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학 B형] 해충의 기계적, 물리적 방제법을 설명하라 (해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물의학 B형] 해충의 기계적, 물리적 방제법을 설명하라 (해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해충의 방제란

2. 해충의 방제법이란

3. 해충의 기계적 방제법
1) 화학적 방제법
2) 생물학적 방제법
3) 경종적 방제법

4. 해충의 물리적 방제법
1) 초음파 방제법
2) 감압 방제법
3) 광선 방제법

5.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러 가지 기계류가 사용된다. 이들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광선을 이용하는 방법 즉, 유아등(light trap)으로 유살하는 방법이다. 또한 해충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충망 등도 좋은 방제 수단이 된다.
1) 초음파 방제법
여주군농업기술센터(소장 장해중)에서 추진하는 ’09 과채류 친환경 무농약재배 시범사업의 중간평가회를 지난 8. 4일(화)에 시범사업장인 금사면 이포리 유순복농가 현지 포장에서 농업기술센터 김완수기술지원과장 외 금사농협 상무, 금사농업인상담소장, 친환경농법에 관심이 있는 이웃 애호박작목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었다. 과채류 친환경 무농약재배 사업은 시범 요인으로 해충방제 시스템인 초음파발생기 설치를 비롯하여 방충망설치, 친환경자재 투입, 천적과 트랩을 이용하는 등 친환경농업으로 과채류를 재배 생산하는 기술을 도입하였다.
시범사업 농가 대표인 유순복씨는 상반기동안 사업을 추진하고 평가회를 맞아 소감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기존의 화학적 방제에서 생물학적 방제로 전환하는 의식이 가장 힘든 점이라고 말했고, 친환경 농법으로 전환을 하고 특히 애호박을 재배하면서 일반 재배보다 인큐재배를 하고보니 수확량은 기존보다 감소했지만 상품의 우수성 및 안정성이 확보가 되어 지속적인 판매망이 넓어졌고 가격 또한 지난해보다 훨씬 잘 받고 있다고 하며, 처음 설치시엔 반신반의했던 초음파발생기를 설치하고 매일 아침 6시부터 오전 10시까지 음악을 들려주기를 반복한 결과 호박에서 제일 많이 발생하여 염려가 많은 진딧물의 해가 거의 없고 도한 사업장 옆에 포장에 심은 고추나 감자 등에서도 별다른 해충의 피해가 없이 작황이 좋아 기기의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고 밝혔다.
2) 감압 방제법
감압 농축기의 원리는 용매의 제거나 농도 감소를 위해 감압함으로서 용매의 끊는 점을 내리는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다. 임상화학에서의 감압농축기(Speed var concentrator)는 저온의 스팀을 사용하여 엑기스제를 농축하며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시간을 단축하며 알콜 회수량을 증대시키는 장치로서 쓰인다. 일반 화학 장비로서 이용되는 회전식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의 사용은 농축이나 용매를 제거하고자 하는 용액을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감압 농축기에 연결한 뒤 온도를 제어 할 수 있는 물중탕과 접촉시키며 진공펌프로 감압하는 형태로 이용된다.
3) 광선 방제법
사람이 감지하는 빛의 파장과 곤충이 감지하는 빛의 파장이 틀리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곤충이 감지하는 파장은 285nm - 580nm 사이라고 한다. LED의 파장을 이용하면 교미 산란 제어 및 해충의 접근 방지를 할 수 있다.
5. 시사점
국내 농약공업은 50년대까지를 완제품 수입시대, 60년대를 제제화 시대, 70년대를 원제 생산시대로 분류한다. 1949년 최초로 DDT유제가 수입된 이후 60년까지는 농약의 완제품을 수입해 판매했는데, 62년에 최초로 유기인계 살충제인 EPN유제가 생산되어 제제 생산시대가 열렸다. 68년에는 BHC원제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합성되었으며 각종 유기염소계,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의 살충제와 유기유황계, 유기인계, 항생물질 등의 살균제 및 각종 제초제가 70년대 이전까지 수입되어 병충해 방제용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71년 이후, 농약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고조됨에 따라 침투성 살균제인 thiophanate-methyl, benomy등의 benzimidazole계, fenvalerate, cypermethrin, decamethrin등의 합성 pyrethroid계 및 생물농약인 BT제 등의 안전성 농약이 개발 사용되었다. 한편, 기존의 농약을 혼합해 조제한 혼합제 농약이 병해충의 동시방제 및 저항성 병해충의 방제에 효과적임이 인정되어 82년 농약연구소가 발족되면서 혼합제 농약의 개발이 계기가 되어 독자적으로 농약개발의 기틀을 마련했다. 세계 농약 제형별 생산현황을 살펴보면 수화제 42%,유제 17%이며, 국내에서도 수화제, 유제 각각 39%,31%로 제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 유통되고 있는 보편적인 농약의 제형은 농약에 대한 노출 문제 및 취급이 불편한 분제나, 수화제 그리고 독성이 강한 용제를 주로 사 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오염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유제 등의 제형보다 사용자 및 환경에 안전한 액상 수화제, 과립 수화제, 미탁제, 유탁제, 캡슐화 제형으로 바뀌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해충의 기계적, 물리적 방제법을 설명해 보았다. 생물적 방제균들의 식물병 방제 기작으로 직접, 간접적인 작용기작이 알려져 있다. 직접적인 작용기작으로는 Pseudomonas spp.에서 분비되는 antibiotic인 phenazine과 hydogen cyanide 등이 식물병원 곰팡이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고, Serratia spp.에서 분비되는 chitinase와 protease에 의해 식물병원균의 세포벽을 분해하여 식물병원 곰팡이의 생육을 억제한다. 또한 토양 내에서 중요한 미량요소인 철(Fe)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하는 Pseudomonas spp.의 siderophore의 분비 능력으로 토양 병원균의 철의 흡수를 방해하는 기작이 알려져 있다. 간접적인 작용기작으로 생물적 방제균이 뿌리에 정착하여 유도 저항성(Induced Systemic Resistance; ISR)을 유도하여 침입하는 다양한 식물병원균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고, 식물체에서 분비 되는 호르몬 작용의 촉진으로 식물생장촉진 하는 기작 등이 있다.
참고문헌
정영호 외, 최신 농약학, 시그마프레스, 2000.
박순직 외, 식용작물학1,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4.
고현관, 해충의 생물적 방제 현황과 전망, 한국농약과학회 춘계학술발표회, 2009.
오윤진 외, 최근 한국의 논잡초 분포에 관하여, 한국잡초학회지, 1981.
박태선 외, 한국 논에서 제초제 저항성 잡초 발생 현황과 전망, 한국잡초학회지, 2011.
김길웅 외, 수집야생종 콩의 생리특성 및 제초제 Glyphosate에 대한 반응 검정, 한국잡초학회지, 2003.

키워드

해충,   방제,   방제법,   기계적,   물리적
  • 가격3,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3.26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23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