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인센티브제도][공동기술개발][다각화 전략]중소기업의 유형, 중소기업의 범위, 중소기업의 신용관리, 중소기업의 인센티브제도, 중소기업의 공동기술개발, 중소기업 다각화 전략, 중소기업 발전 전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소기업][인센티브제도][공동기술개발][다각화 전략]중소기업의 유형, 중소기업의 범위, 중소기업의 신용관리, 중소기업의 인센티브제도, 중소기업의 공동기술개발, 중소기업 다각화 전략, 중소기업 발전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중소기업의 유형

Ⅲ. 중소기업의 범위
1. 중소기업 적용 대상 여부
1) 대상
2) 제외대상
2. 상시근로자 수
3. 자본금의 산정
4. 매출액의 산정
5. 주된 사업(주 업종) 판정

Ⅳ. 중소기업의 신용관리
1. 신용을 중시하는 환경변화
2. 신용평가에서의 중요한 변수
1) 재무적 요소
2) 비재무적 요소
3) 경제환경의 중요성

Ⅴ. 중소기업의 인센티브제도

Ⅵ. 중소기업의 공동기술개발

Ⅶ. 중소기업의 다각화 전략

Ⅷ. 중소기업의 발전 전망
1. 중소기업의 평균성장률은 대기업 성장률 상회 전망
2. 중소기업의 중장기 발전비젼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여 의견이 대립되어 있다. 이렇게 통일되지 않은 생물학 분야에서의 진화론을 기업의 다각화 이론에서 도입하여 전개할 때에는 자칫 자기편의적인 이론전개가 될 수 있다. 또한 문제의 명확한 차이는 이론적인 차원보다는 이의 구체적인 사례분석의 수준으로 내려가면 더욱 분명해진다. 예를 들면 吉原英樹(1986)는 기업의 혁신정도와 중심적 인물에 따라 경영스타일을 전략적, 진화론적, 축적형 경영으로 구분하고 있다. 다각화에 의한 장기성장을 실현하는 경영스타일을 전략적 경영이라고 한다면 이것은 기업의 전략적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장기성장을 실현하는 경영스타일이지 업무적 문제나 관리적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경영스타일과 구별된다.
진화론적 경영의 특징에 대한 논자들의 주장을 정리하여 보면 기업 내 혼돈이나 부정합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지 않는다는 점과 기업 내 이노베이션에서의 중간관리자의 역할의 중요성
이라는 2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吉原英樹(1986, pp. 82-143)가 조사한 HOYA의 사례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진화론적 경영의 주장과는 달리 다각화는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조직내 저항은 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간관리자보다는 최고경영자의 역할 즉 전략적 경영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전략적, 진화론적, 축적형 경영의 비교
경영스타일
전략적 경영
진화론적 경영
축적형 경영
이노베이션 타입(혁신정도)
대(다각화)
중(신제품 개발)
소(제품개량과 공정개선)
중심적 인물
경영자
중간관리자와 기술자
일선 감독자와 작업자
이와 같이 다각화에 대한 진화론의 입장은 논자에 따라 주장이 다르며 여전히 진화론 자체가 진화하여 발전 계승되고 있는 과정에 있으므로 통일된 이론적 모형을 확립하기 위해서 보다 많은 사례와 이론적 틀을 만드는 연구가 계속 진행 중이라고 볼 수 있다.
Ⅷ. 중소기업의 발전 전망
1. 중소기업의 평균성장률은 대기업 성장률 상회 전망
-첨단중소기업의 생산성 대폭향상
-부품·소재산업이 제조업부문의 성장세 주도
-혁신적 중소기업의 활발한 창업
2. 중소기업의 중장기 발전비젼
-중소기업 성장전망
- 고용비중(제조업) : 74% → 79%
- 부가가치비중(제조업) : 49% → 56%
- 수출비중 : 40% → 50%
- R&D 투자 : 7,200억원 → 3조원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 1,000개기업 → 10,000개기업
※산업연구원
중소기업의 역동적 성장분야
- 콘텐츠, 소프트웨어, 애니매이션 등 서비스·문화산업 부문
Ⅸ. 결론
일본은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유기적인 협력체제 구축에서 가장 대표적 모델 국가로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이웃 대만도 컴퓨터산업을 중심으로 한 유연한 중소기업체제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해 우리 나라는 재벌 위주의 경제성장 속에 중소기업은 특별히 주목할 만한 발전상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경제 발전과정에서 중소기업의 성장이 부진하였고 중소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당위적인 주장만 무수히 제기되었을 뿐이다. 정부의 중소기업 육성정책도 그 동안 헤아릴 수 없이 많이 등장하였으나 지금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최근에는 정부정책의 기본 방향마저 흔들리고 있다. 지난 1980년대에는 지정계열화정책, 중소기업 사업영역 보호정책 등이 추진되었으나 1990년대 이후부터는 그러한 중소기업 보호정책이 후퇴하고 있다. 또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일본식의 기업간 협력체제를 모델로 삼는 정책들이 제시되었다가, 최근에는 미국형 벤처기업(venture business)의 육성이라는 현실여건과 다소 거리가 느껴지는 생소한 실험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 나라 경제를 지배하는 대기업의 존재형태가 그 나라 중소기업의 지위를 좌우한다. 일본 오늘날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긴밀한 협력구축 모델로 자리잡게 된 것은 일본 대기업집단의 폐쇄적이지 않은 유연한 구조를 통해 뒷받침된 덕분이다. 대만 역시 ‘대만 드림’이라는 중소기업의 천국으로 등장하게 된 것도 그들의 독특한 기업체제와 유연성과 무관하지 않다. 우리 나라의 지배적인 대기업은 재벌로 존재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부진은 이러한 재벌체제로부터 커다란 영향을 받은 것이다. 한국 중소기업의 현 위치는 재벌체제와 결코 무관할 수 없으며, 중소기업 문제는 이와 같은 재벌체제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사회적 자원이 부족한 개발 초기에는 중소기업보다는 소수의 대기업을 집중 육성하는 발전전략이 효율적일 수도 있다. 대기업이 뚜렷한 경쟁우위를 보이는 경제환경에서는 특히 그러하다. 이 때 중소기업의 희생은 적어도 효율 측면에서는 감내할 만한 것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세계경제환경의 급속한 변화 속에 한국 경제가 적응하기 위해서는 ‘활력 있는 다수(vital majority)\'로서의 중소기업의 보다 능동적인 역할이 요구되었다. 하지만 한번 형성된 재벌체제는 쉽사리 없어지지 않으며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경제구조 개편 자체를 저지하고 있다. 1997년 말 금융외환위기로 재벌체제의 한계는 여실히 드러났다. 재벌총수의 부실 경영과 부도는 수많은 중소기업의 연쇄도산을 초래하였으며 연이어 경제 전체의 위기로 발전해갔다. 그와 같은 상황은 마치 주유와 제갈량의 화공책에 대패한 조조의 연환계(連環計)를 연상하게 하였다.
금융외환위기를 겪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는 새로운 산업모델을 구축해야 할 분기점에 놓여 있다. 수명을 다한 재벌체제를 대체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경쟁과 협력관계를 창출하는 새로운 산업 발전모델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현 단계 한국의 중소기업 문제는 재벌체제로부터 비롯된 구조적인 문제로 이해한다.
참고문헌
박동수 외 2명, 중소기업지원기관의 유효성평가, 영남대학교, 2005
배상윤, 중소기업 정보화의 실제적 목표와 접근,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5
오동윤, 한국 중소기업의 수출결정요인 분석, 한국국제통상학회, 2012
윤진효 외 1명,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과 성과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2012
이성열, 중소기업지원 현황 및 향후 계획, 대한전기협회, 2008
이병헌 외 2명, 국내 중소기업의 전략유형과 특성, 대한경영학회, 2009

추천자료

  • 가격7,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8.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8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