 TFP 기여도가 28%이상이라는 Drysdale and Huang(1997),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를 제외한 아시아의 나라들의 기여도를 역시 28% 이상이라고 측정한 Collins and Bosworth(1996), 특히 대만의 TFP에 대한 성장기여도를 50%이상 측정한 Kawai(1994)와, TFP가 미미해서 경제성장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Kim & Lau(1994, 1995) 등 다양한 결론이 존재한다.
이러한 다양한 결론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즉,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 일 수도 있고, 데이터 자료가 다르기도 하고, 또한 다른 모형과 계량경제학적 방법을 사용하였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Chen(1997)은 생산함수가 내생적인 기술변수가 외생적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설정오류(misspecification error)를 범할 수 있고, 또한 생산함수 내에서 중간재, 에너지, 교육, 연구개발 등의 중요한 변수가 생략되어서 생기는 편의성(bias)도 가능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자본투입에서 집계와 비집계(aggregation and disaggregation)에서 생성되는 부적절함, 자본의 가치측정 문제, 자본 디플레이터의 선택문제, 감가상각의 문제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권혁제(2003) - 산업생산과 실업률간의 변환행렬 추정, 한성대학교
김광섭(2006) - 연쇄방식의 산업생산지수 작성방안 검토, 한국조사연구학회
김한식(1992) - 산업생산지수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송주명 외 1명(2012) - 생산 세계화와 산업 공동화, 현대일본학회
유한수(2009) - 산업생산지수 변동성과 주가지수 변동성, 한국회계정보학회
편집부(2002) - 산업생산연보, 통계청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8.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73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