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학과 E형] 콩 재배시 질소비료를 적게 주어도 충분한 생육이 가능한 이유와 질소고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학과 E형] 콩 재배시 질소비료를 적게 주어도 충분한 생육이 가능한 이유와 질소고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콩 재배
1) 우리나라의 재배 콩
2) 콩의 품종 및 종실
3) 콩 재배

2. 콩 재배시 질소비료를 적게 주어도 충분한 생육이 가능한 이유
1) 콩의 농업적 특성
2) 콩의 줄기 발육과 특성
3) 질소비료
4) 콩 재배시 질소비료를 적게 주어도 충분한 생육이 가능한 이유

3. 질소고정
1) 질소(N)의 역할
2) 질소고정 미생물이란
3) 질소고정이란
4) 질소의 고정량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탄세균의 Methanobacterium, 황산환원균의 Desulfovibrio, 방선균의 Nocardia 등이 있다. 또한 사상균의Aspergillus, 효모의 Saccharomyces, 그리고, 시아노박테리아인 Anabaena 등도 비공생성이다. 이 중 Azotobacter와 Clostridium은 질소고정능이 크고 분포도 넓다. 질소고정능은 미생물계에만 있고, 그것도 극히 한정된 것이지만 넓은 범위에 분포하고 있다. 1960년대의 후반에 질소고정에 관여하는 질소고정효소가 분리되어 효소 수준의 연구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질소고정효소의 기질특이성은 비교적 낮고, N2 외에 N2O, HCN, C2H2등 여러 가지 화합물이 환원된다. 특히 아세틸렌을 기질로 사용하는 측정법의 개발로 자연조건에서의 질소고정 속도도 쉽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육상에서는 리조비움이, 수계에서는 시아노박테리아가 큰 질소고정능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리조비움의 인공접종기술이 확립되어 밭이나 초지에서의 질소비옥도의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Klebsiella pneumoniae의 질소고정계 유전자가 그 능력이 없는 Escherichia coli로 도입되어 질소고정능이 없는 미생물종을 질소고정미생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3) 질소고정이란
대기 중의 유리질소를 생물체가 생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태의 질소화합물로 바꾸는 일이다. 생물적 질소고정과 비생물적 질소고정이 있다. 전자는 생물체에 의하는 것으로, 보통 질소대사의 한 과정으로 질소동화라고 불린다. 생물적 질소고정은 질소고정 세균을 비롯하여 일부의 조류, 뿌리혹박테리아 등에 의해서 행하여져 대기 중의 유리질소를 환원시켜 암모니아를 만들고, 글루탐산 수소이탈효소의 작용으로 이것을 α-케토글루타르산과 반응시켜 글루탐산을 만든다. 아미노기 전이반응에 의해서 다른 아미노산을 합성하고, 최종적으로는 단백질을 합성한다. 후자는 생물체에 의하지 않고 번개의 공중방전(空中放電) 등의 자연현상, 또는 화학공업적인 공중질소고정에 의한 것 등이 포함된다.
4) 질소의 고정량
생물학적, 비생물학적인 질소고정 총량은 연간 2,550만 톤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비생물학적으로는 800만 톤 정도가 고정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산업공정 500, 연소 200, 번개 100만 톤 정도이다. 생물학적 고정으로는 연간 1,750만 톤이 고정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농경지 90, 비농경지 50, 바다 35만톤 정도이다. 우리는 질소합성을 위해서 많은 에너지와 자원을 사용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미생물에 의해 고정되는 질소의 양이 지구 생태계에서는 절대적인 우위에 있다. 생태계에서 미생물들의 역할에 대해 다시 한번 경의를 갖게 되는 순간이다.
4. 시사점
재배콩(Glycine max (L.) Merrill)은 세계적으로 중요한 작물중의 하나로서 원산지는 만주지방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 지역이다. 우리나라도 원산지 또는 그 주변 지역에 속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한국의 재래종은 현재까지 세계 각국에서 보고되어 있는 대두가 지닌 각종 특성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아직도 우리 산야에는 많은 야생 대두들을 발견할 수 있으며 농가에는 아직 육종가에 의해 선발되지 않고 재배되어지고 있는 재래종 대두들이 많이 있다. 일반적으로 콩을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하고 있는데 재배종을 G. max, 야생종을 G. soja, 그리고 이 두 가지 종들과 형태적으로 중간적인 것들의 종을 G. gracilis라 한다. 이들 세 가지는 상호 교잡시 상동염색체 간의 대합도 정상적이며, 정상적인 종자를 형성하며 이 종자는 완전한 임성을 가진다. 재배콩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적으로 일상생활에 중요한 영양공급원으로 직접 또는 가공식품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데, 콩의 용도는 크게 나누어 식용, 사료용, 비료용, 공업용 등으로 이용되고 있고 여러 가지 품종들이 육성되고 있다. 또한 콩은 임상학적 이용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콩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아미노산, 비타민류, 무기물 등의 조성이 우수하여 식이요법을 위한 식품으로, 특히 검정콩은 예로부터 약콩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콩에 함유된 필수지방산, 칼륨, 레시틴, 섬유질, 사포닌,트립신 저해물질 등이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비만증과 같은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도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콩에서 여러 가지 생리활성 물질들이 발견되어 이들의 약리작용에 대한 보고사례가 많아 콩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추세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콩 재배시 질소비료를 적게 주어도 충분한 생육이 가능한 이유와 질소고정에 대하여 설명해 보았다. 최근 콩은 서구사회에서 동물성 식품을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영양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동물성 식품의 섭취가 높은 서양인에게는 만성퇴행성질환과 같은 성인병이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반면 동양인에게는 이러한 질병 발생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 원인으로 동양인의 식사에 많이 포함되는 콩, 특히 대두를 꼽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최근의 많은 연구들에서 콩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이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생리활성 물질로는 아이소플라본, 식이섬유소, 사포닌, 피트산, 트립신저해제, 글루코사민, 올리고당 및 안토시아닌 색소 등을 들수 있다. 콩의 이러한 성분섭취는 인체의 노화, 심혈관계 질환 등의 만성퇴행성 질환과 각종 암의 원인이 되고 있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고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참고문헌
농촌진흥청, 콩재배, 농촌진흥청, 2001.
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13양념채소 수급동향과 전망, 2013.
서형수 외, 콩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재배기술 개선, 한국콩연구회, 1989.
이홍석 외, 콩의 생리와 재배환경상의 문제점, 한국콩연구회, 1989.
이기종 외, 형질전환 콩 재배가 근권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 2011.
김건엽 외, 고추와 콩 재배에서 토양온도, 토양수분과 무기태질소 변화에 따른 아산화질소 배출 평가, 한국토양비료학, 2010.

키워드

,   재배,   질소,   질소비료,   질소고정,   생육
  • 가격3,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18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