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敎育심리학] 효과적인 교수기술(수업에 대한 계획, 태도, 조직화, 의사소통, 집중, 피드백, 모니터링, 점검과 정리, 질문하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敎育심리학] 효과적인 교수기술(수업에 대한 계획, 태도, 조직화, 의사소통, 집중, 피드백, 모니터링, 점검과 정리, 질문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수업에 대한 계획
2. 태도
3. 조직화
4. 의사소통
5. 집중
6. 피드백
7. 모니터링
8. 점검과 정리
9. 질문하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수업이 진행되는 상황을 이해하려는 목적으로 학생들의 언어 행동과 비언어 행동 모두를 계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다. 교사는 자습시간에 학생들 사이를 왔다갔다하는 계획된 모니터링을 통해 자습활동에 대해 조언하거나 격려할 수 있다. 또한 교사는 계획된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수시로 주의 깊게 학생들의 학습 수행 수준을 모니터 링할 필요가 있다. 만약,교사가 학습 내용을 설명하고 난 후에 학생들의 고개를 갸우뚱거리는 비언어적 행동을 발견하였을 경우,특정한 학생에게 "넌 조금 이해를 못하는 것 같구나. 방금 한 내용을 다시 한 번 설명할까?’라고 말히는 장면은 주의 깊은 모니터링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교사는 수업 중 지속적으로 학생들의 행동과 반응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Goetz, Alexander, & Ash, 1992).
8. 점검과 정리
점검(review)은 이전의 학습을 요약하고 이미 배운 내용과 앞으로 배율 내용을 연결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학습의 연계성을 갖게 되고 학습을 정교하게 준비할 수 있게 된다. 점검은 주로 학습의 시작과 종결 부분에서 사용되지만,요점을 지적할 필요가 있는 경우 어느 때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검기술의 효과적인 사용은 학생의 기억에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정리(closure)는 학습의 종결부분에 행해지는 점검의 한 형태로,이 부분에서는 학습된 주요 내용이 요약되고 구조화되며 완성된다. 가르친 내용 중에서 중요한 개념을 다시 한 번 정의하거나 원리,일반화,규범 등을 설명하는 것은 정리의 한 형태다.
9. 질문하기
효과적인 교수기술에서 질문하기(questioning)는 매우 중요한 기술 중 하나다. Gall(l970)에 따르면 고등학교 교사들의 경우 평균적으로 하루에 약 395개 정도의 질문을 하는데, 인지적 질문의 경우 Bloom의 교육 목표 분류에 따른 질문의 유형을 분류하면 〈표 1〉과 같다. 이러한 질문은 한 가지 정답을 요구하는 수렴적 질문
〈표 1> 인지적 영역에서의 교육 목표에 따른 질문
(convergent questions)과 여러 가지 답이 인정되는 확산적 질문(divergent questions)으로 나눌 수 있는데(Woolfolk,1993),과목에 따라 쓰이는 질문의 유형 이 달라진다. 교사는 질문을 통해서 학생의 사고를 자극하고,학생 간의 관계 형성을 도와주며,기초적인 학습 내용의 습득을 강화하고,소극적인 학생들을 학습에 참여시키며,산만해진 학생들의 주의를 집중시키고,학생들의 자기평가를 강화시킬 수 있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질문을 함으로써 학습 내용을 가르침과 동시 에 학습 과정을 알려 주게 된다(Kindsvatter,Wilen, & Ishler, 1988). 즉,학생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 특히,배우고 있는 주제에 대한 학생의 배경 지식과 관련된 질문일수록 학생들은 많은 것을 익히게 된다(King, 1994).
질문의 빈도와 학업 성취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들(Brophy & Evertson, 1976;Coker, Lorentz, & Coker, 1980; Stallings & Kaskowitz, 1974)은 효과적인 교사들이 보다 많은 질문을 던진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나 단순히 질문의 빈도를 높이는 것만으로 효과적인 학업 성취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일부 학생들만이 질문에 답하게 된다면 참여하지 않은 나머지 학생은 낮은 학업 성취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몇몇 학생들이 대답을 독점하지 않고 가능한 많은 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동기화가 잘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학생에게 질문을 하였을 때 그 학생이 대답을 못하는 경우,교사는 자신이 정답을 말해 버리거나 다른 학생을 지명하는 경향이 있다(김경옥,1992)는 연구 결과는 효과적으로 수업하기 위해 교사가 주의해야 할 점을 잘 보여 준다. 물론,학급의 학습시간을 고려해야 하는 교사의 입장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지만,이와 같은 상황에서 동기화가 잘 안되는 학생은 더욱 더 자신감을 잃게 되고,심하게는 교사의 질문에 답하지 않아도 된다는 그릇된 학습 습관을 형성하게 될 수도 있다.
참고문헌
신명희, 강소연 외 저, 교육심리학, 학지사 2014
Robert E, Slavin 저, 교육심리학(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13
서미옥 저, 교육심리학의 이해와 적용, 공동체 2014
임정훈, 한기순 외 저, 교육심리학, 양서원 2014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19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