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학개론-시가 나오야,시가 나오야의 생애,시가 나오야의 주요 작품 소개,시가 나오야의 생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문학개론-시가 나오야,시가 나오야의 생애,시가 나오야의 주요 작품 소개,시가 나오야의 생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시가 나오야의 생애
3. 시가 나오야의 주요 작품 소개
4. 가족에 대한 인식
5. 『암야행로(暗夜行路)』에서 나타나는 가족관
6. 맺음말

본문내용

이미 단련될 만큼 단련되어 있던 나였다. 그것이 나에겐 부자관계를 통한 경험의 전부였다.
C.어머니로 말하자면 나에게는 매정하고 무자비했다. 나는 하는 일마다 꾸지람을 들었다. 실제로 나는 버릇없이 구는 개구쟁이 였다. 하지만 똑같은 일이라도 다른 형제들에게는 아무렇지도 않은데 유독 나만 야단치는 일이 종종 있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진심으로 어머니를 연모하고 사랑하고 있었다.
D.오에는 평소 조금도 아름다운 여자가 아니었다. 그러나 목욕 후 진한 화장이라도 하면 내 눈에는 유난히 그녀가 아름답게 보였다.(중략) 조부와 술을 마시면 당시의 유행가를 낮은 소리로 부르기도 했고 취하면 느닷없이 나를 무릎 위에 감싸올려 억센 굵은 팔로 꼭 감싸안아 주곤 했다. 나는 숨이 갑갑하긴 했지만 마음이 푸근해지는 듯한 쾌감을 느꼈다.
조부는 호감이 가지 않는 형편없는 노인네 취급으로 일관하고(A), 아버지는 스모를 같이 했던 차가운 인물로(B), 어머니는 매정한 것 같지만 어딘지 모르게 연모의 정을 느낄 수밖에 없는 자상한 모습으로(C), 오에이는 아름답지는 않지만 푸근함을 느끼게 해주는 대상으로(D) 그려 놓았다. 물론 <서사>에는 본문에 등장하는 인물 전체가 거론되지는 않는다. 이는 겐사쿠의 추억이기에 선대만 그려질 수밖에 없는 시차적 제한 때문이기도 한데, 우리는 여기에서 세 가지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는 형편없는 조부상, 스모를 통한 교감 이면의 차가운 아버지상, 매몰차면서도 정감이 들 수밖에 없는 어머니상, 푸근한 오에이라는 허구를 통하여 실제의 작가 주변인물과 상반된 인물을 설정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작가 스스로 밝혔듯이, 조부는 아비코의 옆집 영감을, 어머니는 조모를, 아버지는 다소나마 친아버지다운 점이 있었고, 오에이는 모델 없이 끝났다고 하는 대목에서도 알 수 있는 부분인데, 이러한 가상 인물설정은 말할 것도 없이 사소설이지만 허구를 바탕으로 해서 이루어진 소설임을 대변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주인공 겐사쿠가 등장인물에 대한 유년시절의 감정을 청년이 된 현재 시점에서 솔직하게 그려가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앞으로 전개될 내용이 우선 겐사쿠의 과거와 현재를 조율하면서 시공간적 배경과 등장인물 상호간의 역학관계를 중층적 시각에서 바라보겠다는 의지의 표출이 아닐까 한다. 셋째는 인물들에 대한 호오의 감정을 비춰주면서 이후에 펼쳐질 겐사쿠의 ‘유쾌’ ‘불유쾌’의 감정이 대립과 조화라는 구도로 조율될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결과론적 입장이긴 하지만, 「암야행로」의 문학적 구도는 위에서 지적한 세 갈래의 구도를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것 같다. 따라서 <서사>의 위치는 이 작품의 근간이 되는 구조믈이며 작품 진행을 위한 전제로서 이해되어야만 하며, 동시에 겐사쿠의 자기중심적 사고를 강하게 표출시킴으로써, 앞으로 작품의 흐름이 그를 중심으로 대립과 조화의 조율 측면에서 자유로이 재단될 것임을 암시한 것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어머니 긴에 대한 사모의 정이 잠재적으로 일관되게 흐르고 있다. 어머니 긴은 이 작품의 등장인물 오에이와 나오코, 이 둘 모두에게 변형된 모습으로 투영되어 있다. 오에이에 대한 주인공 켄사쿠의 마음은 여자에 대한 감정이라기보다는 어머니에 대한 응석이며, 모성애의 희구이다. 그리고 나오코도 또한 겐사쿠에 있어서는 어머니 상실을 극복해 가려는 어머니를 향한 그리움의 투영상이라고 생각된다.
6. 맺음말
시가 나오야의 성장을 살펴보면 부모대신에 조부모가 부모의 역할을 맡는다. 특히 할아버지와의 신뢰관계는 그의 정신세계에 깊은 영향을 미쳐, 감각적 판단에 자신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자아실현의 강한 자기 긍정의 핵을 만든다. 이것은 표면적으로 시가와 조부모사이를 말접한 관계로 만들어 갔지만, 부모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현실적으로, 또 내면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시킨다.
시가의 작품 속에서, 그의 심성(心性)은 표면적으로는 아버지와의 불화의 관계를 축으로 전개된다. 시가는 아버지와의 불화를 제재로 해서 3개의 중편소설 - 「오츠 쥰키치」,「화해」,「어느 남자, 그 누이의 죽음」을 쓰고 있다. 이 부자사이는 겉으로 나타난 현실적 문제에서는 대립적 관계였지만, 내면적으로는 대립적 존재가 아니라 동지적 존재, 육친의 존재로서 인식되었다. 그러므로 아버지와 실제로 진정한 화해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
시가는 어머니와의 관계에 있어서 두 가지의 커다란 일을 겪으며 성장하게 된다. 하나는 3살 때부터 조부모와의 밀착된 생활로 인한 어머니와의 소원함이고, 또 하나는 13살 때의 갑작스런 어머니의 죽음이다. 이 두 가지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그의 작품 가운데 복합적으로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다. 작품을 통하여 살펴보면, 시가는 내면적으로 어머니에 대한 사랑을 갈구하고 있었고, 그 부족한 모성의 공간(어머니상실)을 채우려는 노력은 끊이지 않고 계속되었다. 마음에 새겨진 깊은 상흔 때문에 그것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억제하고, 작품 속 깊은 곳에 그것을 잠재시키고 있었다.
시가에게 있어서 가족에 대한 인식은 넘치는 사랑과 결핍된 사랑이라는 큰 틀로 집약할 수 있다. 할아버지와의 밀착된 관계, 할머니의 사랑이 그 전자이며, 아버지와 어머니는 후자인 결핍된 사랑이다. 성장기에 있어서 사랑은 아무리 많이 받아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사랑의 결핍이나 부족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시킨다. 시가는 강한 자아의 소유자로서 자신의 이러한 현실적 문제를 직시하고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한 내적욕구를 작품 속에 표출시킴으로써 정신적 갈등과 고통을 치유하며 극복해 나아갔던 것이다.
* 참고문헌 및 사이트
『志賀直哉全集』、志賀直哉、1973~1974
『志賀直哉論』、中村光夫、1954
『시가 나오야』, 김환기,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3
『日本小說 名人 名作 散策』, 김용안, J&C, 2006
『일본 근현대 작가와 작품연구』, 김석자, J&C, 2003
『志賀直哉人と作品』,福田淸人, 栗林秀雄, 淸水書院, 1985
일본 위키피디아의 시가 나오야 및 관련 문서
http://ja.wikipedia.org/wiki/%E5%BF%97%E8%B3%80%E7%9B%B4%E5%93%89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4.12.08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28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