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 오락프로그램 속 새로운 웃음코드, 방송자막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쇼, 오락프로그램 속 새로운 웃음코드, 방송자막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쇼, 오락프로그램 속 새로운 웃음코드, 방송자막
-쇼, 오락 프로그램 속 방송자막의 변화와 발전방향



1. 서론

2. TV 속 자막의 등장과 배경
 1) TV 속 자막의 등장
 2) 쇼, 오락 프로그램에 등장한 자막

3.쇼, 오락 프로그램 속 방송자막의 변화
 1) 형식적 특징
  (1) 모니터 속 자막, 날개를 달다 - 색채와 크기, 위치의 변화
  (2) 딱딱하던 자막, 대화를 시도하다
 2) 내용적 특징
  (1) 자막, 감정을 가지다- 내용 전달자에서 해석자로, 주관성과 감정성의 증가
  (2) 자막, 정체를 드러내다 - 중립적 제삼자에서 제작자의 발언을 하는 자막으로

4. 자막의 변화와 쇼프로그램간의 상관관계
 1) 시청자의 주목받기
 2) 시청자와 친해지기
 3) 시청자와 공감하기
 4) 시청자의 대변인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텔레비전 권위의 엄숙함은 웃음의 소재가 되어 버린다. (중략) 시청 자를 등 뒤에서 놀림으로써 생성되는 희극성은 시청자에게 즐거움을 제공한다. 이는 기존의 자막 처럼 정보를 전달하는 데 그 기능이 있기보다는 희극성, 즉 코믹한 효과를 노린다. 황인성(1999) 『텔레비전 문화 연구』, 한나래 p 280~283.
즉 제작자가 방송자막을 통해 자신이 ‘제작’한 프로그램의 권위를 의도적으로 파괴함으로써 빚어지는 희극성과 코믹성-이것은 마치 코미디 프로에서 바보스러운 행동이 웃음을 유발하는 것과 비슷하다-이 시청자로 하여금 웃음을 유발하게 하고 유쾌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림13> <그림 14>
<그림 13>에서 출연자가 웃기지 않은 행동을 하며 시청자들에게 웃음을 요구한다. 그냥 웃기지 않은 것이 아니라 민망할 정도의 표정을 보여주며 웃음을 요구한다. 만약 자막이 없는 채 이 장면만이 나왔다면 어땠을까. 시청자들은 아마도 억지로 웃음을 강요하는 프로그램에 짜증이 났을 것이다. 그러나 자막은 한순간에 분위기를 바꾸어주었다. 자칫 ‘짜증나고 억지로 웃음을 강요한 방송’이 될 뻔한 그 장면을 제작한 제작자가 자신이 제작한 그 장면에 대해 ‘변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하나 살리는 셈 치고 여러분도 많이 웃어주세요’라고 동정을 요구한다. 권위로 웃음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권위를 깨뜨리면서 ‘웃어달라’는 메시지를 보여준다. 시청자들은 순간 짜증날 뻔한 감정이 장면에 대한 ‘실소’와 ‘귀여움’으로 바뀔 것이다. 이처럼 자막은 장면에 대한 코믹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이는 <그림 14>에서도 엿볼 수 있다. 출연자가 지루한 이야기를 계속하자, 제작자는 장면 중에 산 그림과 함께 ‘계속 듣다보니 토크가 산으로 가겠습니다’라는 자막을 삽입하였다. 이는 지루한 토크로 인해 시청자들이 반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장면을 PD가 삽입한 방송자막을 통해 웃음을 유발한, PD가 삽입해서 가능해진 재치 넘치는 방송자막의 효과라 하겠다.
이는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여러 쇼, 오락 프로그램들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는 시대 속에서 더 튀어야 하고 더 웃겨야 하는 쇼, 오락프로그램의 몸부림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부족해 보일 수 있는 내용을 보완하고, 그것마저 코믹성을 가지게 만들어 시청자들의 웃음을 유도해내려 한 것이다.
5. 결론
이제까지 우리는 방송자막이 언제 어떻게 도입되었으며,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서 어떤 방향으로 변해 왔는지, 그리고 그것이 쇼 프로그램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방송자막’이 주목받는 이 시대에 그것의 흐름에 대해 점검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예측한다는 취지를 가지고 시작되었다. 그러나 ‘방송자막’의 역사 자체가 그리 길지 않아서 체계적인 자막자료가 존재하지 않아 시대별로 정리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설문조사 문항수가 적고 조사대상자가 적다는 아쉬움도 남았다. 연구대상을 공중파 3사로 잡았지만, 그림 자료가 두 방송국의 자료뿐이라는 점도 이 연구의 한계였다.
방송자막은 초기에는 단순 ‘정보전달’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었지만, 시대가 흐름에 따라 쇼, 오락 프로그램에서 ‘오락성’을 높이고, 프로그램의 ‘전달효과’를 높여주는 도구로 변모해왔다. 프로그램 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시청자들의 인기를 얻는 것이 중요해지면서 시청자들의 눈에 들기 위해 화려하고 강렬한 디자인의 자막을 선보였으며 시청자들이 쇼, 오락 프로그램의 친근성, 코믹성, 유쾌성을 선호함에 따라 그것들을 추구하는 쪽으로 방송자막은 변화해왔다. 또한 방송자막은 시청자들을 단순히 프로그램을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느낀 감정이 보편적인 것임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을 능동적으로 기억할 수 있게 하였다. 앞으로 쇼, 오락 프로그램 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고 기술적인 측면은 더 발전할 것임을 고려해 볼때, 앞으로 방송자막의 구성과 배치는 점점 더 화려해지고 개성있게 변해갈 것이다. 또한 시청자들과 교감할 수 있고, 쇼, 오락 프로그램의 재미를 더해 주는 쪽으로 변화할 것이다. 제작자들은 장면을 좀 더 재미있게 해석하여 자막으로 내보낼 것이고, 시청자들의 생각을 표현해주는 내용의 자막은 더 늘 것이라 여겨진다.
6. 참고문헌
-황인성(1999) 『텔레비전 문화 연구』, 한나래
-이종수(2004) 『TV리얼리티』, 한나래
-김창남(1998)『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강태영,윤태진(2002)『한국 TV예능, 오락 프로그램의 변천과 발전』, 한울 아카데미
-문지연(2005)「TV영상물에 나타난 방송 자막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 정보디자인 전공
-한국 언론 연구원(1993), 「매스컴 대사전」
-JOINS 아시아 첫 인터넷 신문, 중앙일보, 2007년 5월 9일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2722358
<그림자료 설명> () 속은 종방된 날짜
<그림 1> MBC 라디오모니터요원모집 영상 중 캡쳐
<그림 2> MBC, 어린이날 특집 영상 중 캡쳐
<그림 3> MBC, 이경규의 몰래카메라(1992) 영상 중 캡쳐
<그림 4> 일본 후지 TV
<그림 5> MBC, 이경규의 몰래카메라(1992)
<그림 6> SBS, 일요일이 좋다 ‘X맨’(2006)
<그림 7> SBS, 야심만만, 만명에게 물었습니다
<그림 8> MBC, 재민이의 육아일기(2001)
<그림 9> SBS, 야심만만, 만명에게 물었습니다
<그림 10>MBC, 무한도전
<그림 11>SBS, 야심만만, 만명에게 물었습니다
<그림 12>MBC, 무한도전
<그림 13>MBC, 무한도전
<그림 14>MBC, 황금어장 ‘무릎팍 도사’
1.‘채널을 무심코 돌리다가 한 프로그램에서 멈추었다면 그 이유는?
①좋아하는 출연자가 등장해서
②소재가 재미있어 보여서
③화면이 눈에 튀어서
④기타
2. ‘어둠속에서 무표정한 신해철’과 ‘신해철씨, 깜깜한데서 무표정한 표정으로 계시네요’ 둘 중 하나의 자막으로 삽입하려고 합니다. 각각의 자막에서 느껴지는 감정을 적어주세요.
(1- )
(2- )
<설문지 내용>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5.09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79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