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다문화정책- 다문화주의의 정의,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정책,정부 중앙부처 중심의 다문화정책,새터민, 외국인노동자,불법 이주자, 치안 유지 강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다문화정책- 다문화주의의 정의,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정책,정부 중앙부처 중심의 다문화정책,새터민, 외국인노동자,불법 이주자, 치안 유지 강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Ⅰ. 본 주제 선택 동기 ……………………… 1

<본론>
Ⅱ. 다문화주의의 정의 ……………………… 1
Ⅲ. 한국의 다문화 정책 ……………………… 2
ⅰ. 등장배경
ⅱ. 현황
Ⅳ. 한국의 다문화 정책 장점 ……………………… 4
ⅰ.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정책
ⅱ. 사회통합적인 법제화
ⅲ. 미디어의 활용
Ⅴ. 한국의 다문화 정책 단점 ……………………… 7
ⅰ 다문화 정책의 일방성
- 한국인들의 외국인에 대한 이해 노력 부족
- 정부 중앙부처 중심의 다문화정책
ⅱ. 시혜적 정책에 따른 역차별
ⅲ. 결혼이주여성에 지나치게 치중된 정책
ⅳ. 홍보 부족
ⅴ. 일회성 이벤트

<결론>
Ⅵ. 제언 ……………………… 11
ⅰ. 진정한 소통의 장 형성
ⅱ. 불법 이주자, 치안 유지 강화
ⅲ. 정부의 통합적이고 일괄적인 부처 필요
ⅳ. 다문화 정책의 쌍방향성
ⅴ. 새터민, 외국인노동자 등도 포용할 수 있는 정책 필요

Ⅶ. 참고문헌 ……………………… 14

본문내용

실험을 통해 성공사례들을 만들고 전파할 필요가 있다. 이는 아래로부터의 변화로 볼 수 있다.
위로부터의 정책변화와 아래로부터의 정책 변화가 함께 이루어진다면 이주민과 다문화가정에 대한 준비는 물론, 다문화 가정들과의 소통도 원활해 질 것이다.
ⅴ. 새터민, 외국인노동자 등도 포용할 수 있는 정책 필요
다문화 하면 많은 한국인이 결혼이민여성이나 외국인 가정을 떠올린다. 이는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 정책의 대상이 대부분 국제결혼을 통해 형성된 다문화가족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혼이민자와 그 가족을 경쟁적으로 지원하게 되면 일반 국민이 상대적인 박탈감과 역차별을 느끼게 될 수 있고, 어려운 경제 속 이러한 정책이 계속된다면 자연스러운 통합보다는 사회갈등이 커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정책 대상을 다른 이주민에까지 확대하고 이민·사회통합 정책의 방향과 관점을 명확히 해야 한다. 아직까지 국내에는 새터민과 외국인노동자들에 대한 정책이 부족하다. 우리의 사회를 구성하는 한 집단으로 받아들이고 인정함과 동시에 이들을 위한 정책마련도 시급하다. 국제결혼과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과 가정을 바라보는 사회의 편견에만 초점을 맞추다보니 외국인노동자들과 새터민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실정이다. 이주 노동자도 한국 경제에 기여하는 사회의 구성원이다. 이주 노동자는 현재 체류 외국인 중 제일 많다. 이들이 최소한의 인권이라도 보장받도록 해줘야 한다. 특히 현재 고용허가제의 각종 규제는 이주노동자들을 불법 체류자로 전락하게 만드는 측면이 있다. 불법 체류자에 대한 사회적 시선이 날카로워지는 만큼 제도를 근본적으로 바꾸거나 사업장 변경 제한, 구직기간 3개월 제한 등 요건을 완화해 성실한 이주 노동자가 오해받으며 살아가지 않도록 도와주는 정책이 필요하다.
Ⅶ. 참고자료
<문헌>
홍기원(2006). 다문화정책의 방향과 문화적 지원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김준식·안광현(2012). 다문화가족 지원정책 기본계획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정책연구, Vol.12(4), pp.127-150
김영란(2012). 독일과 한국의 다문화가족 정책에 대한 고찰 - 다문화가족 관련 법제와 현황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제 13집, pp.31-67
김종세(2011).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의 문제점 ( Problem about policies for multi-cultural society and social integration ). 법과 정책연구, Vol.11(2), p.349
김선미(2011). ‘한국적’ 다문화정책과 다문화교육의 성찰과 제언. 社會科敎育 第50券 4號, pp.173-190
이병량(2011). 한국 정책연구에서 다문화정책 연구의 경향 분석: 다문화정책 연구의 지평 확대와 질적 성장을 위한 제언 ( The Trend of Multicultural Policy Research in Korean Policy Studies: Suggestions for Expanding the Horizons of Multicultural Policy Studies and Advancing the Quality of Research ). 한국행정논집, 2011, Vol.23(4), p.1243
이종두·백미연(2012). 한국의 특수성과 다문화 정책. 국제관계연구 2012년 봄 호 제17권 제1호 (통권 제32호), pp.335-361
강휘원(2013). 지방정부의 다문화정책 성과인식의 영향요인 - 조직제도 및 구성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7권 제1호, pp.247-272
정의철(2012).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국 침해조사과(2010). 다문화사회를 위한 정책적 제언, 국가인권위원회.
김남국(2005). 다문화시대의 시민: 한국사회에 대한 시론. 《국제정치논총》 45집 4호, 97∼120.
김남국(2010). 다문화의 도전과 사회통합: 영국, 프랑스, 미국 비교연구. 《유럽연구》 28권 3호, 133∼174.
김은미·양옥경·이해영(2009). 다문화 사회, 한국. 나남.
엄한진(2011). 다문화사회론. 소화.
전경옥(2010). 다문화사회의 학교 내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 미국 캘리포니아 주 공립학교 다문화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Journal of Social Paradiam Studies, 25(2), 41∼76.
정한업(2009). 프랑스의 상호문화교육과 미국의 다문화교육의 비교연구. 《프랑스어문교육》 32, 105∼121.
하윤수(2009). 미국 다문화교육의 동향과 사회과 교육과정. Social Studies Education, 48(3), 117∼132.
김영숙 외 1(2012). 다문화가정의 실태와 지원정책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다문화콘텐츠연구 제 13집, pp.69-103
<기사>
“다문화에 대한 이해가 곧 한국의 힘”/경남일보/오태인기자/2013.05.29
5월 20일 ‘세계인의 날’… “검은 피부 겁내는 한국 다문화점수 50점”/쿠키뉴스/김유나, 전수민 기자/2013.05.19
[이제는 다문화 시대]“다양한 문화 이해 한국사회 소통에 앞장”/강원일보/이무헌 기자/2013.06.08
36개국중 13위… 한국, 다문화 인프라 선진국 못지않다/동아일보/이샘물 기자/2013.06.06
[2013년도 제2차 시·군 순회 大토론회] 한국 다문화사회의 현재와 미래/중부일보/강제원 기자/2013.05.24
[서울시] 세계인의 날 기념 문화행사 열려/데이터뉴스/채성오기자/2013.05.20
<기로에 선 다문화정책> ③다문화인이 본 정책/연합뉴스/경수현,김태종 기자/2012.12.28
<기로에 선 다문화정책> ②이주노동자도 한축/연합뉴스/경수현 기자/2012.12.27
<문화소식> KBS 다문화 대상 시상식/연합뉴스/고현실 기자/2013.05.24
우리 동네 이 문제 - 아산 외국인 범죄/중앙일보/조영민 기자/2013.03.12
다문화가정 지원, 내실을 기해야/경남도민일보/2012.09.10
방통위, 다문화가족 TV 커뮤니티 서비스 선보여/이데일리/김정민 기자/2012.12.24.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4.12.08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34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