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기능 특성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설문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기능 특성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설문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기능 특성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과제 및 조사방법
 1. 표집
 2. 연구과제
 3. 통계 분석 결과
  3.1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설문지 분석
 3.2 SPSS 분석결과
  3.2.1 기초 환경 정보 분석
  3.2.2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기능 설문 분석
  3.2.3 신뢰도 분석 및 요인 분석
  3.2.4 각 기능의 만족도 설문에 대한 집단 차이 비교

III.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보고서 반성

본문내용

면서도 감정을 개입시키지 않는다.)는 보통으로 조사되어 다른 항목보다 관심이 낮은 변인으로 조사되었다. V6은 편차가 가장 높고 V7는 편차가 제일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듣기 기능에 관한 설문 결과는V15(나의 듣기 능력에 대한 만족도) 의 항목들은 “보통”이상으로 조사되어 높은 관심변인으로 나타났으며, V13(나는 상대가 얘기하는 동안 “그래요.”, “계속 말씀하세요.”, “아하, 그렇군요.” 등의 말을 하지 않는다.), V12(경청하는 것과 그냥 듣기는 같은 것이다.)는 “보통” 이하로 조사되어 다른 항목보다 관심이 낮은 변인으로 조사되었다. V11은 편차가 가장 높고 V12는 편차가 제일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말하기 기능에 관한 설문 결과는 V16(상대방이 나의 메시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면, 나는 보다 천천히, 그리고 분명하게 말하려고 애쓴다.)항목이 “그렇다”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V18(나는 상대방이 산만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위를 집중시키려고 열심히 노력한다.), V21(나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만족도) 항목이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고, V17(나는 어휘 속에 들어있는 의미의 다양성을 망각하는 경향이 있다.), V20(나는 전문가에게 말할 때만 전문용어를 쓴다.) V19(나는 말할 때 속어나 은어, 특이한 지방 사투리를 쓰는 것을 좋아한다) 항목들은 “그렇지 않다” 으로 나타났고, V19는 편차가 가장 높고 V16은 편차가 제일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각 기능의 만족도 설문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 회귀분석 분석
피드백 기능 요인 분석에서는 나는 충분히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애쓴다, 나는 피드백 하기 전에 상대방이 원하는지를 먼저 확인한다 는 항목만이 영향을 미치고, 듣기 기능 만족도는 나는 남들보다 더 많이 말하려는 경향이 있다, 몸짓언어는 말하는 사람에게 주요한 것이 아니라 듣는 사람에게 중요하다. 는 항목에만 영향을 미치며, 말하기 기능 만족도는 나는 어휘 속에 들어 있는 의미의 다양성을 망각하는 경향이 있다, 나는 말할 때 속어나 은어, 특이한 지방 사투리를 쓰는 것을 좋아 한다. 는 항목은 말하기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4) 신뢰도 분석 및 요인 분석
피드백 기능 요인 분석에서는 1요인은 문제2, 문제3, 문제5 항목이 되고 2요인은 문제4, 문제6 항목, 3요인은 문제1 항목이 된다. 요인 1의 설명력은 약 29.378% , 요인2는 17.674%를 담당했다. 즉, 나는 피드백 할 때 사실에 대해 반응하면서도 감정을 개입시키지 않는다., 나는 피드백 하기 전에 상대방이 원하는지를 먼저 확인한다., 나는 상대방이 잘못 말하면 상대방이 그것을 느끼도록 해준다. 라는 항목이 피드백 기능을 약 29.378%를 설명하고 나는 충분히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애쓴다., 나의 피드백 능력에 대한 만족도. 라는 항목은 17.674%를 설명하고, 나는 상대방의 메시지를 듣고 나서 모르면 구체적으로 되묻는다. 라는 항목은 16.682%를 설명한다.
그리고 듣기 기능 요인 분석에서는 1요인은 문제7, 문제8, 문제12 항목이 되고 2요인은 문제10, 문제11, 문제9 항목이 된다. 요인1의 설명력은 32.760% , 요인2는 19.066%를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나는 남들보다 더 많이 말하려는 경향이 있다. 나는 대화를 하면서 상대가 침묵을 하면 곧 당혹스러워진다. 나의 듣기능력에 대한 만족도. 의 설문은 듣기 기능에서 약 32.760%를 설명할수 있지만 2요인의 항목 나는 상대가 얘기하는 동안 “그래요”, “계속말씀하세요”, “아하 그렇군요,” 등의 말을 하지 않는다., 몸짓언어는 말하는 사람에게 주요한 것이 아니라 듣는 사람에게 중요하다., 경청하는 것과 그냥 듣기는 같은 것이다. 라는 항목은 19.066%를 설명 할 수 있다.
말하기 기능 요인 분석에서는 1요인이 문제14, 문제15, 문제18 문항이 요인1에 속하게 되고 2요인은 문제16, 문제17 항목이 된다. 따라서 요인 1의 설명력은 약 34.541% , 요인2는 18.826%를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나는 어휘 속에 들어 있는 의미의 다양성을 망각하는 경향이 있다., 나는 상대방이 산만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위를 집중시키려고 열심히 노력한다. 라는 항목이 피드백 기능을 약 34.541%를 설명할 수 있고 나는 전문가에게 말 할 때만 전문 용어를 쓴다., 나는 말할 때 속어나 은어, 특이한 지방 사투리를 쓰는 것을 좋아 한다. 라는 항목은 18.826%를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신뢰도 분석에서 크론바하 알파계수가 음수가 나와서 코딩에 뭔가 문제가 있는 것 같았다.
5) 각 기능의 만족도 설문에 대한 집단 차이 비교
피드백 기능에 대한 만족도와 말하기 기능에 대한 만족도는 남녀 간의 차이가 없었지만 듣기 기능에 대한 만족도는 남녀 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나이가 어릴수록 자신의 듣기 태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2. 보고서 반성
아직 실전 분석 경험이 적어서 기존의 연구 논문을 참고하여 주제를 선정하였다. 또한 주제에 대한 사전 조사는 참고 논문으로 대체하였고, 대신 테스트 자료를 일정 분량 남겨놓고 실제 적용은 직접 할 계획을 수립하였다. 보고서의 방향은 설문지 조사는 다시 조사하였고 주제에 대한 보고서 열거 방식은 기존 논문을 참고 하였다. 하지만 조사 결과가 당초 예상과는 달리 회귀분석 결정계수도 너무 낮게 나오고 크론바하 계수 역시 (-)값으로 추출되었다. 원인을 찾기 위하여 설문지를 다시 분석하였고 그 결과 의미가 반대인 항목은 이미 역변환을 통하여 수정을 한 상태였기 때문에 문제점을 찾을 수 없었다. 하지만 고민 끝에 설문지를 집중적으로 원인을 더욱 분석하였고 설문지의 척도가 5점 척도, 즉 순서 척도로 이것에서 원인을 찾을 수가 있었다. 순서척도는 빈도분석과 차이분석은 가능하지만 회귀분석은 불가능 한 것이었다. 그래서 처음에 테스트용으로 빼두었던 자료도 역시 사용하지 못하였다. 후에 다시 이러한 조사를 할 기회가 있다면 기초에 더욱 충실한 조사와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것을 다시금 느끼게 한 소중한 기회였다.
  • 가격2,8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5.02.26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76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